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걸음마다 오랜 시간 품은 옛이야기를 듣는다. 깊은 산중에 난 흙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때 묻지 않은 숲의 기운을 온몸으로 받는다. 느긋한 마음으로 호젓하게 걷는 그 길 위에선 작은 것에도 너그러워질 수밖에 없다. 연풍새재 옛길, 걷다 보면 흔적마다 생생한 이야기가 묻혀 있다. 새들도 쉬어 간다는 험준한 조령(鳥嶺)을 넘어 걸었던 민초들의 그 길 위에 내 발걸음도 얹는다. 풍경으로 역사를 읽다 연풍, 이름만 들으면 누군가는 오래전의 영화 ‘연풍연가’를 떠올릴 수도 있다. 배우 장동건과 고소영의 청춘스타 시절 로맨스 멜로 영화 제목이
2025-02-21

최근 일본에서는 인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활동 ‘종활(終活, 슈카쓰)’이 확산되고 있다. 고령자가 인생의 마무리를 스스로 계획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지원하는 회사와 카운슬러가 증가하는 추세다. 대표적으로 유언장 작성, 유산 정리, 장례식 및 묘지 준비, 디지털 유품 정리가 있다. 종활은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마지막을 아름답게 완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한다. 종활이 확산된 배경으로 일본의 고령화로 인한 가족 형태 변화를 꼽을 수 있다. 독거노인 증가, 핵가족화 등으로 가족관계가 소원해지기 쉬운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신탁제도 잘 활용하면, 무덤서도 재산 관리 가능케 해”
고령화 시대에 노후 자산관리의 한 방법으로 신탁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고령사회가 되어가면서 사전·사후의 자산관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고, 우리나라와 사정이 좀 다르긴 하지만 해외 사례들을 보면서 신탁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약자 보호하는 공적신탁 현재 은행, 증권사, 보험사, 부동산신탁사 등 다양한 기관에서 신탁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보험금대용신탁, 유언대용신탁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관에서 신탁을 설정하려면 최소 몇억 원 이상의 자산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허들이 존재한다. 그렇지 못한

월분배형 ETF가 시니어 자산관리 시장의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월분배형 ETF는 주식, 채권, 옵션, 리츠 등의 기초자산에 투자해 해당 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 이자, 옵션 프리미엄 등을 수취하고 이를 매월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상품이다. 2023년 말 3조 4000억 원 수준이던 월분배형 ETF 순자산 총액은 2024년 말 19조 4000억 원에 달했다. 놀라운 증가 속도다. 월분배형 ETF의 인기 비결은 무엇일까?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높은 분배율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운용하는 TIGER 월분배형 ETF
-
- ‘전기’처럼 일상에 녹아들 금융AI,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 지난 1년 새 사라진 은행 점포는 50여 곳. 금융권의 AI 도입은 이제 ‘공간이 사라진다’는 개념을 넘어 금융시장의 진화를 이뤄내고 있다. ‘금융 AI의 이해’, ‘AI 소사이어티’를 쓴 김태헌 저자는 “마치 AI가 전기처럼 스며드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와 함께 AI가 바꿔가는 금융시장에 대해 알아봤다. ‘금융’이라고 하면 우리는 보통 은행을 떠올린다. 계좌를 만들어 돈을 송금하는 행위, ATM 기기에서 현금을 뽑는 행위, 집을 사기 위해 은행 창구에서 대출을 하는 행위 등을 연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금융’은
-
- 아직 늦지 않은 60대 노후준비 “연금 다층화와 현금흐름 핵심”
- 60대 이상은 재산을 가장 많이 축적한 세대이며, 은퇴를 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시기에는 돈을 추가로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유지한다는 생각으로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자녀 상속을 생각하고 있다면 본격적으로 계획을 세워야 한다. 박준범 한국은퇴연금아카데미 대표, 배정식 법무법인 화우 자산관리센터 패밀리오피스본부 전무와 함께 60대 이상을 위한 자산관리 전략을 살펴보자. 3층 연금, 효율적으로 수령하기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서는 3층 연금을 잘 쌓아야 한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3층 연금의 구
-
- “50대, 은퇴 준비 마지막 골든타임” 은퇴 전후 50·60 재테크 전략
- 최근 세대별로 자산관리 전략이 달라지고 있다. 특히 전체 인구의 약 1/4에 해당하는 5060세대는 은퇴를 경험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재정적 준비는 생존과 안정된 노후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효율적인 재테크 전략을 세워야 할지, 김진웅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연구위원과 함께 알아봤다. 노후 자산 ₩0 소득은 평균 42세에 정점을 찍고, 이후 지속 감소하며 60세부터 적자로 재전환된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50대는 가구소득이 가장 많지만 근로소득이 줄고 재산
-
- 은퇴 전 40·50의 노후 자산 마련, 미래 준비 해법은?
