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전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서 마음만 동동 구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브라보 마이 라이프’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이번 호에는 박형숙 소설가가 편지를 써주셨습니다.
당신의 존재를 알게 된 것은 2년 전 봄날의 어느 오후입니다. 그전까지는, 미안하지만, 당신을 한 번도 진지하게 생각한 적이 없습니다. 요즘에 당신 같은 손님은 희귀하지도 않아서 쉬이 오간다는 소식도 건성으로 들었을 뿐입니다.
정기건강검진 후 여의사가 내민 진료의뢰서에는 당신을 암시하는 문구가 있었지요. 담담했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 뒤 수술대에 올라섰을 때도, 수술 후 조직검사 판정에서 8개월에 걸친 치료에 대한 안내를 받으면서도 흔히 이런 경우 떠올린다는 “내게 왜 이런 일이?” 같은 물음은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냥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래, 그렇지, 그럴 거야.” 마치 언젠가 약속을 해둔 것처럼, 그렇게 약속한 사람이 날 찾아온 것처럼, 당신이 친밀하게 느껴졌습니다.
이상한 일이지요? 그동안 당신이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는 어떤 기미도 없었는데 말입니다. 그렇다고 당신이 반가웠던 것은 아닙니다. 결국엔 만날 수밖에 없으리라는 체념 같은 수긍이라고 해야 할까요? 어쩌면 당신이 남길 변화에 묘한 설렘마저 느껴졌는지 모릅니다.
2cm의 작은 덩어리. 가슴 오른쪽과 왼쪽에 자리 잡은 당신은 고작해야 새끼손가락 마디보다 작은 크기였어요. 한 번 밟으면 단박에 으스러질 것처럼요. 하지만 당신의 생명력은 강인해서 날카로운 메스로 도려내도 온전히 떠나는 것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당신이 남긴 흔적들이 온몸에 퍼져 있을지도 모른다고요. 가슴이나 생식기, 내장 어느 뒤편 구석이나 뇌수, 뼛속 사이, 혈액 어디든 머물러 반란을 일으킨다고요. 반란 끝에 생사의 경계를 훌쩍 뛰어넘게 한다고요. 온몸 가득 퍼져 있을지도 모를 당신을 생각하니, 참, 아득하네요. 도대체 당신은 언제부터 내 안에 머물러 있었나요?
젊은 시절, 안하무인의 그 시절이 생각나네요.
그때는 가진 것이 없는 자의 당당함으로 거칠 것이 없었지요. 제도에, 관습에, 이해관계에, 심지어는 생존에 구속된 사람들마저 마음껏 비웃었습니다. 세상은 즐겨 읽던 책 크기로 축소되어 보였고 단번에 뒤집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치기를 용기로, 만용을 자유의 행사로, 과로와 무절제를 열정으로 여겼습니다. 사회 변화에 가장 앞서가는 이의 곁에 있다고 생각했고, 사회 변화를 가로막는 자들을 증오했습니다. 가난했지만 부끄럽지 않았지요. 이따금, 언제 죽어도 좋다고 생각했던 것도 같습니다. 그때부터 당신이 내 주변에 어슬렁거렸을까요?
차츰 소유물이 생겼습니다. 아파트, 자동차, 사회적 지위, 가족관계, 철마다 바뀌는 구두들, 가방들, 최신형 TV, 오디오 세트, 맛집 카탈로그, 항공예약권…. 가진 것이 많아질수록 만족은 점점 줄어들었지요. 이제 누군가의 용기는 치기로, 자유의 행사는 만용으로, 열정은 무절제로 여겨집니다. 사회의 변화를 바란다고 믿고 있지만, 급격한 변화 앞에서 한발 뒤로 물러서며 움츠립니다. 이제 가난하지는 않지만 부끄러움 대신 불쾌감이 올라오는 것을 느끼며, 이따금, 예상보다 빨리 죽게 될까봐 두렵습니다. 욕구불만이 목까지 차오르던 그때였을까요? 당신이 내 곁에 머물렀던 것은?
언젠가 “죽도록 달린다”라는 제목의 연극을 본 적이 있습니다. 연극 내용은 어렴풋한데 배우들이 원형의 무대 위에서 죽도록 달리던 모습은 지금껏 생생합니다. 그래요. 나 자신이 종종 죽도록 달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지하철을 놓치지 않기 위해, 할인기간을 지나치지 않기 위해, 접수마감을 넘기지 않기 위해, 인기를 위해, 인정을 위해, 세상의 정보를 발밑에 두고 있다는 자만심을 유지하기 위해 죽도록 달렸던 것은 아니었을까, 하고요.
그토록 달리는 순간, 당신은 회심의 미소를 지으며 어느 틈에 내 어깨에 올라탔겠죠. 그러고는 누군가의 성공을 부러워할 때 방심한 듯 열려 있던 빈 구멍들로 들어왔겠죠. 질투와 시기심으로 쿵쾅거리는 가슴 언저리에 자리를 잡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죽음에 대한 공포심을 자양분으로 쑥쑥 자랐을 테죠.
당신을 떠나보내는 일은 힘겨웠습니다. 한 번 맞으면 혼절해서는 자신이 아주 작고 작은 벌레처럼 힘없는 존재로 여겨지는 여덟 번의 독한 주사 때문만은 아닙니다. 내 안의 탐욕과 아집과 독선이 어느새 당신과 한몸이 되어 떨어질 줄 몰랐기 때문입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당신이 머물다 간 그 자리에서 신호가 옵니다. 찌르르르. 가슴 언저리에서 오는 그 신호로 당신의 존재를 실감합니다. 당신이 내 안에 있었다는 사실을요. 어쩌면 당신은 아주 떠난 것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괜찮습니다. 홀로 있는 법, 한 발씩 내딛는 법, 천천히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법, 오래 들여다보는 법. 이런 것들은 당신이 아니었다면 몰랐을 것입니다. 내 발밑의 작은 꽃들과 벌레들, 코끝을 스치는 바람소리와 흙냄새에 다시 눈뜨게 해준 것도 당신인걸요.
찌르르르. 미처 잠에서 깨어나지 못한 몸의 감각이 서서히 깨어납니다.
박형숙 소설가
인생의 갖가지 터널을 통과해보고 싶은 사람, 인간의 갖가지 개성에 부딪쳐보고 싶은 사람. 소설집으로 ‘부치지 않은 편지’와 ‘아홉 번째 고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