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작은 미술관이라고 깔보지 마소!

기사입력 2022-06-13 08:07

[감성 솔솔! 미술관 여기]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자본주의의 서사는 부를 통한 욕망의 충족을 축으로 한다. 그러나 돈만으로 욕망과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던가. 의식주의 흐뭇한 향유에서 나아가 내면의 허기까지 채우고서야 삶이 즐거워진다. 이 점에서 미술은, 또는 미술관은 꽤 쓸모 있는 방편이다. 그러나 흔히 미술관을 따분한 장소로 여긴다. 문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쉽고 만만해 보이는 미술관이라면 얘기가 좀 다르다. 여기에선 미술과 일상의 간극이 좁아진다. 아트센터 화이트블럭은 생활밀착형 미술관이다. 가볍게 커피 한잔 마시러 갔다가 예술을 덤으로 포식할 수 있는 곳이니까.

화이트블럭은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에 있다. 헤이리는 문화예술마을이다. 세상의 관습을 다른 관점으로 보는 버릇이 있는 문화예술인들이 뭉쳐 조성한 이색 마을로 파주의 대표적 문화 브랜드다. 이곳의 길들은 구불구불 연신 휘어진다. 속도와 직진을 숭상하는 풍속에 한 방 먹이는 형국이다. 바닥재로 쓰인 도로의 벽돌 틈새로 돋아난 풀들은 이 공동체 마을 주민들이 생태 환경 유지에도 신경을 썼음을 대변하는 상징물이다. 건물들은 저마다 다른 형상과 개성으로 도드라진다. 이 역시 의도된 구성이다. 모든 도시에 만연한 구조의 획일성에 반기를 든 셈이다.

헤이리는 볼 것 많고, 즐길 것 많으며, 느낄 것 많은 문화예술지구다. 미술관, 박물관, 작가들의 작업실, 공연장, 서점, 아트숍, 카페, 레스토랑 등이 즐비하다. ‘상업 거리로 변질됐다’고 읽는 눈들도 있지만 사람들 북적이는 곳의 상행위야 필연이며, 그 행태는 어디서나 요란한 법이다. 미감을 돋우는 디자인을 입힌 건물들에 들어앉은 영업집들이 그다지 거슬릴 게 없더라는 얘기다. 사실 헤이리의 명물은 건축물인데 몇 가지 수칙에 따라 조성됐다. 건물 높이는 3층 이하로, 건축 재료는 콘크리트와 목재와 철 등으로 제한했다. 외부 도색도 배제 사항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화이트블럭은 다소 일탈을 감행해 지어진 집이다. 헤이리의 개성 넘치는 건물 대부분이 노출콘크리트 양식을 지니고 있는데 이 미술관은 유리를 주조로 외부를 마감한 게 아닌가.

화이트블럭은 2011년에 개관했다. 사각형 박스 형상의 지상 3층 건물 외관은 매우 수려해 돋보인다. 외벽 일부엔 하얀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을 붙였지만 대부분 커튼월 유리창으로 치장해 유려하다. 벽이되 투명 벽이니 내부가 밖으로 훤히 드러난다. 건물 안에 배치된 사물의 모습과 앉았거나 움직이는 사람들의 동향이 내비친다. 통째 외부로 열린 집이다. 내부와 외부가 소통하는 개방적 공간이다. 이런 소통을 사람에 적용하면? 숨긴 속셈으로서가 아니라 탁 터놓은 마음과 마음의 교류? 무릇 밖으로 환하게 열린 모든 것들은 당당해서 아름답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초록나무들 무성한 실외 공간

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낭만적인 카페 풍경이 좍 펼쳐진다. 하늘과 수목이 들이치는 통유리 창가에 앉아 커피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사람들. 그들은 이 순간 평온하리라. 가슴 기슭에 슬픔을 지녔거나 기쁨을 가졌거나, 향기로운 차 앞에서는 차분히 가라앉는다. 이곳이 미술관 카페임을 알게 해주는 조형물이 놓인 실내는 세련미가 넘쳐 감성을 일깨운다. 온통 하얀 칠을 입힌 내벽과 기둥으로 이미 밝은 공간이지만, 바깥에서 범람처럼 들이치는 빛의 행렬로 더 밝다. 그러라고 유리 커튼월로 외벽을 채웠다. 자연 채광의 볼륨과 묘미를, 시시각각 달라지는 광량에 따라 변하는 공간의 생기를 만끽할 수 있는 거다.

