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도인이 지나간 전통 회화의 보루, 의재미술관

기사입력 2021-11-05 08:45

[감성 솔솔! 미술관 여기] 광주의 대표적 문화 공간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의재미술관은 광주광역시 무등산 자락에 있다. 광주 사람들의 무등산 애호는 유난하다. 세상에서 가장 듬직하고 후덕한 산으로 친다. 흔히 대찬 줏대와 넘치는 예술적 풍정을 광주의 개성으로 꼽는다. 이는 무등산을 산소처럼 숨 쉬며 살아가는 지역민들에게 은연중 형성된 토착 정서의 산물로 해석되기도 한다. 무등산 하면 한국화가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 1891~1977)을 떠올리는 이들도 많다. 그는 무등산 산방에서 30여 년을 살았다. 화가로, 다인(茶人)으로, 농업 교육가로, 실천적 도인으로 인상적인 족적을 남겼다. 의재미술관은 의재의 웅장한 정신과 실천을 톺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초가을 잎사귀들이 바람결에 춤춘다. 머잖아 조락할 신세지만 아직은 산목숨이라 기쁘다는 투로. 나무들의 초록 물결 사이로 난 등산로엔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 나무와 등산객이 어우러져 숲을 이루었다. 간혹 의재미술관으로 입장하는 이가 있을 성싶지만 도통 기척이 없다. 미술관에서 노니는 재미가 등산에 못 미칠 게 있나? 그러나 어딜 가나 썰렁하기 십상인 게 미술관이다. 게다가 의재미술관은 없는 듯이 있다. 티 내어 모습을 드러내길 애써 삼갔다. 숨은 듯이 있는 숲속의 미술관이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다시 말해 이 미술관은 자연의 일원으로 존재한다. 무등산의 가족이 되기 위해 몸을 낮췄다. 애초 설계가 그랬다. 산보다 돋보이거나, 산색보다 튀거나, 산허리를 갉아먹는 식의 무례를 범하지 않을 설계를 했다. 덕분에 무등산과 좋은 사이로 지낸다. 이런 미술관이 어디 흔하던가? 중견 건축가 조성룡이 설계를 주도했다. 그는 도드라지거나 요란한 건축에 질색한다. 사람의 욕망과 기술이 자연을 타고앉아서는 안 된다는 철칙을 갖고 있다.

미술관은 일직선으로 늘어선 3개의 건물로 구성했다. 전시실이 있는 본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지었다. 건물의 생김새는 극히 모던하다. 노출 콘크리트와 강화유리, 목재를 조합해 세련미와 기능성을 구현했다. 기발한 디자인과 미학을 주조로 삼은 건물은 아니다. 언뜻 보면 차라리 요즘에 흔한 건축 유형이다. 그러나 뜯어보면 참신하다. 자연환경에 녹아들어간 조화로움과 생동감을 불어넣은 섬세한 디테일로 품격과 미를 동시에 잡았다. 이런 미덕을 평가받아 개관한 해인 2001년에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았다.

의재미술관은 의재를 기리기 위해 문을 연 사립미술관이다. 의재의 종손 허달재 화백이 재단을 만들어 설립을 주도했다. 흥미로운 건 광주시 역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는 점이다. 공청회를 열어 여론을 수렴하고 막대한 건립 재원까지 협찬했다. 사립미술관 건립에 시가 물심양면으로 거들었다? 드문 경우다. 의재의 삶에 서린 오라가 사후까지 여론을 움직여 미술관을 탄생시켰다. 그림은 물론 덕망과 신망으로 본을 보이고 떠난 이가 의재다. 광주의 ‘큰 어른’으로 똑떨어지는 행장을 남겼다. 다재(多才)와 이타(利他)로 사람들의 마음을 샀다. 광주 사람치고 의재의 됨됨이를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였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의재는 남종화의 대가다. 보이는 대로 그리는 동양화가 북종화라면, 느끼는 대로 그리는 동양화는 남종화다. 이른바 ‘사의’(寫意)를 표출하는 남종화풍이 성행한 건 18세기 조선 화단의 거두 윤두서, 정선, 조영석 등에 의해서였다. 이후 강세황과 추사에게로 그 맥이 이어졌고, 소치 허련에 이르러 남종화의 토착화가 이루어졌다. 소치의 화풍은 그의 후손인 미산 허형과 남농 허건, 그리고 의재 허백련에게 상속돼 화려한 꽃을 피웠다. 20세기 이후 주로 소치의 혈육들에 의해 남종화의 전통이 계승된 셈이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나는 차 한 모금만큼 향기로웠나?”

