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송유재의 미술품 수집 이야기] 소리로 열리는, 환희의 빛

기사입력 2017-01-20 14:34

올해 정유년(丁酉年)은 열두 동물로 나타내는 12지신 중에서 ‘닭[酉]’띠 해가 된다. 예로부터 중국이나 우리나라에는 새해마다 정해진 열두 동물이 윤회하며 한 해를 상징하는 풍습이 있는데 그로부터 기인된 것이다. 용(龍)을 빼고 열한 동물은 인간 주변에 있는 것들이고, 날개 있는 동물로는 닭이 있을 뿐이다.

▲엄태정 <빛> 구리와 철 47cm x 21cm x 62cm 1990년
▲엄태정 <빛> 구리와 철 47cm x 21cm x 62cm 1990년

중국 서진(西晉)의 진수(陳壽 233~297)가 편찬한 <삼국지 위지 동이전(三國志 魏志 東夷傳)>에는 ‘한(韓)에는 꼬리가 5척(尺)이나 되는 세미계(細尾鷄)가 있다’고 적혀 있고, 송(宋)의 범엽(范曄 398~445)이 지었다는 <후한서(後漢書)>에도 ‘마한(馬韓)에 장미계(長尾鷄)가 있는데 꼬리가 다섯 자[尺]나 된다’는 기록이 있다. 또 당(唐)의 위징(魏徵 580~643)이 지은 <수서(隋書)>에 ‘백제에는 닭이 있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토종화된 닭을 키웠다고 여길 수 있다.

육당 최남선(六堂 崔南善 1890~1957)은 ‘닭’의 어원(語源)이 산스크리트어로 해동(海東=우리나라)을 부르던 kukuta[닭] svara[귀함]가 한자로 구구타귀(矩矩吒貴), 계귀(鷄貴)에서 ‘구구, 꼬꼬댁’ 등으로 음전화(音轉化)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漢)의 한영(韓嬰 ?~?)이 지은 <한시외전(韓詩外傳)>에는 닭이 다섯 가지 덕(德)이 있는 덕금(德禽)이라 표현되어 있는데 닭 벼슬의 관(冠)은 문(文), 발 갈퀴는 무(武), 죽을 때까지 용감히 싸우는 모습은 용(勇), 먹을 것을 보고 친구를 부르는 행위는 인(仁), 밤을 지켜 때를 잊지 않고 알리는 것을 신(信)이라 표현해 칭송하였다고 한다.

이런 거창한 칭송이 아니더라도 닭은 새벽을 알려주는 울음만으로도 신령(神靈)한 동물일 수밖에 없었다. 온갖 악귀(惡鬼)들이나 무서운 맹수들이 활개 치던 길고 두려운 어둠을 그 낭랑한 울음소리와 함께 거둬내고, 밝은 새날을 맞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닭은 태양을 불러오는 상서(祥瑞)로운 동물인 것이다.

새해가 돌아오면 집에 벽사(辟邪)의 의미로 호랑이 그림과 더불어 닭 그림을 붙였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실린 김알지(金閼智 65~?)의 탄생 신화도 닭의 울음에서 비롯된다. 당시 신라 4대 왕 석탈해이사금(昔脫解尼師今 ?~80)은 그 닭이 울던 시림(始林)을 계림(鷄林)이라 고쳐 부르고 국호(國號)로 삼았다. 이후 15대 기림왕 10년(307)에 다시 ‘신라’로 바뀔 때까지 계림은 두 세기 이상 국내외에서 통칭되었다.

이만익(李滿益 1938~2012) 화백의 그림 <닭 울음>은 여러 ‘닭의 신화’를 모티브로 그린 작품이다. 빛나는 태양과 눈부시게 서기(瑞氣)를 내뿜는 닭 울음의 순간이 가히 백미이다. 간결한 구도와 짙은 색감, 굵은 선이 신화의 한 장면으로 자연스레 이어지고 있다. 닭이 올라앉은 복숭아나무는 꽃이 만개하여 무르익은 봄의 정취도 그만이다. 잘 아는 수집가를 졸라서 입수하게 된 이 그림을 큰아이의 결혼청첩장에 쓰려고 의논하였더니 이 화백도 아주 기뻐하였다. 수집한 미술품으로 가족달력을 만들 때도 온 가족이 손꼽는 작품이다.

▲이만익 <닭 울음> 캔버스에 유채 45.5cm x 37.9cm 1992년
▲이만익 <닭 울음> 캔버스에 유채 45.5cm x 37.9cm 1992년

이 화백은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 남하하여 서울의 효제초등학교, 경기중·고등학교 시절, 전국의 미술대회를 석권한 빼어난 인재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수석 입학하였고 졸업 후 서울예고 등에서 10여 년의 교직 생활 후 파리로 유학, 빈한한 여건 속에 괴츠아카데미(Goetz Academy)에서 앙리 괴츠(Henri Goetz, 프랑스 화가)에게 사사(師事), 그러나 2년여 후에 뜻한 바 있어 귀국하였다.

