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철의 야생화] 각시수련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무쇠도 녹일 듯 찌는 삼복더위를 아랑곳하지 않고 활짝 피어나는 ‘여름 야생화’를 보면서, 미국의 한 심장 전문의가 스트레스 해소 방안의 하나로 처음 썼다는 명언을 새삼 떠올립니다. 7월호에 소개한 해오라비난초를 비롯해 남덕유산 능선의 분홍색 솔나리, 가야산 정상의 백리향, 선자령 숲속에서 피는 붉은색의 제비동자꽃, 그리고 전국 각지의 오래된 연못에서 드물게 만나는 가시연꽃 등등.
그런데 ‘피할 수 없어 즐기는’ 정도가 아니라, 염천(炎天)의 뙤약볕을 천혜의 선물인 양 온몸으로 받아들이는 야생화가 있습니다. 햇살이 가장 강렬하게 내리쬐는 바로 그 시간대에만 꽃잎을 활짝 열고 더없이 맑고 환한 얼굴을 세상에 내비치는 꽃이 있습니다. 바로 꽃은 물론 이파리 등 전초(全草)가 깜찍하다고 할 만큼 작고 예쁜 각시수련입니다.
식물명에 수련(睡蓮)이란 한자가 들어 있는 데서 알 수 있듯 ‘잠자는 연꽃’의 일종인데, 그냥 잠을 자는 게 아니라 잠자는 모습을 행여 남들이 볼세라 수면시간에는 어여쁜 얼굴을 닫고 아예 자취를 감춰, 먼 길 마다치 않고 찾아온 객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곤 합니다. 필자 또한 처음 각시수련을 만나던 날 크게 당황했습니다. 남한 내 유일한 자생지로 알려진 강원도의 오래된 못을 물어물어 찾아갔는데, 분명히 피어 있을 것이라고 전해 들은 각시수련이 단 한 송이도 보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꽃의 지름이 2~3cm에 불과할 만큼 작아, 못 한가운데 필 경우 멀리서 보면 잘 분간이 안 될 수 있다지만, 그 어떤 피부미인 못지않게 도드라진 순백의 꽃을 ‘천하의 꽃쟁이’가 못 알아보겠느냐 장담했건만 아무리 샅샅이 살펴봐도 흔적조차 찾을 수 없었습니다. 영문을 몰라 답답해하던 중 자생지를 일러준 꽃 친구의 말이 생각나 무릎을 쳤습니다.
“대개 점심을 먹고 찾아가서 봤다. 아침나절에 가면 물속에 잠겨 있기 때문에 아예 볼 수 없다. 보통 낮 1시는 넘어야 얼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습니다. ‘미인은 잠꾸러기’란 말이 있듯 오전엔 어김없이 물속에서 잠들어 있다가, 수온이 오르고 수은주가 치솟는 대낮이 돼야 잠에서 부스스 깨어나 청초한 꽃송이를 하나둘 물 위에 펼치고 유유자적 여름 뙤약볕을 즐기는 것이지요. 정확하게 낮 1시 15분부터 각시수련의 깜짝 등장을 지켜보면서, 학명 중 속명 님파이아(nymphaea)가 그리스 신화 속 ‘요정(妖精)’ 님프(nymph)에서 따왔다더니 과연 ‘물의 요정’이라 할 만하다고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애기수련이라고도 불리는 각시수련은 말발굽 모양의 타원형 잎을 물 위에 띄우고 사는 부엽식물(浮葉植物)의 일종입니다. 보통 6월에서 8월까지 한여름에 꽃을 피운다고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9월 하순에도 싱싱한 꽃을 만날 수 있으니 개화 기간이 알려진 것보다 더 길다 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설명했듯 낮이면 꽃잎을 열고 저녁이면 다시 닫는데, 단순히 꽃잎을 여닫는 게 아니라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올라왔다 하기를 3~4일 반복한 뒤 열매를 맺고 아예 수면 아래로 잠기면 다시 새로운 꽃이 피는 식으로 서너 달을 지속한다고 합니다.
Where is it?
각시수련은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희귀한 특산식물이다. 처음 발견된 곳은 왕래가 끊긴 지 하도 오래돼서 이름도 생소한 황해도 장산곶 몽금포라는 곳인데, 이 때문에 지금도 많은 도감은 황해도 장산곶 또는 황해도 몽금포를 대표적인 자생지로 표기하고 있다. 갈 수 없는 몽금포 이외에 알려진 자생지로는 강원도 고성의 오래된 작은 연못인 천진호가 거의 유일하다. 백두산 주변 습지에도 비슷한 종이 자생하는데, 만주수련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환경부는 고성 이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전형적인 북방계 수생식물인 각시수련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할수록 멸종 위기에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2012년부터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
서울신문 기자로 29년 일했다. '김인철의 야생화산책(ickim.blog.seoul.co.kr)' 블로그를 운영 중이다. '야생화 화첩기행'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