• 전체메뉴

“치매 환자도 삶 속에서 살아간다”

기사입력 2021-02-15 10:00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담장 너머 치매

연초부터 치매에 관심이 생겼다. 치매 관련 서적이 시중에 많이 있지만, 어떤 책부터 어떻게 읽어야 할지 막막했다. 힘들게 골라서 읽었더니 내용이 너무 어렵다. 치매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2013년부터 2년 연속 치매학회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으며, 현재는 치매 전문병원으로 알려진 용인 효자병원에서 치매 전문의로 활동 중인 곽용태(55) 교수를 만나 치매와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눠봤다.

▲용인 효자병원 치매 전문의 곽용태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용인 효자병원 치매 전문의 곽용태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어머님으로 인해 관련 서적들을 읽어봤지만, 너무 재미없고 이해가 안 가서 적용이 힘들었습니다. 이 책은 마치 몇 주간 약을 먹어도 차도 없는 감기를 한 방에 해결하는 약 같아요.”

인터넷 서점 사이트의 저자의 대표작 소개란 아래에 적힌 댓글이다. 앓던 감기를 낫게 해준 것 같았다는 그 한 방이 궁금했다. 곽 교수가 이번 책에서 준비한 한 방은 바로 ‘논문’이었다. 어려운 치매 논문을 저자만의 독특한 관점으로 풀어서 치매를 쉽게 소개하고 있다.

“책을 내면서 새로운 도전을 해보고 싶었는데, 그러다가 눈에 들어온 것이 ‘논문’이었어요. 전문가들은 유용하게 읽지만, 정작 치매 환자 보호자들과 같은 일반인은 이 논문의 혜택을 누리지 못해요. 이 책을 통해 일반인과 논문 사이에 있는 거리를 좁히고 싶었어요. 어려운 논문을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책이나 영화, 그리고 직접 겪은 환자들 얘기를 가미했고요.”

취지는 좋지만, 전문가들이 주로 보는 논문이 일반인에게 어렵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시중에 나온 여러 가지 책과 비교해서 논문이 가진 장점은 뭘까?

“논문은 풍향계예요. 최신 의학의 방향을 직·간접적으로 알 수 있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관점이나 영감을 얻을 수도 있고요. 논문의 새로운 메커니즘은 다른 분야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고 봐요. 분야의 경계가 자꾸 허물어져가는 시대인 만큼 이런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읽는 방법만 조금 안다면 재미있는 지적 놀이가 될 수 있어요.”

▲곽용태 교수가 펴낸 '담장 너머 치매'와 그가 적은 글귀
▲곽용태 교수가 펴낸 '담장 너머 치매'와 그가 적은 글귀

치매 관련 정보 플랫폼이 필요

그렇다면 치매에 막 관심이 생겨서 이제부터 논문을 읽어야겠다고 결심한 사람들은 어디서부터 시작하면 좋은 걸까? 곽 교수는 차근차근 시작하라고 일러주었다.

“차근차근 관련 이슈를 다룬 뉴스부터 읽으면서 감을 잡는 것이 좋아요. 문제를 풀 때 잘 모르면 해설서를 많이 보잖아요. 그것과 비슷해요. 일단은 관련 정보를 잘 다루고 있는 뉴스를 찾아보면서 어느 정도 지식을 습득한 뒤에 논문을 읽는 방법을 추천해요. 해설 없이 직접 논문을 읽는 단계가 오면 기사를 읽는 것보다 훨씬 읽는 맛이 있을 거예요.”

식도락 여행을 간 곳에 맛집이 아무리 즐비해도, 어느 곳이 진짜 맛집인지 분별하지 못하면 낭패가 될 수 있다. 수많은 논문 중에 어떤 논문을 읽으면 좋은 걸까?

“좋은 논문은 왜곡된 정보가 없는 사실을 기반으로 해요. 특히 미슐랭 별처럼 높은 점수를 받거나 유명 논문지에 실린 논문은 인정할 수 있어요. 그만큼 공신력이 있죠. 이와 별개로 유명하지 않은 논문지에 실렸지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논문도 종종 있어요. 하지만 일반인들은 이런 점을 알기가 어렵죠. 그래서 유용한 논문을 선별해서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작업을 해보고 싶어요. 치매와 관련해서도 이처럼 알차고 재미있게 정보를 전달하는 플랫폼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용인 효자병원 치매 전문의 곽용태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용인 효자병원 치매 전문의 곽용태 교수(오병돈 프리랜서 obdlife@gmail.com)

치매보다 사람에 집중

이 책은 ‘비틀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하얀거탑’ 등 영화와 음악, 소설 등 다양한 분야를 풍부한 예시로 활용하며 치매 논문을 쉽게 설명했다. 여러 분야를 골고루 섭렵하고 있는 그는 환자를 대할 때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열심히 설명해도 환자가 제대로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때는 제가 쓴 칼럼을 환자에게 건네요. 예전에 환시에 시달리던 분에게, 비슷한 증상을 앓았던 로빈 윌리엄스에 관해 쓴 칼럼을 보여줬는데, 칼럼 덕분에 쉽게 이해했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그는 논문을 통해 습득한 정보를 적용하는 것도 좋지만, 의사로서 가장 중요한 태도는 “환자의 삶에 대한 이해”라고 말했다. 아울러 “환자는 병 안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살아간다”고 말하며 의사로서의 소신을 밝혔다.

“다들 치매 환자들에게 운동 더 열심히 하고, 힘내라고 말해요. 개인의 정서를 이해하지 않고, 치매라는 병에만 집중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오히려 그런 조언과 권유는 안 하는 것이 그분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어요. 열흘을 더 살아도 사람답게 사는 것이 중요하지, 원하지 않는 걸 억지로 하면서 남은 생을 고통스럽게 살 필요가 있을까요? 저는 ‘치매’가 아니라 ‘사람’에 집중해요. 치매 환자의 대부분은 삶의 마지막을 앞둔 노인분들이에요. 그분들이 얼마 남지 않는 삶을 행복하게 살다가 떠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고 봐요.”

끝으로 신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책 출간 계획을 살짝 물어봤다. 그는 집필할 책에 관한 힌트를 넌지시 주었다. 오랫동안 치매 전문의로서 현장에서 치매 환자를 대하면서 보고 느꼈던 바를 책으로 풀어낼 생각을 하고 있었다.

“병이 아니라 사람에 집중하면 치매 환자에게 있는 두 가지 욕망이 보여요. 바로 죽음에 대한 불안과 성적 욕망이에요. 어제는 죽을까봐 두려워하다가 오늘은 여성분들 앞에서 바지를 막 내려요. 인지능력은 떨어지는데, 본능은 여전히 몸에 남아 있는 거예요. 그걸 숨기지 않아서 문제죠. 어떤 방식으로 쓰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 상반된 마음에 관한 얘기를 다뤄보고 싶어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