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
- [야간 여행지 6선] 고궁의 밤을 거닐다, 창경궁 ‘물빛연화’
- 2025-07-09
-
- K-드라마, 청와대 사랑채에서 만나다
- 2025-07-08
-
- 여름휴가 한국관광 100선 찍고 경품도 챙길까
- 2025-07-07
-
- 폭염, 자연휴양림과 도시숲에서 한방에 해결
- 2025-07-03
-
- 이탈리아에서 만난 ‘골프 르네상스’
- 2025-06-29
-
- 선명상의 밤 템플스테이, 도심 속 고요한 명상 체험
- 2025-06-26
-
- 여름에 보는 봄날의 꽃들
- 2025-06-26
-
- 여름 휴가, 산불 피해지역 여행 어때요?
- 2025-06-24
-
- ‘곽튜브가 간 그곳’… 모두투어, 카자흐스탄 골든루트 출시
- 2025-06-19
-
- 초여름 속으로 걸어 들어가기
- 2025-06-17
-
- [시조와 여행] 여성들의 인기 필사템 남대문시장
- 2025-06-10
-
- [시조와 여행] 어부사시사의 배경 보길도
- 2025-06-10
-
- [시조와 여행] 이순신 난중일기에 등장하는 그곳
- 2025-06-10
브라보 인기뉴스
-
- 통계로 본 ‘새로운 가족’ 유형
- 우리 사회에서 가족의 모습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전통적인 부부·자녀 중심의 가구에서 벗어나 1인 가구, 황혼이혼, 다문화, 비친족, 조손가족,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 등 다양한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조사 통계는 이러한 변화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흐름임을 보여준다. 이웃들의 다양한 가구 형태 1인 가구는 이미 전체 가구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보건복지포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10년 417만 4000여 가구에서 2023년 734만 1000여 가구로 1.7배
-
- 사랑해 고마워 당신
- 가족의 정의 어떻게 내리시나요? 소설이자 영화로 제작된 ‘고령화 가족’에 이런 대사가 나옵니다. “가족이 뭐 대수냐. 같은 집에 살면서 같이 밥 먹고 또 슬플 땐 같이 울고 기쁠 땐 같이 웃는 게 그게 가족인 거지.” 지금 나와 마음을 나누고 있는 사람이라면, 바로 그가 ‘가족’ 아닐까요? 빠른 경제성장, IT 기술 발달로 가족의 모습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여전히 주변 어르신 중에는 일제강점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5.16군사정변, 5.18민주화운동, 88서울올림픽, OECD 가입, IMF 외환위기,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은
-
- AI가 쓴 가상 에세이 “실버타운에서 만난 새로운 나”
- 실제 사람이 쓴 수기처럼 보이지만, 이 글은 AI가 상상한 노년의 일상이다. 일주일 동안 챗GPT와 수도권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70대 여성 ‘이영숙’이라는 인물을 만들었다. 사고와 감정, 실버타운의 구조, 생활, 프로그램, 그리고 인간관계에 대한 정보까지 학습시킨 뒤 챗GPT에게 직접 에세이를 쓰라고 요청했다. 실버타운에 입주하기까지 누구나 그렇겠지만, 나도 오랜 시간 같은 집에 살았다. 남편과 함께한 세월만 해도 오십 년이 훌쩍 넘는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다음에… 남편이 떠나거나 내가 떠난다면,
-
- 거짓말하는 AI, 고령자 AI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 AI의 발전이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면서 시니어 세대 역시 AI와 자연스럽게 만나는 시대가 도래했다. 누구나 AI를 활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위험한 판단과 무감각한 자신감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은 AI가 주는 답변을 ‘신뢰해도 되는 말’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AI는 인간처럼 맥락을 이해하거나 상황을 조율하지 못한다. 홍순만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최근 바둑 AI 연구와 사회과학적 통찰을 통해 ‘AI는 결과가 나쁘더라도 감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지
브라보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