이제 본관으로 들어선다. 얼마 전 새 단장을 마친 건물 내부는 외부처럼 말끔하다. 벽면과 천장과 기둥은 흰 칠을 입어 환하다. 게다가 병풍처럼 가로로 널따랗게 펼쳐지는 전면 유리창으로 외부의 빛이 물살처럼 솰솰 들이쳐 한층 밝다. 밝기만 하면 무슨 재미? 운치는 무엇으로 돋우나? 유리창을 즐비하게 배치한 이유가 다 있다. 채광은 기본이고 덤으로 차경(借景 : 외부 풍경 끌어들이기) 효과를 거두고 있는 거다. 창 너머 나무들이 토하는 초록과 씽씽한 기세는 그저 본연일 뿐이다. 그런데 그게 창을 통해 들어오는 풍경일 경우엔 맛깔이 다르다. 그림에 맞먹을 흥취를 야기한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전시실에서는 ‘문향(聞香); 인연의 향기를 듣다’전이 진행되고 있다.(11월 28일까지) 산수화, 사군자, 화조도, 서예 등 의재의 작품 34점이 걸렸다. 모두 쌍낙관(雙落款 : 그린 이와 받는 이의 이름이 함께 들어간 낙관)이 찍힌 작품들이다. 의재가 지인들에게 그려준 그림들을 모은 전시회라는 얘기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현대의 서양화는 전위적이고 도발적인 작풍으로 사람의 굳은 상식을 전복한다. 기상천외한 발상과 쇼로 갈채를 유발한다. 이에 비해 오나가나 산수를 소재로 삼는 동양화는 저만치 홀로 핀 들꽃처럼 얌전하다. 고답적이라 따분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인가, 푸대접이 다반사다. 요즘은 아예 찬밥 신세다. 전통 수묵화를 그리는 이 자체가 드물어도 너무 드물다. 이 점에서 국내 유일의 남종화 전문 미술관인 의재미술관은 전통 회화의 마지막 보루일지도. 의재의 그림에 관해선 토를 달 게 없다. 필치는 능란하며 드러나는 세계는 따뜻해서 아름답다. 별유천지다. 개결하며 유현하다. 나 같은 석두조차 설레게 하는 화풍이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의재는 그림에만 정신을 쏟진 않았다. 그를 지배한 이상과 상상은 광활했다. 심중에 ‘삼애’(三愛)를 품고 살았다. 애천(愛天)·애토(愛土)·애가(愛家)를 푯대로 삼았다. 춘설차를 보급, 대중으로 하여금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진실을 체험하게 했다. 그 무엇보다 그의 생각과 실천은 항상 일치했다. 농업학교를 세워 농사꾼을 양성하기도 했는데, 그를 찾아온 화가 지망생들은 반드시 농사일을 해야 했다. 이 모든 일을 의재미술관 지척에 있는 자그만 산방 춘설헌에서 도모했다. 세상을 떠나기 전 의재는 “나는 실패한 화가”라 했다. 이런 말도 남겼다. “과연 내 한평생이 춘설차 한 모금만큼이나마 향기로웠던가? 얼굴이 붉어진다.” 말년까지 자신을 거울처럼 들여다봤던 것이다. 도란 대체로 자성(自省)으로 무르익는다. 자성엔 끝이 없다는 걸 깨달은 이를 도인이라 하고.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