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들과 당구를 치고 나서 음식점에 들어갔는데 메인 메뉴 옆에 사리 종류가 있었다. ‘우동 사리’, ‘라면 사리’, ‘만두 사리’, ‘야채 사리’, 등이었다. 큰돈은 아니지만 돈을 더 내게 되어 있었다.
사리는 냉면 먹을 때 면만 추가로 더 주문할 때 사용했던 단어인데 만두 사리, 야채 사리는 맞지 않는 용법이 아닌가 해서 논란이 분분했다. 어떤 사람은 ‘사리’가 일본어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래서 스마트 폰 검색으로 사전을 찾아 봤다. 사리에 너무나 많은 뜻이 있어 그 자리에서는 포기했다. 사물의 이치나 일의 도리를 뜻하는 ‘사리(事理)’, 시신을 화장한 뼈를 뜻하는 ‘사리(舍利)’, 매달 음력 보름과 그믐날, 조수가 가장 많이 밀려오는 때를 얘기하는 순수 우리말 ‘사리’, 사적인 이익을 뜻하는 ‘사리(私利)’, 허리 부분이 노출되는 인도식 복장인 ‘사리’, 등 뜻이 정말 많았다.
우리가 찾고자 하는 ‘사리’는 일본어도 아니고 순수 우리말 ‘사리’였다. ‘떡볶이나 냉면 따위의 기본 음식 위에 덧얹어 먹는, 국수나 라면 따위의 부가 음식’이라는 해설이 있었다. 그러므로 만두 사리, 야채 사리도 부가 음식의 개념으로는 틀린 용어는 아닌 것이다.
당구 칠 때 큐가 미끄러지는 ‘픽사리’도 있다. 신중하게 겨누었는데 스트로크할 때 큐가 미끄러지면 김이 빠진다. 스트로크가 직선이 아니거나, 탭에 초크 칠 하는 것을 소홀히 했거나, 지나치게 당점을 공의 바깥쪽에 두다 보면 미끄러져 생기는 현상이다. 공을 치고 나서 안 맞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공을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고 미수에 그쳤으니 허무한 일이다. 그냥 당구인들끼리 사용하는 속어인줄 알았는데 엄연히 국어사전에 들어 가 있다. 순화 용어로 ‘헛 치기’라고 제시했는데 우리는 ‘픽사리’가 더 친숙하다.
노래를 부를 때 흔히 고음에서 음정이 어긋나거나 잡소리가 섞이는 경우를 통속적으로 이르는 말인 ‘삑사리’도 있다. 그래서 노래방에 가면 여자가수가 부른 노래는 남자 음정으로 맞추어서 불러야 하고, 같은 남자 가수 노래라도 원래 가수가 고음인 경우에는 자기 목소리에 맞게 음정을 몇 터치 낮춰서 부르는 것이 삑사리를 피하는 요령이다.
‘몸을 사린다’는 뜻도 있다. 어떠한 일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고 살살 피하며 아낄 때 쓰는 말이다. 당구 칠 때 자기 점수대로 놓지 않고 낮춰서 치는 사람도 몸을 사리는 축에 들어간다. 실수하면 상대방에게 치기 좋은 공을 줄까봐 소극적으로 플레이 하는 사람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다.
그날 우리는 2차로 노래방까지 갔다. 당구장에서 픽사리, 음식점에서 라면 사리, 노래방에서 삑사리까지 여러 가지 사리를 경험한 셈이다. 더 이상 돈 버는 데 혈안이 될 필요가 없으니 ‘사리(私利)를 탐하지 말자고 했다. 모두 장례는 화장을 원하고 있으므로 그때는 사리(舍利)를 남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