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삶을 똑바로 마주하고'
‘아버지를 미워한 힘으로 내 길을 만들었다’고 자신의 생애를 요약하는 최현숙(崔賢淑·62).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갈등으로 모든 사회적 통념과 가치관에 의심을 품었다. 가출을 반복하던 끝에 출가(결혼)해 아이를 낳은 뒤에는 천주교 사회운동을 시작으로 민주노동당과 성소수자위원회 위원장을 거치며 진보정당 활동을 이어갔다.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었던 수십 년간의 숱한 방황과 기행(奇行). 환갑을 지나 구술생애사 작가로 사는 요즘, 그녀는 이제야 제법 그 쓸모를 알 것만 같다.
진보와 정치의 교착 속 중년기를 보낸 최현숙은 10년 전 요양 노동을 선택했다. 요양보호사와 독거노인 생활관리사로서 노인돌봄에 몸담았고, 그들을 만나면서 구술생애사 작업을 진행했다. ‘천당허고 지옥이 그만큼 칭하가 날라나?’, ‘할배의 탄생’ 등을 펴내며 구술생애사 집필에 몰두해온 그는 최근 에세이 ‘삶을 똑바로 마주하고’를 출간했다. 한동안 타인의 삶을 바라보던 그녀가 말하는 ‘똑바로 마주하는 삶’은 어떤 의미일까.
“대개 우리는 즐겁고 좋은 일은 가까이하려 하지만, 어렵고 불편한 일은 회피하죠. 삶을 똑바로 마주한다는 건 긍정적인 것들보다는 부정적이고 기울어진 것들을 자기 시선을 통해 제대로 보려는 노력이에요. 사회 전반의 불공정한 현상들을 주류의 기준으로만 판단하면 안 돼요. 정답이 아니어도 나름의 시선을 만들어야 세상을 보는 통찰력이 길러져요. 마찬가지로 자신의 단점이나 약점까지 직시해야 나를 제대로 알고 성숙해질 수 있습니다. 상처나 미움도 잘 다스리면 인생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되거든요.”
우리는 사적인 존재가 아니다
‘최현숙의 사적이고 정치적인 에세이’라는 부제 속 단어들이 다소 이질적으로 다가왔다. 물론 최현숙의 화려한 이력(?)을 보면 ‘그럴 만하다’ 싶었다. 그녀는 자신뿐만 아니라 누구의 삶이든 사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이 공존한다고 강조했다.
“여성주의 진영에서 자주 쓰는 ‘가장 사적인 것이 가장 정치적인 것’이라는 말에 적극 동의해요. 나의 몸, 나이, 심리적 경제적 상태는 모두 정치적인 겁니다. 가령 여성의 몸을 통해 무엇이 아름답다고 평가하는 잣대나 낙태 문제 등도 정치적인 부분이죠. 가족도 마찬가지예요. 어느 가정이든 들여다보면 남성과 여성, 돈 버는 사람과 안 버는 사람, 노인과 아이 등 그 안에 첨예한 권력 관계가 존재해요. 그것이 확장되면 우리 사회의 권력 관계와도 맞닿게 되죠. 그러나 대개 나와 가족의 일은 프라이버시의 영역으로 치부하고 감추려 해요. 가정폭력만 해도 사적인 가정사로 여기지만, 그렇게 은폐하는 것들에서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가 야기된다고 봐요.”
