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폐허를 딛고 일어선 산속등대 복합문화공간

기사입력 2022-01-21 08:39

[감성 솔솔! 미술관 여기] 제지공장 빈터에 예술적 생명 불어넣어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버려진 공장에 숨결을 불어넣었다. 흉물로 나동그라진 과거의 제지공장을 볼 것 많은 문화 공간으로 되살려냈으니까. 전북 완주군 소양면 야산 아래에 있는 산속등대 복합문화공간(이하 ‘산속등대’)이다. 낡고 닳은 폐허를 딛고 일어선 공간이다. 일컬어 ‘재생건축 공간’이다. 재생건축은 요즘 건축계의 화두다. 여기저기서 유행하고 있다. 무자비한 시간의 흐름 속에 마침내 쓸모를 잃고 덧없는 폐허로 붕괴한 공간에 문화를, 예술을, 그리고 꿈과 상상을 부여하는 일. 이는 오롯이 값지다. 이미 스러진 꽃을 되살려내는 것처럼 심지어 몽환적이다.

‘산속등대’의 부지는 8000여 평에 달한다. 이 너른 부지 안에 폐허를 자양으로 부활한 물상과 디자인 요소들이 우후죽순처럼 즐비하다. 중심축은 미술관이다. 관점과 시야를 확장할 경우 공간 전체가 미술이거나 미술관이다. 폐허의 뒤숭숭함과 허무를 오브제로 삼아 예술을 입혔으니까. 과거의 웅장하고 단단했던 것들이 시간의 저편으로 사라지면서 남긴 잔해와 잔재들을 자못 날랜 솜씨로 반죽해 내향적 울림이 있는 공간을 구현했다. 신축 건물은 도저히 얻어 걸칠 수 없는 시간의 족적과 결이 아른거리는 게 아닌가. 지나간 것들, 흘러간 것들, 너절한 것들, 시든 것들에서도 이렇게 잘만 끄집어내면 자본만으로 빚어낼 수 없는 내면성이 우러나온다. 재생 공간만이 발할 수 있는 언어와 표정이 고여 있으니 재생이란 말 그대로 창의의 산물이자 생성의 동의어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재생한 건축과 공간에 들어선 미술관은 이제 낯설지 않다. 국내 곳곳에 등장했으니까. 해외에서는 더욱 활성화됐다. 1986년에 개관한 파리의 오르세미술관은 수명을 다한 철도역을 재생해 입주했다. 금세기 가장 성공한 미술관으로 꼽히는 런던의 테이트모던미술관은 별 볼일 없던 폐 화력발전소를 뜯어고쳐 들어앉았다. 이 미술관들은 세계적 명소로 떠오르면서 재생건축과 미술관의 결합으로 절묘한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걸 입증했다.

‘산속등대’가 출항한 건 2019년 5월이다. 만 2년이 지났을 뿐이니 이제야 걸음마 단계를 벗어났다. 불운하기론 코로나19의 창궐에 따른 고난과 맞닥뜨릴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배를 띄우자마자 으르렁거리는 폭풍 속에 던져진 것이다. 신생의 기쁨과 기세로 활보하기 이전에 가혹한 담금질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인가. 널따란 터에 꾸린 갖가지 볼거리, 그리고 중의적 미학이 가미된 공간들이 이색적이지만 어찌할 수 없는 고즈넉함이 서려 있다. 그러나 여느 미술관들에 비하면 그나마 방문객이 많은 편이라니 다행스럽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산속등대’의 랜드마크, 등대

이곳에 들어서면 맨 먼저 ‘기억의 파사드’가 눈에 들어온다. 빨간 벽돌로 쌓은 삼각형 모양의 구조물 세 개를 병치한 파사드다. 고색창연한 사물들이 넘치는 가운데 그 새뜻한 형상으로 도드라지는 이 벽은 아마도 ‘기억에로의 초대장’이다. “이 문을 들어섬으로써 이제 당신의 기억은 과거를 유영하게 될 것입니다!” ‘기억의 파사드’가 하는 말이 이렇다. 폐공장의 잔해에서 과거 산업공장의 무상한 흥망성쇠 드라마를 유추하라고, 삶의 허무와 다르지 않은 공장의 쓸쓸한 잔해를 더듬어보라고 한다. 풀을 끌어안고 으스러진 공장의 주춧돌에서 끝내 거머쥘 수 있는 시간과 행복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느껴보라고, 인생 역시 몇 점의 기억만 남기고 매순간 허공으로 흩어진다는 걸 알아보라고 한다. 파사드가 전하는 얘기가 그렇다.

