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의학연구소’의 인생을 위한 ‘교감과 통찰’ 기르기
“당신은 어른입니까?” 이 질문에 쉽사리 답이 나오지 않는다. 왜 우리는 당당하지 못할까. 그렇다면 어른이 되기 위해 필요한 건 뭘까. ‘더 나은 어른’이 되기 위해 중장년의 나이에도 공부하는 이들의 얘기를 들어보자.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던 3월의 어느 날, 남산 자락 아래에 있는 ‘감이당’을 찾았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어른들의 공부방 같은 곳이었다. 20대부터 80대까지, 전문직부터 프리랜서까지, 나이도 직업도 다양한 사람들이 어우러져 수양의 시간을 쌓는다. 수업이 없는 날에도 찾아와 공부하고, 식사를 해도 된다. 식당과 식사 공간이 있으며, 그날도 2030 청년들이 밥 짓는 냄새가 모락모락 났다.
감이당을 설립한 이는 고전 평론가인 고미숙 작가다. 스스로를 ‘백수’라 부르는 그는 “혼자는 너무 심심하고 외로워서 공부 공동체를 꾸렸다”고 말한다. 인문학 공부를 위해 감이당을 찾은 이들은 작가가 되기도 하고, 이곳에서 수업을 하는 선생도 되고, 또 다른 공동체를 만들어 외부로 뻗어나가기도 한다. 감이당의 학생이자 선생인 60대 오창희 작가, 50대 문성환 작가도 그러한 경우다. 오 작가는 벌써 10년, 문 작가는 20년 넘게 감이당의 일원으로 함께하고 있다.
교감과 통찰의 중요성
감이당은 고전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는 인문의학연구소다. 21세기 인문학의 화두는 ‘생명과 우주’인데, 동양 사상에서는 이를 합쳐 ‘의역학’이라고 불렀다. 밝은 모습에 몰라봤지만, 오창희 작가는 20대 때부터 40년 넘게 류머티즘을 앓고 있다고 했다. 오 작가는 “몸이 안 좋아서 ‘동의보감’을 배우러 왔다. 동양 고전 공부를 계속하면서 시야가 넓어지고 마음도 커졌다. 병이라는 것에 집착하던 것이 줄어드니 몸도 건강해졌다”고 말했다. 걷는 것도 힘든 시절이 있었는데, 현재는 감이당에서 탁구를 제일 잘 치는 사람이 됐단다.
감이당 수업에서는 ‘글쓰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글이라는 창구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의보감’ 속 한 구절을 활용해도 좋고, 그날 수업에서 느낀 감정을 녹여 글을 쓰면 된다. 고미숙 작가는 “어떤 특별한 수행 체계가 아닌, 보통의 사람이 할 수 있는 최고의 구도는 글쓰기”라고 평했다.
그리고 자신이 쓴 글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간혹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일부 중장년의 경우 자신을 내려놓지 못하거나, 피드백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대체로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을 즐거워한다. 문성환 작가는 “그 과정에서 자기 성찰도 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친구도 생긴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고미숙 작가는 어른의 공부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교감’과 ‘통찰’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세대, 또는 지금까지 몰랐던 사람들과 교감할 때 생명력이 올라가고 통찰이 늘어난다. 그래야 삶이 확장된다”라는 설명이다.
진짜 어른이 되기 위한 공부
스스로 어른이라고 생각하는지 묻자, 문성환 작가는 “어른이 되려고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스승이 옆에 있을 때, 또는 내가 누군가에게 스승이 될 수 있을 때 어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한 마음이 나를 어리게 만들지 않기 때문”이라는 그는 전자의 어른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오창희 작가 또한 인간적으로 성숙한 어른이 되고자 공부를 지속한다고 밝혔다. ‘성숙이란 어떤 사건을 더 큰 좌표 속에서 볼 수 있는 힘’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는 그는 “자기 안에 갇혀 있으면 어린아이고, 우주적 차원까지 넓어지면 성인이라고 하며, 이걸 아는 게 어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전했다.
1960년생인 고미숙 작가는 60대가 되자 “인생의 변곡점에 도달했다”고 느꼈단다. 그동안 성취와 단련의 시간을 보냈다면, 이제 세상에 보답하고 잘 죽는 것이 중요해진 때가 됐다고. 고 작가는 “나는 뭔가 결핍됐다, 모자라다고 생각하면 절대 어른이 될 수 없다. 60대 이후에는 확실히 삶의 긍정이 생겨야 한다”라면서 “나는 어른이 된 것 같지만, 진짜 좋은 어른이 될 것인가는 앞으로의 마음가짐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지혜와 통찰력을 더 길러야 한다고 느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