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어떤 역할이든 하나의 삶, 같은 무게 지녀

기사입력 2022-12-01 08:24

배우 예수정

캐릭터를 만나 위태로우면서도 설레는 낭만을 느끼고, 한 인물의 인생을 곱씹는 고독한 과정을 차곡차곡 걸어간다. 나이 들수록 깊어지는 감정과 걷는 길에 대한 신뢰는 계속해서 발걸음을 내딛도록 인도한다. 연기가 곧 삶인 배우 예수정(67)의 이야기다.

(사진=오병돈프리랜서)
(사진=오병돈프리랜서)

“릴케 이야기라면 언제든 하고 싶어요.” 수줍은 미소를 보이며 그가 말했다. 배우 예수정은 독일의 시인 릴케가 좋아 독어독문학과에 진학했고, 독일의 극작가이자 연출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말에 매료되어 연극을 시작했다. 그래서일까. 그와의 이번 인터뷰는 릴케와 함께 떠나는 여행 같았다.

여행하듯 쉼이 되는 연극

예수정은 2000년대 들어 ‘도둑들’, ‘부산행’, ‘신과함께: 죄와 벌’ 등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와 ‘비밀의 숲’, ‘원더우먼’ 등 인기 드라마에 출연하며 대중에게 얼굴을 알렸다. 하지만 그가 연기를 시작한 건 연극을 하고 싶어서였다. 1979년 ‘고독이란 이름의 여인’이라는 연극으로 데뷔했다. 이어 ‘과부들’, ‘밤으로의 긴 여로’, ‘화전가’ 등 많은 연극 무대에 올랐고, 히서연극상, 한국여성연극인상 연기상, 이해랑연극상 등 권위 있는 상을 휩쓸었다.

연극을 시작한 이유는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극장은 시민의 계몽 공간’이라는 말에 매료되었기 때문이다. 그에게 연극이란 언제나 스스로 계몽되고 관객을 계몽시키는 매개체다. 그는 매 순간, 매 작품마다 자신부터 계몽된다고 했다. 동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는 연기자라는 직업이 관객으로부터 관심을 받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관객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제게 계몽은 알람이에요. 알람을 듣고 깨어서 자신을 잘 들여다보는 것이죠. 사회 속에 있는 나를 살펴보는 거예요. 사회의 어떤 부조리함에 대해 깃발을 들고 나서란 의미는 아니에요. 하지만 눈앞에 일어나는 현상을 보고 생각하라는 거죠. 이마에 등불 하나 켜고 내 안과 밖을 비추며 보는 거예요. 브레이트는 그렇게 관객의 따귀를 때리며 연극임에도 현실을 생각하도록 이질감을 주죠. 실생활을 체에 쳐서 걸러내면 굵은 입자들이 위에 남잖아요. 연극은 그렇게 입자들이 딱 보이는 느낌이에요. 그래서 작품 자체를 좋아하죠. 극을 통해 나부터 계몽되고, 그렇게 설레고, 그런 설렘을 극장을 찾는 사람들과 공감하고 싶은 거예요.”

그에게 연극은 쉼이자 기쁨이다. 매일 같은 장면을 연습하지만 언제나 예측불허의 상황이 벌어지고 자신을 거기에 내던진다. 그 과정이 마치 여행 같단다. “연극은 매일 같은 장면을 연습하잖아요. 2주간 하는 연극이어도 이전에 석 달씩 연습을 했어요. 매일 똑같은 상황이지만, 매번 달라요. 마치 우리 삶처럼요. 아침에 눈 뜰 때마다 하늘색이 다르고 심장 두근거림이 다른 것처럼, 일부러 다르게 연습하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거예요.”

연극 무대와 브라운관을 종횡무진하고, 44년 동안 연기를 하면서도 지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이렇게 결이 다른 공간에서 연기를 해왔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연기자나 배우라고 인식하기보다 그저 공연이라는 장르를 즐겼다. 오히려 드라마나 영화 작업을 하며 배우라는 것을 자각하게 됐다고.

