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숲] 경북 문경 선유동천 나들길
경북 문경시 가은읍에 있는 ‘선유동천 나들길’의 총 연장은 8.4km. 선유동촌을 중심으로 한 구간이 1코스(4km), 용추계곡 일원은 2코스(4.4km)다. 백미 구간은 선유구곡이며, 용추계곡의 용추폭포도 하트(♥) 모양의 소(沼)로 유명하다. 구간마다 차량 접근도 쉬운 편이다.
산만큼 완벽한 미학과 안정감을 구현한 건축이 다시 있을까. 조물주의 전공은 디자인. 산을 지어놓고 보기에 좋아 한판 거하게 놀았을 거다. 바위들아 모여라, 새들아 오라, 당실당실 흘러가는 구름아, 너도 멈추어라. 그렇게 불러 모아 축연을 펼쳤으리라. 비경이 아롱졌으리라. 불세출의 디자이너는 향연을 마치고 우주의 기슭으로 떠났다. 풍경만 남았다. 문경 땅에 있다. 조물주의 솜씨가 아니고선 이룰 수 없는 절경이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앗, 탄복하며 이곳을 선유동천(仙遊洞川)이라고, 즉 신선이 노니는 계곡이라 불렀다.
신선이 따로 있겠는가. 명산에, 명승에, 명경지수에 동화되면 신선이다. 산의 밝음과 물의 맑음을 마음에 담으면, 잠깐이나마 신선 흉내를 낼 수 있다. 그대여, 선유동천에 오라. 이곳에서 시름과 노여움을 씻어 완전한 자유를 맛보라. 선경(仙境)이란 순수를 되찾게 하는 선경(善境)이기도 하지 않던가.
경관을 가늠하는 사람들의 눈썰미는 비슷한 모양이다. ‘선유동천 나들길’은 지난해, 산림청이 전국의 숲길 이용자들을 상대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1위를 했다. 사랑스러워 담뿍 정들기 마련인 게 이 나라 산천이다. 정겨운 풍치만 빼어나던가? 선조들은 흔히 산을 경전(經典)으로 읽었다. 산의 음성과 뜻에 귀 기울여 화두를 얻었다. 어떤 이들의 한 생애는 통째 산을 닮으려는 노력이었다. 산림의 기질, 야생의 지성, 어쩌면 우리 안에는 그런 게 흐른다. 살수록 증폭되는 혼돈이 그걸 파먹어대지만.
초록 숲 사이로 이어지는 조붓한 길을 걷는다. 그러나 발길은 번번이 계곡 안통으로 이끌린다. 첩첩히 겹치거나 길길이 일어서거나 어깨를 겯거나, 동맹을 맺은 장한(壯漢)들처럼 도도한 바위들이 제전을 펼치는 계곡이지 아니한가. 살갗은 희고 매끄럽다. 물살과 바람과 시간에 마모된 굴곡은 유려하기 그지없다. 미와 기세를 다투는 수석(水石)들의 경연장이다. 이런! 경연이라니? 바위들은 겨루지 않는다. 미동조차 없이 천년만년 고요하니 삶과 죽음의 경계마저 이미 초월한 것을. 저 움푹 팬 바위 틈서리에 누우면 긴 꿈에 빠져 바위를 닮을 수 있을까. 따지고 보면 사람의 생은 하루살이처럼 짧다. 게다가 형극이기조차 하다. 무슨 해탈한 정신으로 바위는 유유히 겁(劫)을 사는가. 어쩌면 바위가 불멸하는 신선이다. 그래서 선유동이다.
너럭바위에 걸터앉고 보니 저만치에 폭포가 있다. 귀를 때리는 물소리가 통쾌하나 독재처럼 오만하다. 하지만 낮은 곳으로 흐르고 흘러 수평의 바다로 가는 물이다. 사람은 모자라 수평과 평등에 서툴다. 그래서 세상은 악다구니로 시끄러운 난장이다. 어이, 귀나 씻으며 놀다 가소! 바위가 들려주는 말이 그렇다.
폭포수는 흘러 물웅덩이를 이룬다. 밑바닥이 빤히 비치는 연초록빛 깨끗한 소(沼). 수면엔 나무 그림자 일렁거린다. 물속에서 노니는 버들치들의 태평한 행렬이 숫제 선율이다. 순간적으로 뇌리에 새겨진다. 크리스털 세공(細工)처럼 투명한 놈들의 몸 안엔 어떤 꿈과 욕망이 서려 있을까? 내장까지 비칠 듯 해맑은 몸뚱이란, 시달릴 탐욕이라는 게 없다는 웅변인가? 그렇다면 버들치도 신선이다. 그래서 선유동이다.
아홉 군데 뛰어난 경승에 각각 이름을 붙여 선유구곡(仙遊九曲)이라고도 부른다. 으뜸가기로는 제9곡 옥석대(玉舃臺)다. 천하 절경이니 여기에 정자가 없을 리 없지. 학천정(鶴泉亭),물가 둔덕에 들어앉아 풍경을 내려다보는 별서(別墅) 건물이다. 선유동에서 후학을 가르친 조선의 문신 도암 이재(李縡, 1680~1746)의 덕망을 기려 후학들이 세웠다. 일찍부터 많은 인걸들이 선유동을 유람했다. 신라의 석학 고운 최치원(崔致遠 857~?)도 이 골짜기를 순례했다 전해온다.
외로운 구름, 고운(孤雲). 이는 어쩌면 최치원의 생애를 상징하는 완벽한 메타포다. 순항과 표류를 거듭했던 선장. 날지 못한 이카로스. 고운은 시대와의 길항(拮抗), 그 끝자락에서 마침내 청산으로 스며들었다. 혹자는 산에서 우화(羽化), 신선이 됐다고 봤다. 그러나 입산 이후 고운의 종적은 사실상 미궁이다. 선유동에 서렸다는 고운의 족적 역시 전설의 가필일 수 있겠지. 그저 고운의 이름을 듣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