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샌드 웨지 최초로 개발한 ‘진 사라젠’

기사입력 2020-03-26 09:06

[프로 골퍼 김용준 칼럼]


날씨가 화창한 날에 백사 벙커를 보고 있노라면! 마치 해변에라도 온 기분이 든다. 물론 보고만 있을 때 얘기다. 일단 그 안에 빠지면? 낭만은 단숨에 사라진다. 모래 색이 하얀지 검은지 감상할 새가 어디 있으랴! 벙커 탈출이라는 숙제가 눈앞에 있는데.

아주 옛날부터 벙커를 이렇게 멋지게 만든 건 아니다. 벙커가 골프장 디자인 중 핵심이 된 것은 불과 몇십 년밖에 되지 않았다. 무슨 소리냐고? 과거에는 벙커가 지금처럼 멋지게 꾸미는 대상이 절대 아니었다는 얘기다. 그럼 벙커는 뭐였냐고? 코스 내 쓰레기장 비슷한 곳이었다.

옛날엔 벙커에 온갖 잡동사니를 다 쓸어 넣었다. 퍼팅 그린에 있던 낙엽도 당연히 벙커로 밀어 넣어 치웠다. 코스에서 담배를 피우다가 꽁초나 담뱃갑을 버리기도 했다. 간식으로 통조림을 먹고 빈 깡통을 던져 넣기도 하고.

신사와 숙녀가 하는 스포츠가 골프라는 말은 맞다. 하지만 신사 숙녀가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행동에 대한 기준은 시대에 따라 다른 모양이다. 그 시절 그러니까 벙커가 쓰레기통이나 다름없었던 시절, 벙커에 빠지는 건 악몽이었다.



막간을 이용해 참고문제 하나 나간다. 벙커 속 낙엽이나 나뭇가지는 치울 수 있을까? ‘치울 수 있다’가 정답이다. 2019년 1월부터 적용한 새 골프 규칙에 따라 가능하게 됐다. 그 전에는? 치울 수 없었다. 그러니 벙커 속으로 볼이 들어가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에 닿으면 어쩔 수 없이 그냥 칠 수밖에 없었다.

그 시절 벙커가 악몽이었던 이유는 또 있다. 지금 같은 ‘웨지’가 없었다. 물론 그 당시에도 다른 클럽보다 짧고 클럽 페이스가 누운(하늘을 더 많이 보는) 클럽은 있었다. 그런데 지금과는 달랐다. 뭐가 달랐냐고? 바로 웨지 바닥에 바운스가 없었다. 바운스가 뭐냐고? 웨지 밑바닥을 보면 엉덩이처럼 통통한 부분이 바운스다. 바운스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안다면 중상급 골퍼다. 바운스가 있으면 클럽이 땅속에 박히지 않는다. 내리 찍어도 적당히 땅이나 모래 속으로 들어갔다가 튕겨 나온다. 그 덕분에 벙커에서 모래를 튕겨낼 수 있는 것이다.

과거 웨지에 바운스가 없을 때는 어떻게 했냐고? 웨지 날(리딩 에지)로 모래를 아주 적당히 잘 쳐야만 했다. 조금만 뒤를 치면 벙커 탈출에 실패했다. 볼 뒤를 바싹 치려고 하다가 볼부터 맞히면? 홈런이 났다.

그때는 어땠겠는가? 아예 벙커에 넣지 않는 것이 상책이었다. 그런데 그게 뜻대로 되는가? 큰 승부는 도저히 벙커를 피하지 못하게 세팅하곤 했을 텐데. 그 시절 지독하게도 벙커샷을 못하는 골퍼가 한 명 있었다. 다른 부분에서는 출중했다. 그의 이름은 진 사라젠(Gene Sarazen). 165㎝에 불과한 단신이었는데도 파워만큼은 대단했다. 그런데 벙커샷은 신기하게 잘 못했다. 그런 그가 벙커샷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샷 자체도 연구했지만 클럽 연구를 더 많이 한 것이다. 웨지 헤드를 이렇게 갈아도 보고 저렇게 붙여도 보고. 그러다가 사라젠은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로 웨지 헤드 밑바닥에 쇠붙이를 통통하게 붙이면 벙커샷이 훨씬 쉬워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랬다. 바운스를 최초로 착안한 사람은 바로 그다.

사라젠은 바운스를 붙인 웨지로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벙커에 빠져도 다른 선수처럼 탈출하려고 급급해하지 않았다. 이따금 홀에 가까이 붙이는 벙커샷까지 선보이며 몇 개 대회에서는 우승도 했다. 물론 정글에서 치열한 생존 경쟁을 하던 그였으니 ‘바운스 발명’은 비밀에 부쳤고.

그런데 언론이 관심을 갖고 추적한 끝에 그의 벙커샷 비밀을 밝혀냈다. 그러곤 어떻게 됐냐고? 골프용품 업체가 그와 계약을 맺고 바운스를 단 웨지를 판매했다. 그 웨지는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다. 다른 업체들이 바운스 연구를 시작한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쓰는 웨지가 널리 퍼진 것이다.



이탈리아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난 사라젠. 그는 어릴 적부터 골프에 빠져들었다. 그러나 목수였던 아버지는 아들이 자신의 일을 돕기를 더 바랐다. 꾀가 많았던 사라젠은 페렴으로 몸이 아팠을 때 “공기 좋은 곳에서 지내야 한다”는 의사 처방을 핑계 삼아 틈만 나면 골프장으로 달려갔다고 한다.

그는 승부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평생의 약점을 두 가지나 극복했다. 그중 하나는 작은 체구였다. 힘이 부족했지만 남다른 노력으로 장타자가 됐다. 다른 하나는 지독하게도 못하던 벙커샷이었다. 그러나 지혜와 연구로 그 약점도 극복했다. 그러곤 한 시대를 풍미하는 챔피언까지 됐다. 메이저 대회 일곱 차례 우승. 그리고 지금까지 단 다섯 명밖에 위업을 이루지 못한 커리어 그랜드 슬램(메이저 대회 4개를 한 번씩 다 우승하는 대기록)까지. 이 기록 때문에 미국 PGA 투어에서 39승을 올린 게 오히려 묻힐 정도다.

불가능은 없다. 더 위대한 골퍼가 되기 위해 이름까지 사라젠 제국에서 따와 ‘사라젠’으로 지은 그가 보여주지 않았는가! 1902년에 태어난 그는 너무 아쉽게도 내가 골프가 뭔지도 모르던 1999년 세상을 떠났다.


>>김용준

한마디로 소개하면 ‘골프에 미친놈’이다.

서른여섯 살에 골프채를 처음 잡았고 독학으로 마흔네 살에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프로가 됐다. 영국왕립골프협회(R&A)가 주관하는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KPGA 경기위원으로, 골프채널코리아에서 골프 중계 해설을 맡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