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 [Trend&Bravo] 올해 주식 투자 누가 잘했나? 세대별 승부 Top6
- 2025-11-19
-
- 설악산의 은둔자, 예술을 묻다
- 2025-11-19
-
- 놓치면 손해! 65세 이상 혜택(교통편)
- 2025-11-19
-
- 이스란 차관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중…저고위 기능 강화할 것”
- 2025-11-18
-
- ‘치매머니 154조’ 고령자 재산 보호 방안은…“후견·신탁 재설계 필요”
- 2025-11-18
-
- “환경문제는 내가 죽고 사느냐의 문제입니다”
- 2025-11-18
-
- [현장에서] 서울시, 첫 시니어 일자리박람회 개최…“경제 도움되고파 도전”
- 2025-11-18
-
- 푸드어셈블, 신제품 ‘점보 멸치육수 김치찌개’ 선보여
- 2025-11-18
-
- 오세훈 시장 “시니어는 역동적 세대…일자리 꼼꼼히 챙길 것”
- 2025-11-18
-
- [AI 브리핑] 독감 환자, 전년 대비 12배 급증…예방접종 당부 外
- 2025-11-18
-
- 600년 역사 남대문시장 '글로벌 헤리티지 전통시장'으로 혁신
- 2025-11-18
-
- 日 고령층 “유언장 필요성 알지만 정작 쓰고 싶지 않아”
- 2025-11-18
-
- [카드뉴스] 2026 연말정산 미리보기, 꼭 챙겨야 할 '절세 꿀팁' 9
- 2025-11-18
브라보 인기뉴스
-

- UBRC의 시대…노후, 다시 캠퍼스로 돌아가다
- 대학연계형 은퇴자 주거단지(UBRC,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는 ‘노후에도 캠퍼스에서 배우며 사는 삶’이라는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미국에서 시작된 이 모델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를 동시에 겪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 고령층,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CCRC에서 UBRC로, 배움이 있는 노후 은퇴자 주거단지(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는 단지 내에서 건강 변화에 따라 주거 형태를 바
-

- 다시 쓰는 이력서, 도전도 배우는 용기 필요
- 퇴직 후 중장년은 그간 미뤄왔던 배움의 갈증을 채우며 온전히 자신을 위한 삶을 꿈꾼다. 하지만 중장년 상당수가 경제적 자립의 벽 앞에서 끊임없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이제 이력서 작성과 면접 태도, 직장 내에서 젊은 상사와 협업하는 방식 역시 ‘배움’이 필요하다. 풍부한 경험은 중장년의 강점이다. 하지만 이를 언제 어떻게 꺼내 보이느냐에 따라 재취업의 성공을 좌우한다. 실제로 통계청과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50세 이상 구직자의 평균 구직기간은 10개월 이상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길다. 또 중장년층 재취
-

- 배우면 돈 되는 유용한 자격증 6선
- 은퇴 이후의 삶은 더 이상 ‘쉬는 시간’이 아니다. 많은 시니어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격증을 준비하며 ‘일하는 노년’을 선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생계 때문만이 아니다. 사회와의 연결, 자기 효능감, 그리고 인생 2막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다. 남성들은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살려 전기·용접·지게차 등 기술형 자격을 선호한다. ‘몸으로 익힌 기술은 은퇴하지 않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은 다시 산업현장과 시설관리, 공공 일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반면 여성들은 돌봄·미용·조리 같은 생활밀착형 자격증 취득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이는
-

- “디지털 사무원에서 탐정까지” 다시 배우는 이색 직업
-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이 일로 이어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배움이 곧 기회가 되는 시대, 시니어 세대에서도 새로운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일도 있었어?” 싶을 만큼 신선하고,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일들이다.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그 성장이 다시 일로 이어지는 인생 2막의 문을 열어보자. AI와 초고령사회라는 두 흐름은 시니어 일자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기술이 일상을 빠르게 바꾸는 시대, 인생 후반부에도 배움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흔히 들어본 직업이 아닌 완전히 새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