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함백에서 본 꽃 백두에서 또 만났네, 털복주머니란

기사입력 2017-08-24 15:27

[김인철의 야생화]

▲털복주머니란(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털복주머니란(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한민족의 성산으로 추앙받는 백두산(白頭山·해발 2744m). 그러나 내 길을 잃고, 남의 땅을 거쳐 오르내린 지 어언 수십 년에 이르니 그곳이 진정 내 나라, 내 땅인지 의구심이 드는 것도 솔직한 심정입니다. 그런 어리석은 마음을 꾸짖기라도 하려는 듯 어느 순간 눈앞에 나타난 꽃 한 송이가 백두산과 백두평원, 그리고 남한 땅이 식물학적 동질성을 가진 같은 땅임을 일깨워줍니다. 털개불알꽃, 애기작란화 등으로도 불리는 털복주머니란이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풀과 나무 등 자생식물의 수는 모두 4100여 종. 이 중 77종을 국가에서 멸종위기 야생식물로 지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생지는 물론 개체 수가 극소수라 특별히 관리하지 않으면 머지않은 장래에 아예 종 자체가 사라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지요. 그중에서도 특별히 9종을 멸종위기 야생식물 1급으로 분류해 특별 관리하고 있는데, 털복주머니란이 바로 그 9종의 하나입니다. 남한에선 강원도 함백산(咸白山·해발 1573m) 두문동재에서만 자랍니다. 환경부와 산림청은 단 두 곳뿐인 이곳 자생지에 각각 철조망을 두르고 감시카메라까지 설치해 특별 보호하고 있습니다.

▲철책을 두르고 보호 중인 강원도 함백산 자생지에 핀 털복주머니란(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철책을 두르고 보호 중인 강원도 함백산 자생지에 핀 털복주머니란(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털복주머니란은 역시 멸종위기 야생식물 1급으로 지정된 광릉요강꽃과 2급인 복주머니란과 함께 국내에 자생하는 복주머니란 속(屬) 3대 난초 중 하나로 키는 20~40cm, 꽃의 지름은 3~5cm로 전체적인 몸집이 광릉요강꽃이나 복주머니란의 절반 정도에 불과합니다. 함백산 자생지에서는 주로 6월 초순에 꽃이 피는데, 철책까지 두르고 보호 중인 총 개체 수는 두 곳을 합해 모두 100여 촉, 그중 꽃을 피우는 개체 수는 절반 정도에 불과합니다. 함백산 이외에 설악산에서도 발견되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현재 확인된 바 없으니, 그야말로 철책으로 둘러싼 두 곳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7월 초순 천지를 보기 위해 지프를 타고 백두산 북쪽 능선을 오르는 길에서, 그토록 귀하디귀한 털복주머니란이 차창 밖으로 펼쳐진 백두평원에 무더기로 피어 있는 걸 보았을 때 심정이 어떠했을지 짐작하시겠지요. 먼저 ‘고향 사람’을 만난 듯 반갑기 그지없었습니다. 그리고 남의 땅, 남의 길을 통해 오르는 백두산이 바로 우리가 회복해야 할 우리의 땅임을 절감했습니다. 두 번째, 한시라도 빨리 백두산으로 향하는 내 길, 내 땅을 복구해 그곳에 자생하는 우리 꽃, 우리의 자연유산을 되찾아야 한다는 강한 의무감을 느꼈습니다. 남한 땅에서 사라져가는 북방계 희귀식물의 보고이자 고향인 백두산과 드넓은 백두평원을 자유롭게 걸으며 만발한 야생화의 천국을 만끽하고 싶은 욕망이 솟구치는 걸 느꼈습니다.

▲수목한계선 위 드넓은 백두평원에 털복주머니란이 들쭉나무와 월귤 등 키 작은 관목들 사이 곳곳에 피어 있다(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수목한계선 위 드넓은 백두평원에 털복주머니란이 들쭉나무와 월귤 등 키 작은 관목들 사이 곳곳에 피어 있다(김인철 야생화칼럼니스트)

줄기와 이파리는 물론 꽃잎 등 온몸에 솜털 같은 하얀 털이 빼곡히 나 있어 국명에 ‘털’ 자가 들어간 털복주머니란은 우리나라 외에 중국과 일본에서도 자라는 북방계 난초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백두산과 함백산에서 자란다는 것은 털복주머니란이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인 백두대간(白頭大幹)을 따라 분포한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한반도에서의 털복주머니란 자생지로, 백두산이 북방한계선이 되고 함백산이 남방한계선이 되는 셈이지요. 꽃 피는 시기는 함백산이 6월 초[사진1], 그리고 백두산이 7월 초이니 두 곳의 ‘꽃시계’가 딱 한 달 차이 날 뿐 같은 식물이 자라고 똑같은 꽃을 피우는 하나의 땅임을 말없이 일러줍니다. 그리고 이는 백두산에서 함백산 사이 백두대간 줄기에 놓여 있는 북한 지역의 고산지대에도 당연히 많은 털복주머니란이 자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