화이트블럭은 미국건축가협회(AIA)가 주관하는 ‘건축디자인상’을 받은 바 있다. 설계자는 건축가 박진희와 홍존. 그렇다면 설립자는? 기업인 출신의 예술 애호가 이수문(화이트블럭 대표)이다.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국내 사립미술관치고 적자에 허덕이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 투자를 계속할 수밖에 없는 것. 그러니까 이수문 대표는 무모한 도전임을 뻔히 알면서 미술관을 설립한 셈이다. 아마도 미술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열광이 그를 추동한 것 같다. 번듯하게 키워낸 회사를 인생 황혼기에 정리해 마련한 자금으로 화이트블럭을 꾸렸으며, 요즘은 화이트블럭보다 한결 규모가 큰 대형 미술관을 천안에 조성하고 있다. 그는 화이트블럭을 추진하며 설계자에게 ‘멋을 추구하기보다 재미와 편리를 담은 건물’을 지어달라 했다. ‘화가들이 전시회를 하고 싶어 할 미술관’을 주문하기도.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전시실은 2, 3층에 있다. 현재 이종무 화백(1916~2003)의 ‘산에서 산산이’전이 펼쳐지고 있다. 이종무라는 이름이 생소한 이들도 많겠다. 이는 작품성은 빼어났으나 언제 어디서든 자신을 드러내길 꺼려한 이종무의 처신에서 기인한 현상일 수 있다. 그는 올곧은 수준에서 나아가 ‘꼬장꼬장하고 고지식한’ 인물이었다. 명망을 쟁취하기 위한 화단 일각의 아귀다툼에도 초연했으니, 그가 관심을 가진 건 다만 작품의 됨됨이 그 자체였을 테다. 이렇게 되면 진심으로 알아주는 이들이 있게 마련이다. 그의 작품이 성찰과 관조의 수단이었음에 경의를 느낀 이들이 많았을 것이다.

이번 전시회는 이처럼 개결한 풍모로 일관한 이종무의 만년 작품 다수를 내걸었다. 온통 산을 주제로 한 풍경화들이다. 말 없는 말로 생의 비의(秘義)를 전하는 산. 희로애락으로 점철되는 인생 레이스의 막다른 골목 끝에 우뚝 서서 사람을 보듬어주는 산. 이종무는 화구를 챙겨 들고 무시로 산을 찾았다. 산의 음성을 듣거나 산을 닮고자 했던 게 아닐까. 한평생에 걸쳐 모은 생각들을 산의 뜻에 견주어 캔버스에 풀어놓았으리라. 덤덤하나 깊고, 군더더기 없으나 겹겹의 상념을 자아내는 그의 작품을 두고 미술평론가 이경모는 이렇게 썼다.

‘시점의 다양화, 색과 빛의 우아한 조화, 구상성과 추상성의 융합,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의 어울림은 매우 실험적인 접근 방식이며, 이건 이종무 그림의 매력으로 작용한다.’

화이트블럭은 초록나무들 무성한 실외 공간까지 거느려 한결 호감을 준다. 건물의 인공미와 정원의 자연미를 연결해 조화로운 풍경을 빚어낸 미술관이다. 노랑꽃창포와 희거나 붉은 수련이 흐드러진 연못, 그리고 저 너머의 푸른 숲까지. 눈으로 쓸어 담을 수 있는 자연이 숱하다. 다시 말해 예술과 자연을 반죽해 순수하고 담백한 즐거움을 선사하는 미술관이다. 작다고 깔보지 마소! 화이트블럭이 하는 말이 그렇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