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얼굴의 책임 - 겉과 속의 조화

기사입력 2018-02-28 10:32

[송유재의 미술품 수집 이야기]

공자(BC551~BC479)는 ‘논어’ 양화편(陽貨篇) 26장에서 “마흔이 되어서도 남에게 미움을 산다면, 그 인생은 더 볼 것이 없다(年四十而見惡焉, 其終也已)”고 설파한다. 스스로 마흔을 불혹(不惑)이라 했으니 마흔 살을 인격이 형성되는 때로 본 것이다.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도 “태어날 때는 부모가 만든 얼굴이지만 그다음부터는 자신이 얼굴을 만드는 것이다. 나이 사십이 넘으면 모든 사람은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다시 ‘논어’ 옹야편(雍也篇)에서 공자는 “겉모습과 바탕이 잘 어울린 뒤에야 군자다운 것이다(文質彬彬 然後君子)”라고 쓰고 있다. 사람의 얼굴과 인성을 언급한 예는 얼마든지 더 많을 것이다.

예술가들은 ‘자화상’이나 ‘자소상(自塑像)’ 작업이 제일 힘들다고 말한다. 거울을 보고 스케치하자면, 극사실의 사진처럼 묘사할 수는 있겠으나, 얼굴 내면의 깊은 속내를 표출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기에 그렇다. 성인이 되고 한 20여 년 지나오면서 가정적으로 일가를 이루고, 사회생활의 역경을 체험하며 얼굴도 그 과정을 따라 변할 수밖에 없을 터다.

박근자(朴槿子, 1932~) 화가는 영화감독 유현목(兪賢穆, 1925~2009)의 아내로 잘 알려진 여성이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화가로 입문하며 유 감독과 결혼. 그러나 자녀가 없어 마음의 빈 공간을 그림 그리기로 채워나갔다.

“현미경 사진을 보면 확대된 자연 속에 이미 추상화가 존재함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도 인간은 육안으로 볼 수 없다고 이해하려 들지 않고 있어요. 자연은 확대해 볼수록 정교하고 조화가 있지만, 인간이 만든 것은 거칠어지고 부조화가 나타나요.” 추상화의 변이다. 1973년 이래 1979년까지는 “내 자신에 내재 된 ‘속 얼굴’을 캔버스에 형상화하기 위해 고심하였다”고 ‘얼굴’ 전에 쓰고 있다. 얼굴만을 주제로 서너 차례 개인전도 열어 호평을 받았다.

박 화가는 1969~1970년에는 한 일간지의 임시 해외 특파원으로 글·그림 취재차 세계여행을 하며 유려한 문체와 수준 높은 드로잉으로 신문 지면의 격을 높였다. 1977년에는 에세이집 ‘얼굴’을 출간하기도 했다.

“50년대 초반 미술대학 시절부터 ‘얼굴’이란 소품은 하나의 습작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70년대 들어서면서 ‘얼굴’이라는 소품들은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뜻을 지니고 계속 구현되고 있는 변치 않는 유일한 화제(畵題)이다.” 에세이집에 있는 박 화가의 글이다.

▲[그림1] 박근자 ‘푸른 눈의 소녀’ 종이에 수채, 파스텔 24×17cm, 1979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그림1] 박근자 ‘푸른 눈의 소녀’ 종이에 수채, 파스텔 24×17cm, 1979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그림1]은 1979년의 전시회 출품작 ‘푸른 눈의 소녀’ 이다. 박근자 화가의 그림은 너무 귀해서 실물을 접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10회 이상의 개인전을 열었으나 그 규모가 작고 작품들도 적어서 화랑가에도 나타나지 않았다. 미술품 수집가이면서도 학술적 연구의 궤적이 큰 분에게서 두 점의 드로잉을 입수했다. 마치 큰 보물을 얻은 듯 가슴에 꼭 안고 돌아오는 길이 행복했다.

종이에 수채와 크레용으로 단숨에 그린 ‘얼굴’의 반쪽은 파란 유리 빛에 물들어 있다. 두 눈은 연녹색으로 크기와 각도가 어긋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조화를 이루어 깊은 사색의 그늘을 읽을 수 있다. 슬며시 맑고 투명한 속내가 엿보인다.

신양섭(申養燮, 1942~)은 언필칭 발군의 화가다. 서라벌예술대학교를 졸업하고 1978~1981년 연 4회 국전 특선을 하고 1981년 대통령상을 차지했다. 국전 대통령상은 화가 지망생에게 최고의 영예이며 해외 견학의 기회까지 주어져 견문과 식견을 넓히는 디딤돌이 된다.

신 화가는 50여 년 미술활동을 하면서도 350여 점의 작품만 남겨 과작(寡作)의 작가로 유명하다. 또 다른 별호는 ‘흰색의 화가’다. 그의 작품들을 보면 흰색 바탕에 흰색의 질료로 고향의 산천, 오두막, 소, 새와 들 등을 묘사하며 두터운 마티에르로 평면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고 있다.

1989년 ‘하얀 추억’이라는 타이틀의 전시에서 그가 출생해 유년을 보낸 충청도 시골의 소소하고 칙칙한 풍경들을 마음으로 정화해 흰색을 주조로 한 환원의 작품세계를 나타냈다면, 2010년 인사동 노화랑에서 8년 만에 연 초대전에서는 ‘내 안의 풍경’이라는 주제를 통해 흰색을 주조로 하되 캔버스에 면섬유나 종이부조 등을 붙이고 채색도 좀 더 다양한 변화를 시도했다.

“작품세계를 성찰하고 변화시키기 위해선 시간과 수련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세상의 냉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잖아요.” 과작의 변이다.

“신양섭의 작품은 마치 흙벽의 푸근한 질감을 연상케 한 바 있으며 시골의 담 벽이나 부엌의 연기에 그을린 아궁이처럼 정감으로 가득 찬 것이었다. ’마음의 풍경‘은 자기 속에 걸러진 것, 물고기와 사람, 나무와 새, 여인과 교회 등 아무런 맥락도 갖지 않는 사물들이 서로 비집고 자리함으로써 또 하나의 질서를 만들어가는 범신(汎神)적 차원을 형성하는 것”이라 평론가는 정의했다.

▲[그림2] 신양섭 ‘얼굴’ 캔버스에 유채 28×18cm, 1988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그림2] 신양섭 ‘얼굴’ 캔버스에 유채 28×18cm, 1988년(이재준 미술품 수집가)

[그림2]는 1989년 ‘하얀 추억’ 전에 출품되었던 작품이다. 유년의 부친 얼굴이거나, 사십 중반의 작가 자화상일 것이다. 흰 바탕에 두터운 물감을 덧바름으로써 질박한 얼굴을 표현했다. 머리며 이마, 눈, 코, 입 모두 범상치 않다. 입술의 연붉은 채색은 언어로 그 무엇인가를 소통하려는 메시지로 읽힌다. 내면에 관류하는 복잡한 사유가 뒤엉켜 흘러넘치는 모습으로도 보인다.

바람에 스쳐지나가는 구름을 그릴 수 없듯, 마음속 희로애락에 따라 겉으로 드러나는 얼굴 표정을 그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예로부터 많은 화가들은 그 마음결의 한 끝이라도 그리고자 애써왔다. 살아오면서 ‘더럽혀지기 이전의 순결한 마음’을 찾을 수 없게 황폐해진 현대인들의 얼굴에서도 한 자락 맑은 빛을 엿보려는 줄기찬 노력이, 그림을 바라보는 이들에게도 정화(淨化)의 경지를 느끼게 해줄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