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함철훈의 사진 이야기] 꿈을 나눌 친구

기사입력 2017-02-20 11:17

▲Gems of Central Asia(함철훈 사진가)
▲Gems of Central Asia(함철훈 사진가)

언제 친구가 되었는가에 따라 서로간의 친밀도가 다릅니다. 초등학교 친구들과의 기억은 너무 멉니다. 그러나 몇몇 단편적인 상황은 의외로 또렷합니다. 예를 들자면 얘기를 나누던 표정과 쪼그려 앉아 있던 곳, 함께 맡던 공기 냄새와 햇살까지 분명합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갈라져야 했던 몇몇 아이의 이름과 얼굴도 또렷합니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가며 친구들도 구체적으로 나뉘어 기억됩니다. 그렇게 중학교 때 만난 귀한 친구가 아내와 함께 지난여름 우리가 사는 몽골로 놀러왔습니다. 그 친구는 어렸을 적에 나에게 별명을 붙여주었습니다. 당시의 내 별명은 ‘용가리’, ‘하마’ 등 외모와 연결되었는데 의외의 ‘꿈쟁이’였습니다. 지금은 조금 이해되지만, 당시에는 부정적으로 들렸습니다. ‘꿈쟁이’라니 내가 그렇게 허무맹랑한가? 내가 그렇게 현실감각이 없나? 그렇지만 내 삶의 고비마다 ‘꿈쟁이’라는 그 친구의 말이 떠올랐으며 그럴 때마다 그 의미가 바뀌었습니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책에  "…….자녀들이 장래 일을 말할 것이며 너희 늙은이는 꿈을 꾸며 너희 젊은이는 이상을 볼 것이며…"라고 쓰인 말대로, 나는 이제 행복한 꿈을 만들어내는 늙은이가 되고 싶습니다.


사진으로 예술과 꿈을 이해

꿈은 현실과 대비되지만 실제로 그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꿈을 꾸기 위해선 먼저 잠이 들어야 합니다. 손자가 생기고 갑자기 아기를 안아 재울 일이 많아졌습니다. 아이를 키워본 사람은 잠잘 때가 예쁘다는 말을 합니다. 거기에는 잠재우기가 힘들다는 경험도 스며 있습니다. 갓난아기가 주위에 반응하고 웃기 시작하면서 차츰 잠드는 순간을 구분하게 됩니다. 잠이 오면 스르르 잠에 떨어질 때도 있지만, 대부분 깨어 있으려 뻐팅기기도 하고 갑자기 떼도 쓰고 울기도 합니다. 관성의 법칙이 잠에도 적용되나봅니다. 일단 잠들면 몸의 모든 긴장이 빠지고 전혀 다른 상태가 됩니다. 거기서 다시 꿈을 꿀 때는 또 다릅니다. 곁에서 봐도 그냥 자고 있는지 아니면 꿈을 꾸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꿈을 꿀 때는 놀라기도 하고 웃기도 합니다. 얼마나 예쁜지 모릅니다.

현실과 잠이 다르듯이 현실과 꿈은 또 다릅니다. 그렇게 예술은 현실과 꿈처럼 또 다릅니다. 사진을 하면서 난 예술과 꿈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어쩌면 친구 말대로 내가 꿈쟁이라서 예술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지금 난 사진으로 꿈을 꾸고 있습니다. 무의식에 끌려 다니는 꿈과는 조금 다릅니다. 내가 만들어가는 꿈입니다. 아내는 그 꿈이 무슨 가치가 있냐고 묻기도 합니다. 그럴 때마다 난 열심히 아내에게 내 꿈을 설명합니다. 설명하다 아내에게 여러 번 망신당하고 얼마나 민망했는지 모릅니다. 그래도 난 지치지 않고 아내가 눈치 채지 못하는 방법으로 꿈틀대며 반항을 해왔습니다. 난 꿈쟁이니까요.


