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AI 알고리즘이 바꾼 '시니어 사회'…일자리 확대

입력 2025-11-17 13:04

일자리·돌봄 사회 새로운 길 모색

AI 기술이 돌봄·일자리 영역에서 확산되며 초고령사회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내년 AI 돌봄 예산을 대폭 늘렸고, 민간에서는 시니어 대상 AI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하며 혁신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14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 5070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주최한 이번 박람회엔 채용기업 100여 개사, 유관기관 40개사가 참여, 현장에서 이력서 접수와 면접을 진행했다. 경기 북부권을 중심으로 50~70대 중장년 구직자와 기업을 직접 연결해 재취업 기회를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이투데이DB)
▲14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 5070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주최한 이번 박람회엔 채용기업 100여 개사, 유관기관 40개사가 참여, 현장에서 이력서 접수와 면접을 진행했다. 경기 북부권을 중심으로 50~70대 중장년 구직자와 기업을 직접 연결해 재취업 기회를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이투데이DB)

AI 돌봄 확산...2026년 돌봄 혁신 본격 시동

AI 돌봄 서비스가 정부·지자체 중심으로 확산되며 독거노인 안전관리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9월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제2차 회의를 열고 2026년 예산에 AI 기반 복지상담 및 위기감지 등의 시범사업 예산 59억 원, AI 응용제품의 상용화를 지원하는 AX-Sprint 예산 300억 원을 신규 반영한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AI 상담·위기감지, 사회복지시설·가정 내 AI 접목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기술 중심 정책을 내년 상반기 로드맵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AI 기반으로 시니어 일자리 창출 확대

지난 10월 스타트업 메타본(Metabon)이 '시니어즈(SENIORZ)' 중장년·시니어 세대를 위한 AI 기반 일자리 매칭 플랫폼을 정식 출시했다. 시니어즈는 국내 25개 구직·구인 사이트의 연간 약 110만 건의 중장년 채용 정보를 AI가 수집·분류하고 근무시간·업무강도 등 '시니어 친화' 키워드를 기준으로 매칭한다. 고령층의 디지털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UI(User Interface)는 큰 글씨·단순 버튼·음성 안내 등이 적용됐다.

메타본 측은 현재 서비스 오픈 후 5개월 만에 누적 방문자 55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AI일자리 #시니어일자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뉴스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뉴스

  • UBRC의 시대…노후, 다시 캠퍼스로 돌아가다
  • 다시 쓰는 이력서, 도전도 배우는 용기 필요
  • 배우면 돈 되는 유용한 자격증 6선
  • “디지털 사무원에서 탐정까지” 다시 배우는 이색 직업

브라보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