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33년 워킹맘의 독립선언 “나 밥 안 할래!”

기사입력 2022-02-11 08:44

[노년 독립, 홀로 일어서다] Part.2 62세 독립 선배의 조언 “빨리 할 수록 좋아”

▲2020년 김희숙 작가가 제주도 여행 중 찍은 사진(제공 김희숙)
▲2020년 김희숙 작가가 제주도 여행 중 찍은 사진(제공 김희숙)

엄마는 암을 두 번이나 겪었지만 퇴근하면 여전히 밥을 하고 빨래를 했다. 아내는 밥하는 것도, 설거지도, 빨래도 싫어하는데 말이다. 교사는 밥하다 말고 문득 생각했다. ‘이러다 나는 죽을 때까지 싫어하는 일만 하겠구나.’ 그래서 33년 차 엄마이자 아내, 교사 김희숙(62)은 직장부터 때려치우고 독립을 선언했다.

작가 김희숙은 독립하기 이전 성실한 시민이었다. 사회에선 좋은 선생님, 가정에서는 좋은 아내이자 엄마이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모두에게 좋은 사람으로 남기 위해 지나치게 애쓰다가 지치곤 했다. 교장이라는 지위까지 가기 위해 세웠던 계획은 다른 사람 눈에 보기 좋은 계획이었음을 뒤늦게 깨달았다.

특히나 ‘밥’이란 그가 맡은 의무이자 사는 내내 따라붙은 고정관념 그 자체였다. 밥 한 번 지어본 적 없었지만 보수적인 남편 만나 매끼 밥상을 차려냈다. 아이들이 생긴 뒤엔 엄마로서, 선생님으로서 학생들 끼니를 챙겨야 했다.

그러다 암 판정을 받은 그는 2018년 교단에서 내려와 항암 치료에 집중했다. 2019년부터는 암 환자들끼리 모이는 글 모임에 나가기 시작했다. 모임에서는 글을 한 편씩 써서 내야 했다. 직장도 그만두고 항암 치료까지 끝난 당시, 그는 거대한 시간 덩어리가 다가오는 기분을 느꼈다. ‘앞으로 이 시간을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고민한 결과 독립선언서가 탄생했다.

“제가 제일 단단하게 얽매여 있는 게 무엇인지 생각했어요. 그래야 독립할 수 있으니까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제게는 그게 밥이었어요. 밥으로부터 벗어난 뒤로는 저만의 시간을 많이 확보해냈죠.”

(오병돈 프리랜서)
(오병돈 프리랜서)

밥으로부터 벗어나 가족에게서 독립하다

33년 동안 밥을 했던 그에게 ‘이제는 밥을 하지 않겠다’는 선언이 독립선언이나 다름없었던 이유다. 하지만 아예 밥을 안 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여전히 밥을 하지만, 하고 싶지 않을 땐 밥을 하지 않고 여행을 훌쩍 떠나버린다. 그는 삶의 모든 것을 스스로 선택하며 원하는 삶을 사는 독립한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제 가족들은 그가 집에 없으면 자연스럽게 ‘어디 여행 갔나 보다’ 생각한다. 여행을 다녀오면 오히려 깨끗해져 있는 집을 보며 그는 깨달았다. ‘내가 없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던 우리 가족은 나 없이도 잘 굴러갈 수 있구나. 어쩌면 집을 가장 어지르는 사람은 나였을지도 몰라.’ 그리고 독립을 선언하고 나선 건 그지만 서로가 서로에게서 독립했다는 것도.

독립선언 후 ‘날라리 자유인’ 신분이 된 지금은 그저 마음이 편안하다. 가족이나 친척에게 잘해줘야 한다는 의무감에서도 많이 벗어났다. “부탁을 받으면 ‘내가 할 수 있을까?’ 부터 생각해요. 할 수 없다는 판단이 서면 거절하죠. 죄책감도 그만 느끼려고 해요. 내가 좋아야 남도 좋을 테니까.”

하지만 자식으로부터의 독립은 여전히 어렵기만 하다. “당장 오늘도 ‘엄마 이 목걸이 할까, 저 목걸이 할까’ 골라달라고 했어요. 엄마 입장에서는 딸이 너무 친밀하니까 사소한 것까지 공유하게 되는데 자식 입장에선 부담될 수도 있잖아요. 자제하려고 하는데 제일 지키기 어려워요.”

그럼에도 아이들과 남편, 나아가 세상과의 적절한 온도를 찾는 일은 계속할 생각이다. 너무 뜨거운 것 같으면 조금 멀어져서 온도를 낮추고, 너무 멀어진 것 같으면 조금 다가서서 온도를 높이는 일 말이다.

▲김희숙 작가가 포르투갈 여행 중 그린 동 루이스 1세 다리(제공 김희숙)
▲김희숙 작가가 포르투갈 여행 중 그린 동 루이스 1세 다리(제공 김희숙)

여행과 책상, 그리고 적당한 관계

대신 자신과의 온도는 꾸준히 올리고 있다. 방에 책상도 새로 들였다.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는 책상에서 매일 저녁 책을 읽고 글을 쓰고, 필사를 하거나 그림을 그린다. 요즘은 교사 생활하며 있었던 재밌는 일화를 짤막한 글과 그림으로 풀어내고 있다. 어느 정도 개수가 차면 세 번째 책을 낼 생각이다.