인문학이 사람의 꿈

꿈보다 해몽이란 말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난 이제 꿈만 꾸는 게 아니라 해몽도 합니다. 내가 살아남기 위해 해몽을 합니다. 우선 아내에게서 살아나야 합니다. 그 꿈과 해몽이 이젠 우리 가족을 먹여 살립니다. 조금 있으면 그 꿈과 해몽이 실크로드를 타고 우리나라와 몽골을 거쳐 중앙아시아까지 이어지길 바랍니다. 꿈이 돈이 될 수 있고 더 큰 것도 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또 한 발짝 들어가 예술뿐 아니라 역사도 그 테두리 속에 꿈의 원자재로 넣었습니다. 인문학이 사람의 꿈임을 눈치 챘기 때문입니다.

사진가로 나는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사진으로 몇 가지 프로젝트를 해왔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LA캠퍼스 Kerkhoff Hall Art Gallery에서 2003년 11월 초대받은 Forgotten Terror–I SAW YOU! 그리고 한국에서 개최된, 20개국이 참여하는 역사NGO세계대회에 초대받았습니다. 주제는 동남아시아 역사 화해를 위한 역사 교육이며 주최 단체는 세계NGO역사포럼과 동북아 역사재단이었습니다. 이어 일본군에게 성노예로 희생당한 필리핀 할머니 생존자들을 찾아 2009년 열린 역사NGO세계대회에서 필리핀 위안부 할머니들을 촬영한 사진을 소극장 ‘공간사랑’에서 발표했고, 일본국회의원회관, 노근리평화공원 설립을 위한 역사학자 모임 등에 초대받았고 문화체육관광부, 외교통상부, 지식경제경부와 중앙일보 주최로 2009년 5월에 ‘Gems of Central Asia’를 용산국립박물관에서 초대 전시를 가졌습니다.

그렇게 사진에 역사를 담다가 사건은 보는 시각에 따라 같은 내용도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온다는 것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마치 요리사들에게 같은 재료를 주고 다양한 음식을 기대하는 프로그램이 가능하듯 관심을 가져온 실크로드 국가들의 역사가 그렇게 보입니다. 역사는 특히 사실만을 찾는 학문인 줄 알았습니다. 학자들이 힘을 다해 사실을 찾듯, 좋은 재료를 찾는 일이 역사의 전부로 생각했는데, 그 후의 작업, 즉 찾아낸 역사적인 사실로 어떻게 좋은 요리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먹이느냐에 대해서는 아직 생각이 미치지 못했었습니다. 그런데 실크로드관련국에서 발표되고 있는 역사에서 우리 대한민국만이 독점한 사건이고 인물이라고 생각했던 조상들에 대한 언급을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내가 받았던 역사 교육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남의 역사를 건드리는 내용’이었기 때문입니다.


서로의 공통분모 찾기

생각을 멈추고, 같은 재료를 갖고 다른 요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을 해보았습니다. 나와 내 주위 나라들은 서로 다른 역사에 대한 시각을 갖고 있었던 것입니다.

닫힌 역사와 열린 역사관?

유목적인 이해와 농경적인 가치?

역사를 쪼개고 분열시켜 작게 방향을 잡는 방법과 합하고 어울려 크게 보는 대승적 관점.

다시 멈춰 주위 다른 민족과 분리해내었던 내 나라의 역사를, 그들과 서로 교차하며 만났던 공유된 역사로 짜보았습니다.

여행 중 만났던 중앙아시아인의 외모에서 우리의 흔적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서로의 닮은 모습들이 드러납니다. 역사는 서로를 갈라내기도 하지만 서로의 공통분모가 찾아진다면 이제라도 반갑게 만날 수 있습니다. 유럽을 여행하며 국경을 초월한 유럽연합 국가들이 만들어내고 있는 현실이 부러워 꿈을 꾸었습니다. 우리의 자녀들이 서로의 묻힌 역사를 재료로 아시아와 유럽-유라시아에 대승적 실크로드 연합 공동체를 건설하고 그 멋진 나라의 주인으로 사는 꿈입니다.


함철훈(咸喆勳) 사진가·몽골국제대학교 교수

1995년 민사협 초청 ‘손1’ 전시를 시작으로,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 2012년 이탈리아 밀란시와 총영사관 주최로 전을 FORMA에서 개최. 2006년 인터랙션대회(NGO의 유엔총회)에서 대상 수상. 저서로 <보이지 않는 손>, <사진으로 만나는 인문학> 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