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
- [카드뉴스] 안면 근육 긴장 완화 지압법
- 2023-09-26
-
- 허리 통증부터 배탈까지…추석 연휴 알아두면 좋을 ‘지압법’
- 2023-09-25
-
- 정성우 인천성모병원 의무원장, ‘치매극복의 날’ 국민포장 수상
- 2023-09-22
-
- 찬바람과 찾아오는 ‘안면신경마비’ 원인과 치료법은?
- 2023-09-15
-
- 돌봄 공백 노인 725만 명… 초고령화 앞두고 ‘빨간불’
- 2023-09-14
-
- ‘한국인 돌연사 1위 질환’ 상상 이상의 가슴 통증, 심근경색증
- 2023-09-14
-
- “재택 돌봄 강화” 정부 ‘커뮤니티 케어’ 뭐가 달라졌나
- 2023-09-06
-
- 청파 신광렬 선생 평전, ‘달이 즈믄 바람에’ 발간
- 2023-09-04
-
- 日, 치매 환자 행방불명 “QR코드로 대비”
- 2023-09-04
-
- 노안과 다른 백내장… 구분하는 3가지 체크포인트
- 2023-09-01
-
- “척추∙관절 환자의 애환, 노래로 승화” 이색 경연대회
- 2023-08-31
-
- “당뇨·고혈압 환자 주의” 암보다 무서운 만성 콩팥병
- 2023-08-31
-
- 고령화 여파, 질병부담 169조 원 돌파 “40·50대 관리 필요”
- 2023-08-30

일하는 고령자가 ‘건강’, 노인 사망원인 3위는 코로나19
일하는 고령자는 비취업자에 비해 대체로 건강하고, 노후준비도 되어 있으며, 소득이나 소비에서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령자 통계’를 오는 10월 2일 노인의 날을 맞이해 26일 발표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고령자 통계 중 일하는 고령자의 생활과 의식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고령자 취업자 비중은 2017년(30.6%)부터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36.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치로, OECD 평균 15%를 크게 상회했다. 2021년 기준으

日 전문가가 말하는, 고독한 고령자가 보내는 7가지 시그널
*편집자 주: 국민의 30% 가까이가 65세 이상인 나라, 일본.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일본의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합니다 일본 도쿄의 건강장수의료센터연구소 무라야마 히로시 박사는 고령자가 외로움에 취약하다고 말합니다. 질병, 노화 등으로 몸이 예전 같지 않고 커뮤니티와의 관계도 느슨해지면서 고독해지기 쉽다는 것입니다. 그럼 고독한 고령자를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무라야마 박사는 그들이 보내는 신호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한 가지는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사람들
브라보 인기기사
-
- “최소한 이것 만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연금 수령 전략’
- ‘복잡하고 어려운 연금, 누가 핵심만 알려주면 안 되나?’ 많은 사람들이 품고 있는 이 질문에 ‘브라보 마이 라이프’가 총대를 멨다. 포인트만 쉽고 빠르게, 복잡하고 어려운 말 하나 없이 정리했다. 유불리를 따져 연금 수령 최고 효율을 얻으려면 최소한 이 정도는 알아야 한다. 일본 열도를 뒤흔든 베스트셀러 ‘노후파산’은 고령사회의 단면을 가감 없이 다뤄 한국에도 큰 충격을 안겼다. 생활비가 부족해 매 끼니를 걱정하는 비참한 면면을 바라보며 바다 건너 우리네는 공포에 떨었다. 국내 전문가들은 겁에 질리지 말고 교훈을 얻으라고 말한다.
-
- “자식이니까 신고못해” 노인 파산 이끄는 ‘금융착취’
- 금융착취는 선진국형 사회문제 중 하나다. 고령자가 많고 연금 제도가 발달한 나라일수록 더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대부분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금융착취를 당하는 경우가 많아 이 사실을 숨기거나 자신이 금융착취를 당했다는 것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 노인 파산으로 이끄는 금융착취에 대해 알아봤다. #사례1 기초생활수급비로 살아가고 있는 70대 A씨는 몸이 불편해지면서 은행 방문이 어려워졌다. 그러자 아들 B씨는 통장 관리와 현금 인출을 돕겠다고 나섰다. 어느 날 자동이체 등록을 해둔 공과금이 연체됐다는 고
-
- 노후 자금, 죽을 때까지 샘솟는 ‘우물’ 만들어야
- “노후에 얼마가 있으면 될까요?” 자산관리 전문가들이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다. 하지만 100세 시대에는 이 질문이 더 이상 의미가 없다. 현금흐름 세계에서 가장 불확실한 건 ‘내가 몇 살까지 살지 모른다’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평균 은퇴 나이 50세, 국민연금 수령 나이 약 65세, 은퇴 후 1년 내 정규직 재취업률 9%, 기대수명 83세, 노인 빈곤율 OECD 1위. 노후를 두렵게 하는 숫자들이다. 부모 부양에, 나의 노후 대비에, 자녀 부양까지 어깨가 무거운 중장년에게 100세 시대란 불안에 가깝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숫자를
-
- “윤여정처럼 입을까?” 시니어 패션, 유행을 말하다
- 시니어 모델, 중년 전용 패션 플랫폼 등장. 중장년의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아저씨, 아줌마 패션을 지양하고 젊은 감각을 추구한다. 그러나 아직 ‘옷 잘 입는 시니어’는 일부에 불과하다. 옷 잘 입는 시니어를 응원하며, F/W 패션 트렌드와 함께 스타일링 꿀팁을 알아봤다. “MZ 패션, 비켜줄래?” 배우 김희선이 카리스마 넘치는 표정으로 묻는다. 4050 여성 패션 플랫폼 ‘퀸잇’의 광고 속 한 장면이다. 2020년 9월 출시된 퀸잇은 1300개 이상의 입점 브랜드를 확보했으며, 누적 다운로드 540만을 달성했다. 더불어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