- 하나금융연구소의 ‘대한민국 금융소비자보고서 2025’에 따르면 기혼 10가구 중 9가구는 노후 준비가 부족하거나 준비를 못 했다고 응답했다. ‘노후 준비해야지’라는 생각은 하지만, 실제 행동에 옮기는 이는 많지 않다. 유병장수 시대에 노후 자산 준비와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은퇴 전, 은퇴 직후, 은퇴 후 노후에 필요한 상황별 자산관리 전략을 알아봤다. 14세기 프랑스 철학자 장 뷔리당의 당나귀 이야기를 아는가? 배도 고프고 목도 마른 당나귀가 건초 한 더미와 물 한 동이 사이에서 무엇을 먼저 먹을지 고민하다 둘 중 어느 것도
건조한 공기로부터 호흡기 질환 예방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 계획 세우셨어요?
자율주행 시대 도래, 고령자 이동권에 영향 줄까?
쌀쌀해지는 날씨, 관절건강 지키기
-
- 한국잡지협회, 제46대 회장에 백동민 대표 선출
- 한국잡지협회(이하 잡지협회)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63차 정기총회를 통해 제46대 회장으로 백동민 아트인포스트 대표이사를 선출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협회장과 감사 선거가 함께 진행되었으며, 백동민 당선인은 협회 회원의 권리 강화를 통한 공평한 협회 운영을 공약으로 내세워 회원들의 지지를 받아 회장으로 당선됐다. 백 당선인은 당선 소감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큰 책임을 맡게 됐다"며 "회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약을 성실히 이행하며 협회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백 당선
-
- 기획재정부, 노인연령 ‘65세’ 상향 추진
- 19일 기획재정부 산하 중장기전략위원회는 노인연령 상향 등을 골자로 하는 ‘미래세대 비전 및 중장기 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둔 대한민국의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향후 고령층 지원 강화와 노인연령 상향 등 중장기적 과제를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전환 속도가 7년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기록하고 있다. 고령자 비율은 2060년 44.2%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노년부양비는 현재 27.4명에서 2066년 100.8
-
- 세계적인 팝페라 테너 임형주, 일본 팬미팅 개최… 20주년 맞아
- 세계적인 팝페라 테너 임형주가 일본 팬들과 만남의 자리를 갖는다. 임형주의 소속사 디지엔콤은 20일 “임형주가 오는 22일 오후 3시 일본 도쿄 ‘지카(gicca)’ 이벤트홀에서 열리는 공식 팬미팅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팬미팅에서는 임형주가 그동안 일본에서 펼쳐온 주요 공연들의 실황 영상이 상영되며, 팬들과의 사인회도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임형주는 지난해 일본 데뷔 20주년을 맞아 기념 싱글 앨범 히스토리 오브 러브(History Of Love)를 전 세계 동시 발매하며 오랜만에 일본 활동을 재개했다. 특히, 이번
-
- 간병 시장의 선순환 만드는 ‘케어네이션’
- 케어네이션은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사용자와 돌봄 제공자를 연결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이다. 간병, 동행, 가사 돌봄, 산후 돌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갑작스런 입원으로 간병인의 돌봄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대부분은 병원에 놓인 명함을 통해 사람을 구하게 된다. 이 경우 구체적인 환자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어떤 간병인이 오는지도 모른 채 병원에서 서로 첫 대면을 하게 된다. 이에 오프라인 간병 시장에서는 정찰제와 현금 결제가 관례처럼 행해지고, 추가 비용 요구, 간병비 미지급, 간병 당일 취소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다
브라보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