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 나태주 시인 ‘사랑만이 남는다'
올해로 등단 50주년을 맞이한 시인, 나태주(75). 그는 사모하던 여인을 생각하며 쓴 시 ‘대숲 아래서’로 등단한 이래 한시도 펜을 놓지 않았다. 이제껏 써온 시는 5000페이지가 넘는다. 주로 삶과 사랑, 자연을 시로 썼다. 문장은 쉽지만 가볍지 않고, 단어는 간결하지만 내용은 묵직했다. 그의 시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독자에게 오랫동안 사랑받았다. 연애편지 쓰듯 시를 쓴다는 그는 ‘사랑’을 주제로 한 시집으로 돌아왔다.
신작 ‘사랑만이 남는다’는 그가 여태껏 써온 시를 차곡차곡 모은 시집이자 연애편지다. 시의 수신인은 애인과 아내, 딸이다. 그는 책의 서문에서 “젊은 사람이 인생에 대해서 묻는다면 첫째도 사랑이고 둘째도 사랑이고 셋째도 사랑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쓰며 사랑을 인생의 화두로 꼽았다. 사랑을 삶의 화두로 삼은 이유는 무엇일까?
“사랑은 수학이 아니다. 답이 없다는 말이다. 일 더하기 일처럼 명확한 해답이 없다. 답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연애시를 썼다. 정답이 있었다면 쓰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50년 내내 답을 찾지 못했고, 앞으로도 찾지 못할 것 같다.”
영원히 맞힐 수 없는 문제에 왜 그리 오랫동안 천착한 것일까? 모르는 문제는 풀지 않고 넘어가는 방법도 있을 터. 오랫동안 사랑을 노래한 시인에게 사랑이란 어떤 의미였을까?
“삶에서 사랑은 중요하다. 밥을 먹는 건 순전히 배가 고파서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우리 삶은 사랑을 필요로 한다. 독자가 가장 듣고 싶은 주제가 ‘사랑’이다. 역사가 끝날 때까지 그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공상과학 영화를 보면, 인간이 만든 괴물이 결국 사랑과 감정을 깨닫고 눈물을 흘리면서 끝나지 않나? 그만큼 사랑은 우리에게 가치 있는 얘기다.”
그렇다면 그는 시의 수신인에 해당하는 딸과 아내에게 어떤 아버지와 남편이었을까? 그는 그간의 시간을 곱씹듯 순간 뜸을 들이다가 답했다.
“남편이자 아버지로서 그리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 미흡한 것이 많았다. 다만 기본은 하려고 노력했다. 살아보니 기본도 안 하는 사람이 있더라. 교사 생활을 하면서 그만두고 싶을 때가 있었지만, 가장으로서 노릇을 해야 하기에 버텼다. 특출나게 잘하는 것보다 기본에 충실한 마음으로 살았다.”
見이 아니라 觀
공자는 인간의 나이 ‘50’을 지천명(知天命)으로 비유했다. 하늘의 명을 안다는 뜻으로, 흔히 진정한 어른에 도달하는 시기라 말한다. 10년마다 강산이 바뀐다고 가정했을 때 50년이란 세월은 강산도 5번이나 바뀌는 시간이다. 그렇다면 시인의 50년은 과연 어떤 세월이었을까?
“50년은 두 번 사는 삶과 같았다. 바라보기만 해도 좋고, 가슴 뛰고, 못 만나면 죽을 것 같고, 영원히 못 잊을 것 같던 사랑도 30년이 지나니 무감각해지고 자연스레 잊히더라. 인간 사이의 연은 벽에 박힌 못과 같다. 한 30년은 못이 꽉 박혀 있어서 잘 안 떨어지는데, 시간이 지나면 녹슨 못처럼 헐거워지고 지난날 썼던 시나 모습이 낯설어지는 순간이 온다. 쉽게 말하면 자기 객관화가 된다. 그때부터 또 다른 삶이 시작되더라. 지금 돌이켜보면 꼭 내 안에 두 사람이 있는 것 같고, 두 번의 삶을 산 것같이 느껴진다.”
