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세대 초월하는 지혜… 신간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

기사입력 2025-04-01 10:12

조성권 이투데이피엔씨 미래설계연구원 원장 지음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황금알)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황금알)

고사성어는 세대를 초월하며 삶의 지혜를 전한다. 이러한 고전의 가치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조명하는 책,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가 출간됐다.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는 저자인 조성권이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전수받은 삶의 지혜와 교훈을 97개의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풀어낸 책이다. 저자가 어린 시절부터 성인이 되기까지의 성장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일화와 이에 연관된 고사성어의 교훈을 통해 인생을 살아가는 지혜를 전달한다.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저자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고사성어가 독자와 직접 소통한다는 점이다.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의 대표적인 고사성어 가운데 하나는 ‘현애살수(懸崖撒手)’다. 이는 ‘절벽에서 붙잡고 있던 손을 놓는다’는 뜻으로, 위기에 처했을 때 사소한 집착을 버리고 결단력을 발휘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훈육으로 나뭇가지에 매달려 절박한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체득한 저자는 현애살수의 의미를 깨달았고, 인생 전체를 통해 실천하게 된다. 이는 오늘날 수많은 현대인이 처한 선택과 포기의 기로에서 깊이 음미할 가치가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위기지학(爲己之學)’ 역시 인상적이다. 이는 ‘자신을 위한 학문을 하라’는 공자의 가르침으로, 타인에게 보이기 위한 학습이나 허영이 아니라 진정한 자기 성장을 위한 학문의 가치를 역설한다. 저자는 아버지의 삼국지 탐독과 분석을 통해, 학문이란 결국 자기 자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태도에서 출발함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는 학습과 지식을 얻는 행위 자체가 아닌 삶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문제로 연결되는 중요한 교훈이다.

한편, 저자가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들었던 ‘종오소호(從吾所好)’라는 고사성어는 개인의 진정한 행복과 자아실현을 이야기한다. 저자의 아버지가 "네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살아라"라는 충고를 통해 강조했던 이 성어는 현대인의 삶에서 여전히 강력한 메시지를 지닌다. 타인의 시선이나 사회적 기준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내적 가치와 소명을 발견하고 살아가라는 조언은 이 책 전체를 관통하는 주요한 철학이기도 하다.

아버지의 가르침은 때로는 엄격하고 가혹하기도 했지만, 그것이 결국 저자가 인생을 스스로 개척해 나갈 수 있도록 이끈 원동력이 되었다. ‘선행무철적(善行無轍迹)’을 통해 저자는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보여주기 위한 선행이나 의존적 태도가 아니라, 자신의 힘과 노력으로 꾸준히 나아가는 태도임을 강조한다. 즉, 진정한 삶의 발자취는 자랑하려고 남긴 흔적이 아니라 삶 자체에 묻어나온 진심 어린 노력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 책이 가진 가장 큰 미덕은 독자 스스로 삶의 태도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이다. 저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단순한 교훈이나 격언의 나열을 넘어, 삶의 본질과 인간 본연의 모습을 깊이 생각하게 만든다. 더불어, 이 책은 세대를 아우르는 지혜의 공유라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할아버지에서 아버지로, 아버지에서 저자로 이어지는 고사성어의 가르침은 격대교육(隔代敎育)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디지털 시대에 더욱 빛나는 교훈을 선사한다.

한편, 저자 조성권은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중학교 졸업 후 서울로 진학해 경동고, 국민대 경제학과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숭실대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리은행(입행 당시 상업은행)에서 홍보실장, 서여의도지점장 등을 지낸 뒤 예쓰저축은행(현 삼호저축은행) 은행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이투데이피엔씨 미래설계연구원장,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경제신문 이투데이를 비롯해 여러 언론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특강 강사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화장품·뷰티 디바이스… 중년 홈케어족 위한 안내서
  • “남자는 머리빨” 젊어지는 중년 헤어스타일링 백서
  • 젊음 추구하는 중년 ‘그루밍족’, 늘어나는 이유는?
  • ‘전기’처럼 일상에 녹아들 금융AI,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