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
- 전 세계 보청기 시장, 2031년 61조 원 규모로 성장 전망
- 2025-08-19
-
- ‘K-로컬 미식여행 33선’ 알릴 인플루언서 찾아요!
- 2025-08-19
-
- “웃다가 찔끔” 여름철 더 심해지는 요실금
- 2025-08-18
-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제5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국제포럼
- 2025-08-14
-
- “치매 예방?” 리튬, 무분별 섭취 땐 되레 인지 장애 위험
- 2025-08-14
-
- 제3회 세계시니어시티즌데이 22일 개최… ‘은퇴는 새로운 시작’
- 2025-08-12
-
- 중장년·남성 위한 맞춤형 복합시술 전략 제시
- 2025-08-11
-
- 50조원 돌파한 65세 이상 노인 병원비…4년새 40%
- 2025-08-07
-
- 강남종합사회복지관-아이픽셀, AI 활용 통합돌봄 맞춤운동 서비스 협력
- 2025-08-06
-
- KARP 자매단체 에이지연합, 유엔 ECOSOC NGO 공식 승인
- 2025-08-06
-
- ‘냄새’로 요양시설 선택해… 이용자 91% “악취 중요 판단 기준”
- 2025-08-06
-
- 강남종합사회복지관, 기술과 연계한 통합돌봄 플랫폼 구축
- 2025-08-05
-
- 美 돌봄 제도에 민간 참여 촉구, “수십억 달러 절감 가능”
- 2025-08-05
브라보 인기뉴스
-

- 시니어에게도 열린 코딩의 세계
- “요즘 초등학생들은 코딩을 배운대.” 이제 코딩은 특정 직업군의 기술이 아니라 사고력을 익히는 하나의 언어로 자리 잡았다. 초등학교 교실마다 블록 코딩, 스크래치, 인공지능 모델 만들기 등 ‘미래형 학습’이 빠르게 정착 중이다. 이런 흐름이 비단 어린이들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해력으로서 코딩을 배우는 시니어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 세상 읽고 생각 훈련하는 ‘코딩’ 지난 9월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에듀테크코리아페어’ 현장. 다양한 코딩 교구와 소프트웨어를 체험하는 부스 사이로, 프로그램 일정을 꼼꼼
-

- 세포가 하나하나 살아나는 발레
- 거울 앞에 선 시니어들의 표정이 환하다. “입꼬리 올리고, 발끝도 세워요!” 강사의 구령에 맞춰 몸을 들어 올리는 순간, 무겁던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 태안 백화노인복지관의 ‘시니어 발레’ 교실은 흔한 배움터가 아니다. 나이 앞에 망설이지 않고 도전하며 여전히 아름답게 살아가는 이들이 비상하는 무대다. 나이 거스르는 ‘상승의 예술’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노인복지관은 종합 복지 전문기관으로, 만 60세 이상 지역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글 문해와 영어·일본어 등 어학 영역부터 서예·실버 민요·트로트 교실·캘리
-

- 배움이 계속 되어야 하는 이유 “나를 찾는 기쁨”
- 은퇴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한국의 중장년 세대는 과거보다 더 오래 살며, 더 배우고, 더 일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의 배움은 단순한 취미나 자기 계발에 머물지 않는다. 인문학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를 묻고, 생계를 위해 새로운 기술을 익히며, 그 사이의 균형을 찾아가는 진지한 시도다. 김은임 호서대학교 교수와 김찬호 성공회대학교 교수는 “인문학은 자기 해석의 언어를 되찾는 일이고, 실용학은 자기 삶을 다시 세우는 일”이라며, 배움이 중장년에게 가장 강력한 생존 전략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내가 누구인지’ 다시 묻는
-

- 브라보 마이 라이프 스페셜: 배움으로 얻다
- 배움으로 얻다 배움의 사전적 정의는 ‘임신하게 하다’와 ‘스며들게 하다’의 뜻을 지닌 ‘배다’에 사동접사 ‘우’가 붙은 말입니다. 인생 후반기를 설계할 때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도전을 이어가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는 것이 배움입니다. 의학적으로도 배움은 뇌 건강, 심리적 안정, 신체 활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노화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배움의 연장선은 ‘일’로 이어집니다. ‘배움을 실현하다’는 표현은 배움을 실제로 나타나게 하여 ‘이루다’는 뜻을 담고 있고, ‘배운 것을 실제로 행하다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