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은퇴자가 매년 1000만 원의 이자수익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자. 이 은퇴자는 금리가 10%라면 1억원만 있어도 필요한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금리가 5%로 떨어지면 2억원, 2%에서는 5억원, 1%에서는 10억원이 필요하게 된다. 금리가 특정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서 필요한 자금이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일의 가치가 올라간다…오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라
재미있는 점은 이처럼 저금리가 확산되면서 돈의 가치는 떨어지지만 일의 가치는 오히려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저금리 시대에 일을 한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어떤 사람이 정년 후에 새로운 일자리를 얻어서 연간 1000만원 정도의 수입이 발생한다고 하자. 금리가 2%라고 가정하면 이 사람이 하고 있는 일은 현금 5억원을 들고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만약 금리가 1%로 떨어지면 이 사람이 하고 있는 일의 가치는 10억원으로 증가하게 된다. 초저금리 시대에는 이처럼 금리가 떨어질수록 일의 가치는 급격히 올라가게 된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노후준비란 어떤 것일까.
일단은 보다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자신을 갈고 닦아야 한다. 일의 가치가 올라가는 시대이므로 더 오래 일하는 것이 가장 훌륭한 노후준비가 되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노년층의 업무 능력에 대해서 의구심을 표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버드 대학교 하워드 가드너 교수의 다중지능 검사결과를 보면 논리, 수학, 공간 지능은 나이가 들면서 떨어지지만 일상 업무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다. 반면 언어, 음악, 인간관계, 자기성찰, 자연친화 지능은 더 높아진다.
또한 사회적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성숙해지고 강해진다. 오랜 사회 경험으로 얻은 인맥과 정보력, 여기에 사회적 성공의 열쇠인 감성지수(EQ) 역시 나이가 들수록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문제는 자신감인 것이다.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재교육을 통해서 오래 일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각종 단체에서 제공하는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금융자산은 중위험 · 중수익 추구를
일의 가치가 중요하다고 해서 금융자산 관리에 소홀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조금이라도 높은 수익률을 얻기 위해서 더욱 부지런해져야 한다. 3~4% 이상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면 필요한 노후자금 규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리스크를 통제하면서도 기회를 엿볼 수 있는 중위험 · 중수익 자산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여기서 중위험 · 중수익 자산관리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시중 예금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을 말한다. 이에 속하는 상품군으로는 인컴 펀드, 절대수익 펀드, 해외채권형 펀드, 변액연금, 수익형 부동산 등이 있다.
그렇다면 왜 중위험 · 중수익 자산관리 인가. 은퇴 후 자산관리를 너무 안정적으로 가게 되면 은퇴기간이 길어지거나 예상치 못한 의료비 등이 발생할 경우 노후자금이 부족해지기 쉽다. 반대로 고위험을 추구하게 되면 현역기간과 달리 추가 적립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결과가 좋지 못할 경우 원금을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중위험 · 중수익 자산관리가 대안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물론 자금여유가 충분하다면 굳이 위험을 감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런 저금리 시대에 늘어난 수명을 감당할 만큼 충분한 노후자금을 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윤치선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