최현숙은 연명의료를 거부한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 칼럼을 썼다가 가족들에게 뭇매를 맞았다. 존엄한 죽음, 웰다잉이 화두로 떠오르며 사회적으로도 이슈가 되는 이야기였지만, ‘사적인 것을 왜 공개하느냐’라는 게 이유였다. 그렇게 그녀의 소신을 따랐던 행동들은 종종 가족의 비난을 받아야 했다. 물론 이러한 갈등이 아무렇지 않았던 건 아니라고 털어놨다.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사회운동을 했어요. 사회활동을 하는 기혼 여성이라면 다 겪는 고충이지만, 제 경우엔 돈벌이하는 것도 아니면서 자식들 안 챙기고 남 좋은 일 한다고 욕 많이 먹었죠. 가장 가까운 사람인 남편이나 형제에게 ‘모성애가 없느냐’, ‘영웅심에서 그러느냐’라는 소리까지 들었어요. 그럴 때마다 ‘나는 모성애가 없는 여자인가?’, ‘정말 영웅심에 찌든 인간인가?’라는 의심과 자책을 했어요. 양쪽을 다 돌볼 수 없는 현실이 늘 괴로웠죠. 그때의 상처가 여전히 자괴와 자책으로 남아 있어요. 물론 그것들 역시 내가 인정하고 성찰해야 할 과제이죠.”
강박 없는 성실이 가능해진 삶
이해받지 못할 일들을 해나가며 다양한 상황을 마주했고, 수많은 사람을 대면했다. 덕분에 소외된 이들의 아픔과 그늘을 잘 이해한다는 그녀. 구술생애사 작가로서는 적격의 삶을 살아온 셈이다.
“자기 가치관이나 규범이 없는 상태에서 방황과 뻘짓(?)을 한 세월 덕분에 나처럼 헤매는 사람들을 잘 이해할 수 있어요. 역지사지가 잘 되는 거죠. 인간에게 선(善)과 악(惡)은 없다고 봐요. 그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어떠한 처지와 맥락이 있었을 뿐이죠. 구술생애사 작업을 하다 보면 이해 못할 상황도 없고, 나쁘다고 손가락질할 사람도 없어요.”
타인의 인생을 듣는 것에 익숙할 그녀에게 혹시 다른 이에게 자신의 생애를 구술할 계획이 있느냐고 물었다. 의뢰가 없지는 않았지만 작가에게 사정이 생겨 중단했단다. 대신 오래전부터 직접 지난 삶을 기록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나는 정말 나라는 사람이 이해 안 됐어요. 내 삶의 처지와 맥락은 무엇이었을까. 나 자신을 납득시키는 글이라는 점에서 회고록보다는 ‘해명’이라는 제목이 괜찮을 것 같아요.(웃음) 물론 지금도 여전히 내가 완벽히 이해되지는 않아요. 그러나 조금씩 알아가는 중이에요. 결국 나 자신에 대한 이해는 타인의 삶에 대한 이해로 연결되는 거라고 생각해요. 가난하고 못 배운 사람에게는 더 많은 상처가 있겠지만, 부유하고 잘 배운 사람이라고 상처가 없는 건 아니거든요. 구술생애사 작업을 통해 다른 삶을 살아온 이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일, 그게 사회에서의 나의 쓸모라고 생각해요.”
자녀들이 독립한 뒤, 혈(血)로 엮인 의무와 자책은 어느 정도 덜어냈단다. 60대를 사는 현재 ‘강박 없는 성실’이 가능해진 것에 만족스럽다는 그녀. 앞으로 살아갈 날에 대한 바람은 무엇일까.
“나는 무엇으로 행복한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일단 돈이나 건강은 아닌 것 같아요. 돈은 행복의 외양은 만들 수 있지만 근본적인 것은 아니거든요. 건강도 마찬가지예요. 겉은 건강해도 속이 부글부글한 사람이 얼마나 많아요. 내가 진정으로 행복을 느끼는 것들을 찾고, 진짜 하고 싶은 일 하면서 나를 사랑하면 그뿐이죠. 나를 사랑한다고 자기애에 빠진다는 게 아니라 그만큼 나의 장점이든 단점이든 다 받아들이는 거라고 생각해요. 더불어 소외된 이웃까지 사랑해야죠. 앞으로 하려는 일들이 내 욕망에서 출발하되 사회적 욕망과 연결되는 일일 수만 있다면, 여생은 그걸로 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