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 [브라보 모먼트] "지금 내가 나일 수 있는 마지막 시간"
- 2025-11-13
-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취업형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통합 공모
- 2025-11-13
-
- 국민연금 고갈 대안 ‘정부 예산 0.5%·자산세·재정 투입’ 논의…새로운 해법될까
- 2025-11-13
-
- 추나요법 건강보험 적용 데이터 분석…'근골격계 통증 치료 선호도 여전'
- 2025-11-13
-
- [중장년 필독 정보통] 느리게 달려도 괜찮아, 중장년 위한 '쉬엄쉬엄 런' 개최 外
- 2025-11-13
-
- 요양보호사 국회서 모여 “공휴일 유급휴일 수당 지급하라”
- 2025-11-13
-
- [카드뉴스] 돈달력부터 달 항아리까지, 돈 부르는 풍수 소품 5
- 2025-11-13
-
- 대한은퇴자협회 대표단, 캐나다 CARP·IFA 회의 참가
- 2025-11-13
-
- “효돌, 이민 한인 돌봄 성과” 美 고령화 혁신상 수상
- 2025-11-13
-
- 양도소득세를 결정하는 ‘거주기간’ ‘보유기간’
- 2025-11-13
-
- 부모 재산, 자녀에게 미리 주면 세금 폭탄?
- 2025-11-13
-
- [2025 한일시니어포럼] ‘초고령사회, 돌봄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다’
- 2025-11-13
-
- “버스에서 내리다 넘어져” 고령자 안전사고 증가…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 2025-11-13
최 씨는 은퇴 전 자산 운영을 할 때는 일희일비하지 않는 여유 있는 투자자라고 자평했다. 그랬던 그가 그동안 모아놓은 자산을 인출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을 때 자꾸 주저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스스로 놀라고 있다. 은퇴자산의 적립과 인출을 비유할 때 닭과 돼지의 우화가 자주 인용된다. 친구 사이인 닭과 돼지가 있다. 닭이 돼지에게 식당을 같이 하자고 제안한다. 돼지는 닭에게 주 메뉴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 묻는다. 닭은 ‘햄과 달걀’이라고 답한다. 닭의 대답을 들은 돼지는 잠시 고민하다가 닭의 제안을 사양한다. 닭이 이유를 묻자 돼
국민연금 ‘실버론’ 개선…의료비 항목도 모바일 신청 추진
국민연금이 노후긴급자금 대부(이하 실버론) 시스템 개선에 나선다. 1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실버론 이용자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의료비 항목도 국민연금 모바일 앱으로 신청할 수 있게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전월세 보증금, 배우자 장제비 등 일부 항목만 앱으로 신청할 수 있었다. 대출금 상환 안내 방식도 알림톡이나 문자(SMS)로 자동 안내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국민연금은 2012년 5월부터 국민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실버론을 실시하고 있다.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가 전월세 보증금, 의료비, 배우자 장제비,
브라보 인기뉴스
-

- UBRC의 시대…노후, 다시 캠퍼스로 돌아가다
- 대학연계형 은퇴자 주거단지(UBRC,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는 ‘노후에도 캠퍼스에서 배우며 사는 삶’이라는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미국에서 시작된 이 모델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를 동시에 겪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 고령층,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CCRC에서 UBRC로, 배움이 있는 노후 은퇴자 주거단지(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는 단지 내에서 건강 변화에 따라 주거 형태를 바
-

- 다시 쓰는 이력서, 도전도 배우는 용기 필요
- 퇴직 후 중장년은 그간 미뤄왔던 배움의 갈증을 채우며 온전히 자신을 위한 삶을 꿈꾼다. 하지만 중장년 상당수가 경제적 자립의 벽 앞에서 끊임없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이제 이력서 작성과 면접 태도, 직장 내에서 젊은 상사와 협업하는 방식 역시 ‘배움’이 필요하다. 풍부한 경험은 중장년의 강점이다. 하지만 이를 언제 어떻게 꺼내 보이느냐에 따라 재취업의 성공을 좌우한다. 실제로 통계청과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50세 이상 구직자의 평균 구직기간은 10개월 이상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길다. 또 중장년층 재취
-

- 배우면 돈 되는 유용한 자격증 6선
- 은퇴 이후의 삶은 더 이상 ‘쉬는 시간’이 아니다. 많은 시니어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격증을 준비하며 ‘일하는 노년’을 선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생계 때문만이 아니다. 사회와의 연결, 자기 효능감, 그리고 인생 2막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다. 남성들은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살려 전기·용접·지게차 등 기술형 자격을 선호한다. ‘몸으로 익힌 기술은 은퇴하지 않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은 다시 산업현장과 시설관리, 공공 일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반면 여성들은 돌봄·미용·조리 같은 생활밀착형 자격증 취득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이는
-

- “디지털 사무원에서 탐정까지” 다시 배우는 이색 직업
-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이 일로 이어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배움이 곧 기회가 되는 시대, 시니어 세대에서도 새로운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일도 있었어?” 싶을 만큼 신선하고,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일들이다.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그 성장이 다시 일로 이어지는 인생 2막의 문을 열어보자. AI와 초고령사회라는 두 흐름은 시니어 일자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기술이 일상을 빠르게 바꾸는 시대, 인생 후반부에도 배움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흔히 들어본 직업이 아닌 완전히 새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