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신간> 섬진강 시인 김용택의 ‘나는 참 늦복 터졌다’

기사입력 2014-05-04 17:47

김용택 가족이 함께 쓴 이야기

‘섬진강 시인’ 김용택(66)과 아내 이은영, 김 작가의 모친 박덕성씨가 책을 냈다. 신간 ‘나는 참 늦복 터졌다’(푸른숲 펴냄)다.

책에는 여든이 넘은 박씨가 바느질을 하고 한글을 배우며 간강과 삶의 활력을 되찾는 과정을 담았다. 할머니가 입으로 얘기하면 며느리인 이씨가 받아 적었다.

온종일 창밖을 바라보는 것이 하루 일상이었던 박씨. 농사꾼으로 평생 살았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늘어나는 것은 한탄과 자식에 대한 서움함, 그리고 아프다는 하소연이다.

그러던 그에게 새로운 삶이 시작됐다. 며느리의 권유로 바느질을 하면서 부터다.

"내가 왜 병원에 있냐"(74쪽), "쉽게 죽도 안 하고, 내가 언제까지 이러고 살끄나. 방법이 없다"(67쪽)던 박씨는 밥보자기를 하나 둘 만들면서 생기를 되찾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수의 꽃잎과 줄기가 화려해지고 통통해졌다. 생산적인 활동을 통해 자존감과 정체성을 회복했기 때문이다.

며느리인 이씨는 시어머니인 박씨에게 글쓰기를 선물했다. 글을 읽을 줄 모르는 할머니가 단 몇 글자라도 직접 글을 써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글쓰기를 통해 박씨는 삶이 얼마나 고달팠는지 들려준다. 며느리가 내용을 천천히 받아 적는 순간 박씨의 말은 그 자체로 그의 역사이자 인생이다.

몇십 년을 들어온 내용이라 다 안다고 흘려들었던 지루한 옛날 사람 이야기가 아니었다. 그렇게 며느리는 시어머니를 다시 보게 되고, 시어머니는 한 자 한 자 글을 따라 쓰는 가운데 집안의 어른으로서 품격을 갖추어갔다.

며느리는 시어머니가 들려준 이야기들을 녹음한 다음 집에 와서 어머니 말씀 그대로 토씨 하나 놓치지 않고 정리했다. 책은 그렇게 탄생했다.

김용택 시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현재에 충실한 것도 중요하지만, 나이 든 뒤에 무엇으로 기쁨을 얻을 것인가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이 들어서 더 좋아지는 것,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것들을 찾으려 노력한다면 인생 후반부도 얼마든지 즐겁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여든 일곱의 나이에 한글을 깨치고 수를 놓으며 건강과 생기를 회복한 박덕성 할머니와 김용택 부부의 인생은 노후준비를 한답시고 돈 모으기에만 급급한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