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나도 악기 하나쯤 다루고 싶다

기사입력 2016-11-28 10:55

▲나도 악기 하나쯤 다루고 싶다(박미령 동년기자)
▲나도 악기 하나쯤 다루고 싶다(박미령 동년기자)

최근 우리 사회가 반려동물, 반려식물에 이어 이젠 ‘반려악기’의 시대가 되었다는 신문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취업 포털 ‘사람인’이 성인 남녀 3천5백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죽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버킷 리스트’ 중 ‘악기 배우기’가 34.4%로 1위를 차지했단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 ‘속희가무(俗喜歌舞)’라고 기록될 정도로 예로부터 노래와 춤을 즐겼고, 오늘날의 고도로 발달(?)한 노래방 문화를 보더라도 사실 그동안 음악을 좋아하는 민족치곤 의외라고 느껴질 정도로 우리의 악기 문화는 초라한 수준을 면치 못했다.

평소 모임에 나갔을 때 누군가 앞에 나가 피아노라도 치게 되면 다들 부러운 눈초리로 바라보고 사람이 다시 보이는 경험을 했을 터이다. 게다가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색소폰 연주라도 할라치면 아주 별종을 보는 듯했다. 그만큼 주위에 악기 다루는 사람이 드물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금은 20~30대 직장인들에게 무료로 악기 강습을 하는 ‘미생 응원 이벤트’, 은퇴한 시니어들이 자녀의 결혼식이나 은혼식 등 의미 있는 날 축가를 연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축주 선물 강습 이벤트’ 같은 행사가 열릴 때마다 과거와 달리 신청자들이 대거 몰린다고 한다.

우리 사회에 요즘 ‘반려’가 시리즈로 등장하는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깊다고 본다. 그동안 고도 성장기에 오직 앞만 보고 달리며 자신을 돌보지 않았던 우리 국민들이 비로소 주변을 바라보고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반려’라도 반려동물과 반려악기는 그 의미가 다르다. 반려동물의 등장은 1인 가구가 늘어나는 등 가족의 해체와 관련이 깊은데, 이런 현상은 우리 사회가 점차 고독하고 우울한 사회로 향하는 징표이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반면, 반려악기는 오히려 성숙한 선진국으로 다가가는 징표이므로 긍정적인 지표라고 볼 수 있다.

반려악기는 나만의 취미이기도 하지만, 음악이 궁극적으로 화합과 소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고독한 사회를 치유할 수 있고, 자신을 성찰하고 정서적 안정을 선사하므로 사회적 갈등의 치료제가 될 수도 있다. 베네수엘라의 빈민가 아이들에게 기적을 선사한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의 엘 시스테마(El Sistema)가 이러한 힘을 입증한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의 교양 있는 중산층 가정에서는 대부분 연주할 수 있는 악기를 하나씩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이 동네 피아노 선생님한테 보내셨는데 도통 음악은 재주가 메주라 지겨워서 체르니인가 치다가 그만둔 기억이 난다. 60을 넘으니 악기 연주의 즐거움도 맛보고 싶어 쉬운 악기가 없을까 기웃거리게 된다. 더욱이 악기 연주는 우울증과 치매까지 예방한다니 금상첨화가 아닌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