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종묘와 조선 왕릉

기사입력 2017-11-15 19:40

▲종묘와 조선 왕릉(강신영 동년기자)
▲종묘와 조선 왕릉(강신영 동년기자)
종묘는 종로 3가역과 5가역 근처에 있다. 초등학교 때 단체로 갔던 기억이 있고 그 후로는 가보지 못했다. 조선왕조의 혼백을 모신 곳이라 하여 조심스럽기도 해서 왠지 발길이 가지 않던 곳이다. 그러나 몇 해 전 종묘 앞 쪽에 광장과 공원을 마련하고 대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가볼만 한 곳이 되었다.

입장료 1,000원인데 경로 우대는 무료이다. 안내서는 무료로 주지만, 자세한 설명이 잇는 소책자는 500원에 사야 한다. 아무 때나 들어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제로 입장시켜 시간이 안 맞으면 번거롭다. 대부분 한 시간 간격이다. 일단 들어가면 해설사가 붙고 50분 동안 경비들이 지킨다. 그래서 정문까지 갔다가 돌아선 적이 몇 번 있다.

종묘는 종로에 있는 묘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종로는 쇠북 종(鐘)이고, 종묘의 종(宗)은 마루 종이라 하여 산마루처럼 꼭대기를 뜻한다. 그러므로 왕과 왕비의 혼백을 모신 곳이다. 사람이 죽으면 육체는 썩어 없어지지만, 혼백은 남아 있다는 유교 사상에서 유래된 것이다. 나무로 만든 신주가 혼백이 머무는 곳이라는 것이다. ‘혼비백산’은 혼백에서 나온 말로 혼이 나갈 정도로 놀랐을 때 쓰는 말이다.

종묘는 정전이 가장 대표적인 건물이다. 길이가 101m에 달하는 가장 긴 한식 건물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5명의 왕을 모시려 했으나 조선 왕조가 500년간 이어지면서 왕과 왕비들도 늘어나자 옆으로 계속 이어 지었다고 한다. 모두 정전에 모시지 못해 비중이 좀 떨어지는 왕들은 옆 건물인 영녕전에 모셨다고 한다. 그래서 여기 오면 학창 시절에 배웠던 조선 왕들의 순서와 여기 모신 왕들의 순서가 다르다. 원래 조선 건국을 개성에서 하고 한양으로 옮겨 왔을 때 지어졌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지은 것이다. 정전은 국보, 영녕전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고 종묘 제례는 무형 문화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종묘는 분위기가 다른 왕릉과 다르다. 일단 잘 가꾼 나무가 많아 공원 같은 분위기인 것은 비슷하지만, 정전 앞에 이르면 단조로운 긴 건물과 넓은 공간에 분위기가 차분하다. 그래서 ‘멍 때리기 좋은 곳’이라는 것이다. 정전 앞에 서 있으면 생각이 차분해진다고 한다. 정말 묘한 차분함이 느껴진다.

조선 왕릉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어 있으며 북한에 2기를 제외하고 40기가 대한민국에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다. 종묘에 간 날 마침 서오릉에 갈 일이 있었다. 왕실도 신분에 따라 능, 원, 묘로 구분되어 있다는 것이다. 직계냐 아니냐의 차이이다. 종묘에서 조선왕릉에 대한 이해를 하고 가니 훨씬 도움이 되었다. 그러고 보니 강남에 있는 선정릉, 학창 시절 소풍 가던 동구릉, 양재꽃시장 쪽에서 성남 가는 길에 있는 헌인릉, 여주의 영릉과 명릉, 영월의 장릉, 군대 생활하던 곳과 가까웠던 파주의 공순영릉까지는 가 봤다. 서울에 가까이 있는데도 못 가본 정릉이나 태릉 등 아직 안 가본 곳이 꽤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남양주 사릉, 홍릉, 유릉, 광릉 등 이름도 생소하거나 어디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못 갔다. 교통이 불편하기도 하고 가 봐야 비슷비슷하니 안 갔을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