좋아하는 것도 마음껏 한다. 노는 데 진심인지라, 더 열심히 놀기 위한 것들만 골라 담아 배우는 중인데 그 종류가 자그마치 10개다. 당구도 배우고, 필라테스, 라인 댄스도 배운다. 여행도 열심히 다닌다. 코로나19 때문에 해외로 떠날 수는 없지만 국내에도 다닐 곳은 많다. 가장 좋았던 여행지는 인천의 굴업도다. 무인도나 다름없는 섬에서 사슴들과 함께 원 없이 하늘 바라보던 기억은 잊을 수가 없단다.

가족과 직장. 기존의 것들로부터 거리를 두면서 그는 새로운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었다. 상대에게 너무 의존하지 않고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암에 걸리든 멀쩡하든, 사람은 어느 순간 갑자기 사라질 수 있잖아요. 언젠가 누군가 떠나가도 적당히 슬퍼하되 나의 삶을 온전히 잘 살 수 있는 정도의 사이를 유지하려고 해요. 그 사람의 부재를 감당하지 못하고 너무 힘들어하는 건 서로에게 좋지 않으니까요.”

독립선언 후 스스로를 우선시했더니 삶의 반경이 오히려 넓어졌다. 그는 암 환우들과의 글, 그림, 독서, 필사 모임에서, 아미북스를 통해 책을 내려는 예비 작가에게 선배로서 재능 기부를 하고 있다. 내가 필요할 때 하고 싶은 일을 하다 보니 가족, 직장에서 만난 인간관계를 넘어 제3자에게까지 영향력이 닿게 된 것.

(오병돈 프리랜서)
(오병돈 프리랜서)

빨리 할수록 좋으니 지금 시작하라

독립하고 싶지만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그는 ‘지금부터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각자의 상황이 다르니 단언할 수는 없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존의 고정관념이나 덧씌워지는 의무들이 더욱더 굳어지기 때문이다. 지금 고민하는 김에 한 발이라도 내딛어보는 게 중요하다. 그는 남편과 아이들에게 집안일을 분담하는 것으로 첫발을 내딛었다. 아내, 엄마도 하나의 인간이라는 걸 인식시키고, 인간으로서 존중받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도 했다.

그는 61세의 독립선언도 너무 늦어 아쉽기만 하다. 독립 선배로서 추천하는 ‘독립 적령기’는 50세다. 자기 자신으로서의 새로운 삶을 살 것인지, 아니면 지금까지의 삶과 일을 확장시켜나갈 것인지. 기대수명 백 세의 절반인 50대에는 적어도 독립을 고민하고 준비해야 한다.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대학에 입학하고, 직장으로부터도 벗어날 수 있는 보편적인 시기이기 때문이다.

“제가 50세일 때는 독립해야겠다는 생각을 전혀 못 했어요. 그저 교사로서, 아내로서, 주부로서, 살던 대로 살기 바빴죠. 이제 와 생각해보니 너무 아까워요. 더 빨리 결심했어야 했는데.”

조금 늦은 시기, 생각지 못한 질병으로 말미암은 독립이지만 덕분에 모든 순간에 더욱 진하게 몰입할 수 있게 됐다. “죽음을 생각하며 산다는 건, 삶이 더 진해진다는 말과 같아요. 아프지 않을 때도 열심히 살았다고 자부하지만 암을 겪고 난 이후에는 확실히 달라요. ‘언제든 죽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모든 순간이 소중해져서 열심히 살게 되거든요.”

그가 암 환우들을 위한 프로그램, 모임에서 만난 이들 모두가 그랬다. 무언가 하고 싶다면 바로 해버리고, 그 순간 그 일을 아주 만끽하며 최선을 다한다. 그 역시 시간을 함부로 낭비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다. 주어진 시간이 하루가 되었든, 100년이 되었든 시간에 굴하지 않고.

[김희숙의 독립선언서]

하나, 나는 선언한다.

지금부터 난, 내 의지대로 선택, 결정하고 살아간다.

둘, 자식은 놓는다.

내게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집착하던 아이들, 잠시 내 곁에 머무르다 가는 사랑이었거니 생각한다.

셋, 남편은 바라본다.

결혼이라는 이름으로 지나치게 의미를 두고 굴레를 씌운 우리! 서로의 발목을 묶고 있던 짧게 맨 끈을 느슨하고 길게 풀어 멀리서 편안하게 바라보자.

넷, 사람과 더불어 산다.

어울림이 아름답기도, 타인의 시선이 감옥 같기도 하다. 때론 뜨겁게 때론 무심하게, 늘었다 줄었다 하는 고무줄처럼 조절하며 살자.

다섯, 나의 무지를 인정한다.

어느덧 가족 중에서 가장 아는 게 없고, 새로운 것들이 낯설기만 한 나. 하지만 못하겠다고 타인에게 해달라고 하지 말고, 거북이처럼 스스로 느릿느릿 깨우쳐보자.

여섯, 지나친 의무감과 정해놓은 틀에서 벗어난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제대로 생각하지 않고 당연하게 해왔던 것들. 그 틀에서 조금 벗어났다고 불안해하거나 죄책감을 갖지 말자.

일곱, 세상을 걷는다.

산과 들, 강가와 골목, 사람들 사이를! 바람 냄새가 그때그때 곳곳이 다름을 느껴보자. 넓고 깊이 볼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많은 곳을 걷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