저기 저 뒤편엔 돌올하게 치솟은 게 하나 있다. 제지공장 시절의 굴뚝으로 높이가 33m다. 설립자는 이 굴뚝을 놓고 생각이 많았다더라. 저 높고 우람한 덩어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그는 숙고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물었다. 굴뚝에서 떠오르는 이미지가 무엇이냐고. 돌아온 답은 하나같이 등대가 연상된다는 거였으며, 설립자는 이를 채택했다. 공장의 기계들이 기운차게 잘 돌아갔던 과거엔 허연 연기를 뭉게구름처럼 뿜어낸 굴뚝의 이미지를 변용, 문화와 예술의 불을 밝히는 등대로 상징화하기로 한 것. 온갖 잡동사니와 아귀다툼이 난무하는 속세에 한 송이 문화의 꽃을 피우겠다는 게 이 문화 공간의 지향점이다. 그 옹골찬 포부를 등대라는 거대한 물상으로 함축해 표출한 것이다. 빨간 칠을 입어 한결 돋보이는 등대는 이곳의 랜드마크로 부상했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미술관 건물을 볼까. ‘산속등대’의 구조물 대다수가 그렇듯 이 역시 재생건축이다. 구슬픈 소리를 내는 법 없이 그저 외로이 무너져가는 폐건축물들 중 그나마 상태가 가장 나은 건물에 구조 보강을 해 미술관을 만들어냈다. 다시 말해 털어낼 건 털어내고 놔둘 건 놔두었다.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혼성 교합이다. 과거와 현재의 합작으로 미래를 도모하는 건물이다. 전시실에선 장안순의 개인전 ‘시중유화 화중유시’(詩中有畵 畵中有詩)가 펼쳐지고 있다.

미술관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나. 우선은 매력적인 건축물로 사람들의 구미를 동하게 해야 한다. 건축 자체를 작품으로 흐뭇하게 즐길 만해야 한다. 더 중요한 건 역시 전시의 품질이다. 전시 기획의 개성과 지향을 딱 부러지게 노정한 콘텐츠를 보유한 미술관이어야 미술계는 물론 미술 애호가들의 관심을 살 수 있다. 이는 돌을 부술 강펀치를 구사하는 복서만이 살아남는 링 위의 생리와 비슷하다. 이게 어지간한 실력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 점에서 이곳의 설립자는 고심이 많았던 것 같다. 그는 일단 부지런히 전시회를 전개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매년 전시회를 빈번히 열었다. 기후 문제나 등대를 주제로 한 기획전은 미술관의 아이덴티티를 모색하는 차원의 전람회들이었다.

‘산속등대’는 미술관을 가슴에 품은 복합문화공간이다. 미술 작품 감상으로 지겨운 삶의 우수와 권태를 다독이라고, 그러고도 미진한 게 있다면 재생 공간 곳곳의 세련된 설치와 디자인과 오락적 요소들을 즐겨 기분을 돋우라고 만들었다. 창밖의 경관을 즐기며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슨슨카페, 대형 고래 조형물을 설치한 고래 놀이터, 기존 폐수처리장을 재생해 콜로세움을 형상화한 야외 공연장, 아이들의 문화예술 체험 공간인 어뮤즈월드, 별빛 광장과 별빛 동산 등 별별 이색과 이채가 줄줄이 이어진다. 그러나 뭔가 아쉽다. 터의 일부를 빼곡히 채운 컨테이너 박스들의 건조한 품새가 재생 공간의 고적하면서도 유려한 분위기에 녹아들지 못해서인가? 그렇더라도 진귀한 문화 공간이다. 버림받은 흉물에 빛을, 낡고 낡은 사물들에 생명을 주입했으니까. 갈 길이 멀 테지만, 폐허를 딛고 일어선 탄성을 보루로 튀어오를 수 있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이어지는 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