이후 그는 “우리는 서양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큰 오류를 범해, 우리라는 주체를 잃어버린 채 서양의 재료와 방법을 받아들였다. 우리의 미술 교육이 서양 사람이 되도록 그 감성마저 바꾸어놓았다”고 개탄하며 새로운 작품세계를 구축, 우리나라의 신화와 설화를 주제로 한 독특한 그림을 그렸다. “다시는 서쪽으로 눈 돌리지 않았다”고 천명하기도 하였다. 88서울올림픽 개·폐회식의 미술감독을 맡아 세계에 “한국 고유의 문화를 격조 높게 승화시켰다”는 아낌없는 찬사를 받았다.

조각가 엄태정(嚴泰丁 1938~ )은 경북 문경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의 세인트 마틴스 미술대학에서 수학했다. 그 후 2004년까지 모교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그는 재학 시절 스승 우성 김종영(又誠 金鍾瑛 1915~1982)의 첫 철조작품 <전설>(1958)을 접하고 “장시간 부식된 철재 판재의 스크랩으로 철재가 지니고 있는 시간성과 사물성을 통해서 교묘한 철재의 공간성과 함께 이 조각 작품에 담겨져 있는 숨겨진 진실이 무엇일까 하는 질문에 많은 시간을 허비했던 기억이 난다”고 그의 책 <조각과 사유>에 쓰고 있다.

엄 화백은 1972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도쿄(1975), 런던(1980) 등 국내외에서 개인전과 단체전에 출품하였다. 그의 조각 정체성의 시발점은 세계적인 조각가 콘스탄틴 브랑쿠시(Constantin Brancusi 1876~1957)의 금속조각에서 받은 깊은 감동에서 비롯된다. 브랑쿠시는 “조각 본래의 요소는 우의적인 사고, 상징, 성스러움 혹은 물질 속에 숨어 있는 본질의 탐구를 의미하지, 결코 외관을 사실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언한 사유(思惟)와 명상(冥想)의 구도자(求道者) 같은 조각가였다. 한때 오귀스트 로댕(Auguste Rodin 1840~1917)의 문하에 들까 하다가 “큰 나무 밑에선 작은 나무도 자랄 수 없다”며 독자의 길을 개척한 현대 추상조각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엄 화백은 “브랑쿠시는 세상의 모든 사물의 대상을 주제로 삼고, 그 속에서 본질을 찾아 조각을 이루며, 형이하학(形而下學)의 물질적 한계를 극복하고 초월하여 빛으로, 하늘로, 대지로 형이상학(形而上學)의 예술적 사물이 되어 조각으로 존재하고 있다”면서 브랑쿠시를 ‘넘어야 할 산’이라 하였다.

1997년 현대갤러리, 2009년 성곡미술관 등 엄태정 조각가의 전시장을 찾아다니며 거대한 금속괴(철, 구리, 알루미늄)를 관류(貫流)하는 스케일 큰 그의 예술세계를 느꼈다. 언제나 그의 조각상을 보고 싶으면,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의 문인 자하 신위(紫霞 申緯 1769~1847)를 기리는 연못, 자하연(紫霞淵) 앞에 우뚝한 그의 작품

<겨레와 함께 미래로>를 찾아간다. 1998년 서울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작인 이 청동 작품은 곧게 뻗은 네 개의 기둥이 공간에서 넓은 나래로 연결되어 사방으로 웅장하고 높은 기운을 내뿜으며, 하늘 높이 비상하고 있다.

그의 소품 조각은 아예 없어서 수집할 길이 없었는데 1998년 10월, 한 옥션에 소품 석 점이 올라왔기에 하도 반가워 이 작품 <빛>을 낙찰받았다. 원형의 두툼한 구리판을 열일곱의 크고 작은 세모꼴로 부식시키고 철 기둥에 붙인 이 작품은 원형을 이루며 조응하고 있다. 크고 작은 조각들이 팽팽히 확산과 응집을 이루며 빛을 반사하고 있다. 부식된 자리는 검은 철로 마무리해, 빛의 그늘로 입체감을 주었다. 빛은 밝음이며, 따뜻함이며, 끝없이 밀려오는 환희의 물결이다.

이재준(李載俊)

1950년 경기 화성 출생. 아호 송유재(松由齋). 미술품 수집가, 클래식 음반 리뷰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노인은 욕구가 없단 편견이 문제 “건강한 성생활 하세요”
  • 일본판 “라면 먹고 갈래요?” 노년층 친구 찾는 방법은?
  • “나이 들어 아파도 거뜬하게” 중장년의 슬기로운 섹스 방법
  • “우리, 이대로 괜찮을까?” 중년의 성생활, 터놓고 말합시다!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