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챗GPT 브리핑] AI로 고령환자 재입원 예측 外
- 2025-07-18
-
- KB국민은행 퇴직연금 자산관리 적립금 50조 달성
- 2025-07-18
-
- “효도수당, 1인 가구 노인 외면”… 대한은퇴자협회, 실효성 비판 성명
- 2025-07-18
-
- “일단 피하세요” 고령층 밀집 지역 재난문자 이어져
- 2025-07-18
-
- 집중호우 대비, 부모님 거주지 재난문자 ‘안전디딤돌앱’으로 확인
- 2025-07-18
-
- 신간 ‘호모레퍼런스’ 출간… 문명과 연대의 뿌리를 탐구
- 2025-07-18
-
- “수퍼시니어가 온다”, 日 산업계가 주목하는 ‘새로운 노인상’
- 2025-07-18
-
- "40대만 보세요" 서울시50플러스재단 직업캠프 참여자 모집
- 2025-07-18
-
- 노화 혐오 시대, 어떻게 나이 들어야 할까?
- 2025-07-18
-
- [카드뉴스] 장마 기간, 특히 주의해야 할 건강·위생 이슈 4
- 2025-07-18
-
- [주택연금 백문백답] ⑧종신·확정기간·대출상환 지급방식 유형 ‘다양’
- 2025-07-18
-
- [지방소멸 대응]② 인구소멸 지역을 살리는 중장년 '그들을 잡아라'
- 2025-07-18
-
- [폭우 노인안전수칙]③ 신발 없으면 맨발로 대피·이동 시 난간 잡아야
- 2025-07-17

더위 잡으려다 지갑 털린다…삼계탕 재료비 5년 새 35%↑
오는 20일 초복을 앞두고 보양식 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전통시장에서 재료를 구매해 삼계탕을 끓이는 데 드는 비용이 1인분에 9천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5년 전보다 35% 오른 수치다. 한국물가정보가 1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통시장에서 삼계탕 4인분 재료를 구입하는 데 드는 비용은 총 3만 6260원으로, 1인분 기준 약 9065원이다. 이는 5년 전(2만 6870원)에 비해 무려 34.9% 오른 수치다. 지난해(3만 2260원)와 비교해도 12.4% 상승했다. 서울 지역 삼계탕 외식 평균 가격은 1인분 기준 1만
브라보 인기뉴스
-
- 표영호, 개그맨→부동산 유튜버 “수익 목적 아냐”
- 표영호의 삶은 전환의 연속이었다. 개그맨, 강연자, 부동산 전문가, 그리고 유튜버까지. 다양한 정체성을 거친 그는 ‘인생 2막’의 성공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그런 그가 꼽는 가장 큰 원동력은 ‘실패’다. 실패를 반복하며 방향을 조정했고, 그 과정이 곧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고 말한다. 그는 스스로를 “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용기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한다. 표영호는 1993년 MBC 공채 4기 개그맨으로 데뷔했다.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일요일 일요일 밤에’, ‘무(모)한 도전’ 등에 출연하며 화려한 입담으로 시청자를 사로
-
- MZ 유행 ‘보호시크룩’…시니어도 입는다
- 임승희 인덕대학교 방송뷰티학과 교수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덕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4060세대를 대상으로 패션 스타일링 강의를 진행했다. 임 교수는 4060세대의 또 다른 패션 트렌드로 ‘보호시크 룩’을 꼽았다. ‘보헤미안’과 ‘시크’ 스타일의 조화를 말한다. 자유롭고 내추럴한 감성을 담은 보헤미안 무드에, 도시적인 세련미를 가미한 스타일이다. 프릴과 레이스, 크로셰(코바늘 짜임), 프린지 스타일 등이 속한다. 보호시크 룩은 젊은 층에서 특히 인기다. LF의 밀레니얼 캐주얼 브랜드 던스트는 이탈리아 남부 카프리섬의 해안에서 영감
-
- 폭염주의보, 패션 업계 냉감성 의류 주목
-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의식주의 기본, ‘옷’부터 달라야 한다. 체온조절이 중요한 시니어에게는 통기성 좋은 소재와 활동성을 갖춘 옷차림을 추천한다. 스타일 감각까지 더한다면 일상 속 활력은 물론, 자신감 있는 여름을 보낼 수 있다. 2025년 여름 패션 트렌드를 참고해 무더위를 이겨낼 방법을 찾아보자. 기능성 패션의 진화, 일상도 쿨하게 폭염이 일상화되면서 패션업계는 단순한 기능성을 넘어 세련된 디자인까지 겸비한 냉감 의류를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시니어 세대의 대표적인 여가 활동인 골프나 등산 등 아웃도어 수요를 반
-
- 시원한 ‘시어서커’…쿨해진 여름 패션
- 냉감 기능성과 함께 주목받는 소재는 ‘시어서커’다. 시어서커는 실용성과 스타일을 모두 갖춘 여름철 필수 원단으로 꼽힌다. 임승희 인덕대학교 방송뷰티학과 교수는 “시어서커 소재는 면처럼 땀을 흡수하지는 못한다. 다만 몸에 달라붙지 않아 통기성이 좋다”면서 “시어서커는 그동안 티셔츠와 셔츠 소재로 많이 사용됐는데 올해는 정장, 원피스 등으로 의류가 확장됐다”고 말했다. 아웃도어 브랜드 K2 역시 다양한 여름 냉감 시리즈를 선보였다. 그 가운데 ‘시원서커’는 시어서커 소재를 적용해 냉감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이다. 섬유 조직 사이에 천만
브라보 추천뉴스
브라보 테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