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
- ‘간질’로 불리던 질환, 뇌전증…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관건
- 2025-07-17
-
- “아이들 보호, 어른이 나서야”… 대한은퇴자협회, 청소년 자살률 관련 성명
- 2025-07-16
-
- 日 근로자 6명 중 1명 돌봄 부담… 50~70대 ‘겸업’ 시달려
- 2025-07-16
-
-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봉사원 대상 치매 교육 실시
- 2025-07-14
-
- “청년담당관은 있고, 노년담당관은 없다” KARP, 전담 조직 신설 촉구
- 2025-07-14
-
-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아세안 6개국 대상 ‘2025 핵심인력 양성 프로그램’ 성료
- 2025-07-11
-
- 돌봄통합, “실행력 높이려면 ‘재정·인력 보완’이 과제”
- 2025-07-11
-
- 찜통더위에 살모넬라까지… 식중독 비상
- 2025-07-10
-
- 돌봄 현장의 첨병, 생활지원사 아시나요?
- 2025-07-10
-
- “한국사회 노령화 대응 위해, 4500만 인구저지선 설정해야”
- 2025-07-10
-
- “늙음은 죄가 아냐”… 대한은퇴자협회, 대통령실 앞에서 4대 노년정책 촉구
- 2025-07-09
-
- 생성형 AI, 파킨슨병 조기 진단에 예측 영상까지 완수
- 2025-07-09
-
- “온 국민 건강하게 80세까지”… ‘건강수명 5080’ 국민운동 본격 시동
- 2025-07-08
브라보 인기뉴스
-
- 수지도서관 ‘AI로 작가 되기’ 프로젝트
- 경기도 용인시 수지도서관의 ‘AI로 작가 되기’ 교육은 AI을 활용해 동화책을 쓰고, 그림을 그리며, 편집해 출판까지 해내는 디지털 창작 실습형 프로그램이다. 책을 만든 이들은 대부분 40~50대 중장년으로, AI 활용은 다소 어렵게 느끼지만 창작을 향한 열망은 누구보다 뜨거운 세대다. 도서관 교육으로 다시 태어난 ‘작가의 꿈’ 수지도서관 ‘AI로 작가 되기’ 수료생 유안휘 씨는 1972년생으로 직장에서 기획 업무를 했지만 마음 한쪽에 글쓰기와 작가의 꿈을 품었던 사람이다. 컴퓨터가 낯선 편은 아니었음에도 생성형 AI는 생소했다.
-
- AI 시대, 글쓰기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 소설가이자 시인, 수필가로 활동하며 계간 ‘문예바다’ 편집장을 맡고 있는 이성숙 작가. 최근 AI 글쓰기를 연구하고 강의하며 시대 변화에 맞선 새로운 창작법을 모색 중이다. 문학 그리고 AI라는 다소 이질적인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엮어내는 그의 시선에는 글쓰기의 본질과 미래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 있다. “앞으로 5년 뒤 우리가 아는 직업의 모습은 크게 달라질 겁니다. 작가도 예외가 아니죠. 이제는 누구나 AI를 이용해 글을 쓸 수 있는 시대예요. 그렇다면 진짜 작가는 무엇으로 구별될까요? 바로 창의력입니다.” 이성숙 작가가 처음
-
- 처음 써보는 AI, 어떻게 시작할까?
- AI를 활용하는 시대가 열렸다. 누군가는 손주에게 들려줄 동화를 만들고, 누군가는 일기를 그림으로 남긴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생성형 AI’가 있다. AI를 경험한 적 없는 우리 세대에게 낯섦이 하나의 장벽이 되기도 하지만, 그 작은 허들을 넘어서면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누구나 AI를 일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쉬운 사용법을 소개한다. Part 1. AI 용어부터 차근차근 Q AI란 무엇인가요? A 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줄임말로 ‘인공지능’을 뜻한다.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하는 ‘지능’을 컴퓨
-
- “나도 한다 AI”
- 노인과 (정보의) 바다. “산티아고는 뼈만 남은 청새치를 끌고 돌아옵니다. 이는 인간의 패배와 고독, 그리고 희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소설입니다.” 인공지능(AI)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를 이렇게 소개합니다. 인터넷, 스마트폰, AI로 이어지는 디지털 환경 속에 현대인은 정보의 망망대해를 헤엄치고 있습니다. 비단 고령자만 허덕이는 것이 아닙니다. 워낙 빠른 성장 속도에 모두가 혼란스럽습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교육격차가 줄고 산업 전반의 효율성이 높아졌지만 디지털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과 그렇지 않은
브라보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