그렇다면 그 긴 세월 동안 어떤 마음으로 시를 써온 것일까? 그는 자신을 “시를 쓸 수밖에 없는 사람”이라고 하며 시인으로서의 철학을 덧붙였다.
“삶의 기준이 남이 아니라 내게로 향해야 한다. 남들이 부러워한다고 해도 소용없다. 내가 원하지 않으면 모두가 가짜다. 결국 본질이 무엇인지 잘 생각해야 한다. 시도 똑같다. 마음에 ‘대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써야 한다. 외로움에 대해서 쓰는 건 복사본이지만, 외로움을 쓰는 건 원본과 같다. 좋은 시란 명확하고 헷갈리지 않는다. 위로를 원하는 사람에게 위로를 전달하고, 시 자체가 고독이라서 읽으면 고독이 느껴지는 시. 그런 시가 좋은 시다. 스쳐 지나가듯 보는 ‘견’(見)이 아니라 ‘관’(觀), 즉 관조(觀照)하는 자세로 시를 써야 한다. 사랑에 대해서 쓰지 않고, 시와 문장이 사랑 자체가 되는 일. 이게 시의 본질이다. 시를 쓸 때 어떻게 하면 본질에 더 다가갈 수 있을지 늘 고민했다.”
최선을 다하는 삶
최근 하늘나라로 떠난 정인이를 위해 추모시를 썼다. 그가 쓴 시 ‘길 잃은 천사’는 정인이가 잠든 안데르센공원묘원의 담벼락에 새겨졌다. 그는 이제껏 써온 시처럼 따뜻한 시선을 가진 시인이었다.
“정인이 사건을 보고 마음이 아팠다. 우리는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천사다. 아내에게도 얘기했지만 천사를 울려서 보내면 안 된다. 환대해서 보내야 한다. 내 시를 읽는 독자도 마찬가지다. 시가 씨앗이라면, 독자는 밭이다. 독자가 없는 시는 있을 수 없다. 그렇기에 늘 최선을 다해서 대한다. 아무리 바빠도 독자가 사인을 요청하면 정성 들여서 한다. 직원들에게도 풀꽃문학관에 오시는 분들을 정성스럽게 대하라고 얘기한다.”
끝으로 노시인이기 전에 인생의 선배로서 삶의 지혜가 담긴 덕담을 잊지 않았다. 그는 시간의 중요성을 얘기했다.
“시간을 아껴 써야 한다. 젊은이는 할 수는 있지만, 잘 알지는 못한다. 반면에 늙어서는 알지만 할 수 없을 때가 많다. 한 살이라도 젊을수록 책을 많이 읽고, 배울 수 있는 어른과 교류하고, 삶의 견문을 넓힐 수 있게 여행을 가는 것이 좋다. 늘 자신을 아낄 줄 알고, 젊을 때는 하나라도 더 알기 위해 노력하고, 늙어서는 한 가지라도 더 할 수 있도록 여력을 남기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최선을 다하는 삶이다.”
풀꽃 시인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은 시인의 언어는 과녁의 정중앙을 노리는 화살처럼 간명했다. 인터뷰 내내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시와 독자였다. 시를 쓸 수밖에 없어서 쓴다는 그의 말처럼 시는 그와 분리할 수 없는 존재였다. 특히 ‘시’에 관해서 얘기할 때는 장명등을 밝히는 불꽃처럼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보였다. 노시인이 아니라 호기심 가득한 소년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50년간 5000페이지가 넘는 왕성한 활동을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열정 덕분일지도 모른다. 인터뷰를 시작할 때 그가 건네준 차는 차갑게 식었으나, 그가 보여준 시에 대한 사랑은 사그라지지 않는 불꽃처럼 그 자리에 맴돌았다. 노시인의 불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기를 바라며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