“관객석이 안방 극장, 시네마 극장, 인터넷 극장으로 바뀐 거죠. 연기를 하면서 느끼는 현장감은 작업을 하는 당시에만 느껴요. 그리고 완성된 작품이 공개될 때 관객과 연결되는 것이죠. 연극하고는 조금 달라요. 그럴 때는 배우라는 걸 느끼기도 하지만 사실 내가 배우라는 건 거의 잊고 살아요.(웃음)”

(사진=오병돈프리랜서)
(사진=오병돈프리랜서)

철학과 고독을 곱씹다

릴케는 실존주의를 예언하며 현대문학의 문을 연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그에게 시는 삶 그 자체였다. 예수정 역시 그렇다. 그에게 연기란 삶 그 자체다. 44년이라는 연기 인생에서 주인공을 맡고 싶다는 갈증은 없었는지 묻자, 그는 “어떤 역할이든 하나의 인생이기 때문에 무게감도 같다”고 답했다.

주연이든 조연이든 각 캐릭터가 가진 서사에 집중하고 그의 철학을 곱씹는다. 연극에서 주인공은 작품의 기승전결이라는 파도를 여유 있게 타야 한다. 조연은 주인공의 그림자로 서사에 맞는 뒷모습이 되어야 한다. 그는 캐릭터의 희로애락이라는 파도를 타며 수영한다. 특히 낭만을 느꼈던 작품이 있냐고 묻자, ‘밤으로의 긴 여로’라는 연극에서 맡았던 어머니 역 ‘메리’에게서 낭만을 느꼈단다. “낭만은 위태로운 설렘 같아요. 느닷없이 계산하지 않고 나를 다 내어줄 것 같은 느낌이에요. 나를 다 준다는 건 위태롭죠. 그러면서도 설레는 것이 낭만 아닐까요?”

‘밤으로의 긴 여로’는 그가 직접 제작하고 좋아하는 후배들과 함께 올린 무대다. 제작비가 부족해 집에 있는 가구들을 가져와 무대를 꾸며야 했다. 그런데도 이 작품을 할 때 얼마나 즐겁고 행복했는지, 공연을 끝까지 마치고 나면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 생각했다. 이때부터 그는 ‘여분의 삶을 산다’는 마음으로 뚜벅뚜벅 걸어왔다.

그는 작품이나 캐릭터가 가진 철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60대 후반에 접어든 요즘은 작품이나 역할의 철학을 고르는 기준이 과거와 달라졌는지 물었다. 인간 예수정으로 역할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인물 자체로서 조금 더 바라볼 수 있게 됐다는 답이 돌아왔다.

“젊을 때는 악한 역이 궁금하지 않았는데, 이제는 ‘저 사람은 무슨 생각으로 이렇게 행동하는 걸까’ 그 인물의 타당성이 궁금해지더라고요.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에서 맡았던 장 회장 역이 딱 그랬어요. 그 사람은 선과 악을 구분하기보다 나의 목표를 향해 가장 확실하게 걸어가는 게 내 인생이고, 그 외의 것들은 쳐내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죠. 그래서 목표를 위한 수단을 쓴 거지 비겁한 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둘러대지 않고 솔직한 거죠.”

어떤 한 인물의 인생의 서사를 생각하며 연기한다는 점에서 배우는 탐구하는 직업이다. 특히 작품이나 캐릭터의 철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였으니, 맡은 인물을 연기하기 위해 연구하는 과정은 오롯이 혼자 지나가야 하는 고독의 시간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 고독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누구에게나 고독한 순간이 있어요. 처음 고독이라는 감정을 느낄 때는 서럽거나 불안한 마음이 있겠죠. 그런데 그 불안함을 살짝 걷어내면 나에게 굉장히 좋은 시간이 와요. 고독은 타인, 특히 가까운 사람일수록, 그들의 인생에 끼어들 자리가 없을 때 느껴지는 것이에요. 그때가 바로 나와 온전히 만날 수 있는 시간입니다.”

