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한 해 동안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이용자가 가장 많이 찾아본 신조어 중 유독 눈길을 끄는 것이 하나 있다. ‘츤데레’, ‘어남류’, ‘어그로’ 등에 이어 7위를 차지한 ‘졸혼(卒婚)’이다. 졸혼은 2015년과 비교해 2016년 많이 검색한 신조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졸혼의 의미를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많은 사람이 생소해하는 신조어 ‘졸혼’을 단번에 관심사로 만들어 공론화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한 사람이 있다. 바로 중견 스타 백일섭(73)이다.
‘졸혼’이라는 용어는 2004년 일본 작가 스기야마 유미코(65)가 쓴 <졸혼을 권함(卒婚のススメ)>이라는 책에서 유래한 단어다. 졸혼은 ‘결혼을 졸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부부가 이혼하지 않고 혼인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사는 것을 말한다. 졸혼은 결혼의 의무에서는 벗어나지만 부부관계는 그대로 유지한다는 의미에서 이혼, 별거와 구별된다. 이혼이나 별거의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만나지 않는다. 그러나 졸혼의 경우는 부부라는 관계가 유지되므로 정기적으로 만난다.
졸혼의 등장으로 함께 살거나 헤어지거나 둘 중 하나였던 결혼의 선택지에서 제3의 길이 추가된 셈이다. 스기야마는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졸혼은 부부의 대대적인 재설정이다. 부부관계가 변화하면서 졸혼이 성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졸혼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되고 또 하나의 결혼 문화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된 데에는 연예인 등 유명인들의 졸혼 선언 영향이 크다. 2013년 일본의 유명 코미디언 시미즈 아키라(63)는 졸혼을 선언해 적지 않은 충격을 주면서 ‘졸혼’을 사회적으로 이슈화했다. 34년간 함께 지낸 아내는 도쿄에 남고 시미즈는 산악지대인 나가노로 이주했는데, 당시 그는 부인과 이혼한 것이 아니냐는 언론의 질문에 “좋아하는 낚시를 하거나 집을 고치고 있을 뿐 결코 혼자가 된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2016년 11월 3일,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졸혼과 백일섭이 인기 검색어 상위를 차지했다. 백일섭이 이날 방송된 TV조선의 <인생다큐 마이웨이>에서 졸혼 사실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나쁜 의미로 표현되지 않을까 조심스럽다. 이혼이 아니라 결혼을 졸업하자는 생각을 했다. 배우인 아버지로서 집안에서 대우받고 위로도 받고 싶었다. 하지만 이런저런 것들이 서로 사이클이 맞지 않았다. 깊이 고민하다가 2015년 집사람한테 ‘나 나간다’ 하고 집을 나왔다.”
그가 36세 나이에 부부의 연을 맺어 30여 년간 결혼생활을 한 뒤 졸혼을 선택한 이유다. 백일섭은 아내와 함께 살던 집을 나와 따로 거처를 마련해 혼자 지내는 졸혼생활이 만족스럽다고 했다.
“집을 나와 혼자 생활하면서 마음이 편했다. 혼자 생활한 지 일 년이 넘었는데 전혀 불편하지 않다. 결혼한 뒤 일하고 집에 들어가면 편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 여러 이유로 집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수선했다. 이제는 아이들도 다 컸고 무엇보다 건강하게 일(방송, 영화)을 활발하게 하면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고 싶어 졸혼을 선택했다.”
백일섭의 졸혼 선택에 대해 아들 백승우씨는 “이상하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큰 감흥은 없다. 두 분이 안 싸우시고, 저는 편하다. 결혼은 부부의 문제다. 아버지의 선택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백일섭은 졸혼을 선언한 후 아들과 함께 고향인 전남 여수를 찾아 바다낚시를 하거나 지인들을 만나 술잔을 기울이기도 한다. 식당에서 혼자 밥 먹는 ‘혼밥’과 혼자 술 마시는 ‘혼술’에도 익숙해졌다. 그는 “혼자 살면 혼밥과 혼술은 어쩔 수 없이 해야 한다. 이제 요령이 생겨 편하고 행복하게 혼밥과 혼술을 한다. 혼밥과 혼술은 외롭거나 애처로운 것이 아니다. 마트에서 식재료를 사가지고 와 집에서 요리도 하고 밥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졸혼을 계기로 드라마와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 연예활동도 활발하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이 칠십이 넘으니까 연기에 대한 의욕이 더 많이 생긴다. 좋은 연기를 하려면 건강해야 한다. 건강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혼자 산다고 막사는 것이 아니다. 철저하게 생활을 관리한다.”
방송을 통한 백일섭의 졸혼 공개는 졸혼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논란을 증폭시키며 큰 파문을 몰고 왔다. 그는 “졸혼은 개인의 선택이다. 부부간의 사정과 상황에 따라 함께 생활하면서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고 나처럼 졸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졸혼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 사회에 졸혼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이 의외로 많고 졸혼을 선택한 부부도 적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결혼정보업체 가연이 지난해 회원 548명(남 320명, 여 228명)을 대상으로 졸혼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57%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여성은 응답자의 63%가 졸혼 문화를 긍정적으로 봤고 남성은 54%가 찬성 의사를 보였다.
물론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엇갈린다. “졸혼은 이혼 수순으로 가는 가족 해체의 전 단계다. 부부간에 문제가 있다면 해결한 후에 건강한 부부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로 산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라는 부정적 견해와 “이혼과 달리 졸혼은 자녀에 대한 미안함, 죄책감이 없으며 주변 시선에도 신경이 덜 쓰인다. 부부생활을 같은 공간에서 하지 않아도 부부관계나 자식과의 관계에 특별한 변화는 없다. 각자 독립적으로 살며 결혼생활 때문에 하지 못했던 것을 하며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다. 졸혼은 가족의 해체가 아닌 부부의 자존감을 높이는 결혼 문화다”라는 긍정적 견해가 있다.
현재 찬반 논란이 증폭되고 있기는 하지만, “행복하기 위해서 결혼을 선택했듯 졸혼도 남은 인생을 행복하게 살기 위해 선택한 것이다”라는 백일섭의 말에는 공감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