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감액 단계적 폐지,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단계적 확대 등

15일 국정기획위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사회1분과(분과장 이찬진)는 보건복지부 업무보고를 받고 주요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업무보고에서는 초고령사회 가속화와 급속한 의료비 부담 증가 추세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및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 체계 구축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해 우리나라도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실용적 정책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제20대 대선 당시 기초연금 지급 등 노후 보장을 위한 다양한 노인 정책을 공약했던 만큼 이번 정부에서 고령화 정책에 한층 더 힘을 실을지 이목이 쏠린다.

노인 정책 중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소득 하위 40%에 해당하는 부부의 기초연금 감액 폐지다. 이는 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이 제20대 대통령 선거 공약에서도 내세웠던 정책이다. 제20대 대선 때 공약은 △현재 소득 하위 70%인 기초연금 대상을 더 많은 어르신에게 지급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확대 추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소득인정액에 기초연금 공제 도입 추진 △부부 동시 수급에 따른 감액규정 폐지 등이었다.
이번 제21대 대선 공약에서도 △기초연금 부부 감액 단계적 축소 △일하는 노인에 대한 국민연금 감액 개선을 주요 정책으로 내걸었다. 복지부는 국정기획위에 기초연금 삭감 로드맵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대통령은 노후소득 보장 강화의 일환으로 ‘6080 맞춤형 주택연금제도 확대 추진’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현재 주택연금은 부부 중 1명이 55세 이상이고,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 주택 소유자만 가입할 수 있다.
사회활동·건강권 보장…요양병원 입원환자 대상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어르신 공공일자리 확대, 방문진료 서비스 제공체계 마련 등 사회활동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도 고안했다.
고령층의 사회활동 참여를 지원하고자 안전통합지킴이 등 공공일자리를 확대하고 국민 맞춤형 관광 프로그램(실버여행)을 제공할 계획도 세웠다. 고령층 일자리의 경우 20대 대선 공약 때 140만 개로 확대하겠다는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했으나 이번에는 큰 틀만 구상했다.
방문지료 서비스 체계를 마련한다는 것 역시 20대 대선 공약에 담았던 내용이다. 20대 대선 때는 △재가(방문) 요양·가사간병·생활지원·의료·재활 등 서비스 대폭 확충 △지역사회 의료·돌봄 서비스 원스톱(One-Stop) 신청·연계·공급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번에는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단계적 확대 △노인 대상 한의사 주치의제 △도입 전국적 방문진료 서비스 제공체계 마련 △장기요양 재가·방문 진료 확대를 위한 재택의료기관과 통합재가기관 지정 및 운영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간병부담을 덜고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확대하고 요양병원 입원환자에 대한 간병비를 건강보험에 적용하는 정책도 공약집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