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보안관 이태현 씨
“1984년에 입사해 평생을 일했습니다. 부산직할시 지하철건설본부로 입사해 부산교통공단으로, 다시 부산교통공사로 바뀐 현재까지 함께했으니까요. 부산지하철 건설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참여했습니다. 건설에 필요한 토목, 건축, 설비 등 모든 과정을 꿰뚫고 있는 사람 중 한 명이죠.”
당시의 명칭은 지하철이었다. 부산교통공사가 도시철도로 바꿔 부르기 시작한 것은 2009년부터. 그가 34년 일하는 동안 차량을 지칭하는 이름과 사명 모두가 바뀌었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 도시철도에 대한 그의 자부심이다.
부산 도시철도 혁신성 ‘자부’
“흔히 서울지하철을 따라 한 모조품 정도로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바다를 메워 철로를 만들고 지형에 맞게 중형 전동차가 처음 도입된 곳이 부산입니다. 또 최초로 마그네틱 승차권을 사용한 곳도 부산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부산 도시철도는 부산 시민의 삶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고저의 차가 크고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 때문에 도시철도 의존도는 상당하다. 매일 100만여 명이 이용한다. 이제 도시철도가 멈추면 부산의 교통도 함께 멈춘다는 것을 부정하는 이는 없을 정도가 됐다.
퇴직 후 계획 틀어지며 방황
2016년 6월, 선배들이 그랬던 것처럼 그도 정년퇴직을 맞이했다. 세월의 흐름은 거스를 수도, 막을 수도 없었다.
정년퇴직을 앞둔 그의 계획은 남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작은 가게를 차려 두 번째 인생을 시작해보겠다는 평범한 꿈이었다.
“한식, 중식 조리기능사 자격증을 땄어요. 작은 가게를 운영해볼까 하고요. 그러나 곧 회사만 다니던 내가 바깥의 삶을 잘 몰랐구나! 하고 깨닫게 됐죠. 제 전문성을 살려볼까 했지만 워낙 수요가 한정된 분야이다 보니 마땅치 않더라고요. 수십 장의 이력서를 냈는데 연락을 준 곳은 건축 현장밖에 없었어요. 다니다가 오히려 건강만 해칠 것 같은 곳이었어요. 차라리 음식점이나 차려볼까 고민하고 있을 때 노사발전재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를 알게 됐고 그곳에서 내가 처한 현실을 직시할 수 있었죠.”
그러다 눈에 띈 것이 도시철도 보안관. 지난해 3월 공고를 보고 이거다 싶었다. 도시철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내 집보다 훤히 꿰고 있었던 그였다.
물론 도시철도 보안관이라는 업무가 험한 일이라는 걸 잘 알고 있었지만 젊었을 때 태권도 3단 자격증을 딴 유단자 출신이라 사소한 물리적 접촉쯤은 겁나지 않았다.
자식 같은 삶의 터전 지키는 일 ‘행복’
도시철도 보안관은 열차와 역사 내 질서 유지를 담당하고, 안전저해 요소가 발생하면 초동조치와 함께 경찰 등 관계기관에 알리는 일을 한다. 업무의 특성상 경찰이나 공무원, 군인 출신의 지원자가 많다.
“도시철도 이용객들을 위한 모든 것들을 하죠. 잡상인이나 걸인 등의 활동을 제지하기도 하고, 최근 기승을 부리는 성추행, 몰카 범죄도 예방합니다. 또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의 문의에 응대도 해야 합니다. 유니폼을 입고 있어서 그런지 민원이 많아요. 도시철도 보안관은 만능인이어야 합니다.”
사법권도 없는 입장에서 범죄자들과 맞서야 하고, 하루 8시간씩 격일로 근무해야 해서 주말도 따로 없다. 시급으로 계산되는 급여는 매월 100만 원 남짓. 그런데도 그가 도시철도 보안관 일을 하는 이유는 뭘까?
“위험한 상황이 많습니다. 취객이나 범죄자의 폭력에 노출되기도 하고요. 실제로 부상을 입는 일도 꽤 많습니다. 하지만 승객의 안전을 돕는다는 자부심이 있어요. 정년퇴직 후에도 도시철도를 떠나지 않고 일할 수 있어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는 중장년 구직자를 위한 당부의 말도 잊지 않았다.
“저도 정년퇴직 후 많이 막막했어요. 가야 할 곳 없어 이대로 삶이 마무리되나 싶기도 했고요. 중장년을 원하는 곳이 많지 않아요. 하지만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어도 구직을 포기하지 말고 묵묵히 나아가셨으면 합니다. 찾다 보면 반드시 새 인생의 길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