막연한 불안감이 사라지기 전까지 우리는 자연을 찾게 된다. 그 안에서 나 자신을 더욱 밀착시키게 된다. 자연과 자연 속의 내가 하나 되었을 때 단단해진다. 그는 릴케의 말을 인용했다. “‘나무 사이를 거쳐 수많은 나라를 지나온 바람, 아침, 밤, 이런 자연들은 우리가 끼어들 수 있도록 허용한다.’ 고독하다고 물리치려하거나 도망가려하지 않아도 돼요. 릴케의 말처럼 자연은 우리가 끼어들 수 있게 하니까요. 고독을 두려워할 필요 없다는 뜻이죠. 그의 표현대로, 이 시간을 거치면 우리는 ‘총명’해집니다.” 그러면서 그는 당부했다. 혹시 이 차가운 겨울에 고독을 느낀다면 조금만 더 기다리시라고, 막연한 불안감은 꼭 없어진다고.

(사진=오병돈프리랜서)
(사진=오병돈프리랜서)

나이 듦과 죽음 또한 인생이기에

그렇게 하나하나 쌓아온 연륜은 첫 주연을 맡아 2020년 개봉한 영화 ‘69세’에서도 빛을 발했다. 그는 이 영화로 2020년 ‘올해의 여성영화인상’을 수상했다. 영화에서 맡은 역은 69세 ‘효정’. 29세의 남자 간호조무사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경찰에 신고하지만, 노인이라는 이유로 사회의 편견에 맞닥뜨리는 역할이다.

“수치심은 무슨, 감히 어디다 손을 대. 자존심이 상한 거죠. 나이가 드는 것과 감정이 무뎌지는 것은 상관이 없어요. 오히려 감정이 깊어지죠. 겉으로 보기에는 무덤덤해 보일 수 있지만 무뎌지는 건 아니에요. 다만 감정에 속지 않고 휘둘리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거죠. 연륜이 있기 때문에 감정을 풍선처럼 불기도 하고 바람을 빼기도 하면서 운용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해요.”

릴케는 자신의 묘비에 “장미여, 오 순수한 모순이여, 그 많은 눈꺼풀 아래에서 누구의 잠도 아닌 기쁨이여”라고 적었다. 그는 죽음까지 포함한 삶 자체를 긍정했다. 또한 누구에게나 고독은 필요한 것이라고 했다. 예수정 역시 고독과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다. 예수정이라는 삶이 하나의 극이라면, 67년 동안 매일 무대에 오른 셈이다. 그는 삶을 어떻게 마무리해야 할지 생각해본 적 있을까?

“살아 있다는 건 죽음이 언제나 따라다닌다는 거죠. 환한 빛으로 가득 찬 신비롭고 예쁜 곳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죽음이라고 생각해요. 죽음 자체, 죽음 직전은 물론 두렵겠죠. 우리가 대학에 가면 얼마나 신이 날지 상상하면서도, 고등학교 3학년 때 치러야 할 수능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알잖아요. 그 고통을 겪어야 하는 거죠. 저라고 죽음을 어떻게 피해가겠어요? 하지만 내 몸에서 영이 떠나서 가는 곳을 생각하면 위안이 되죠.”

나의 좌표를 들여다보며

그에게서는 여전히 연기에 대한 기쁨이 느껴졌다. 연기를 계속할 수 있음에 감사하고 있었다. 또한 단단하게 나아갈 그만의 심지가 있으면서도, 세상에 흔들리지 않을 여유가 있었다.

그라고 상처받은 적이 없었을까. 릴케의 시를 사유해서일까. 역시 사람이기에 상처받지만, 아파하면서도 어떻게든 한 발을 내딛게 된다고 했다. 내가 걷는 길에 대한 어떤 신뢰가 있는 것처럼. 한 작품을 마치고 나서 성장해 있는 자신을 보며 거창하지는 않아도 어찌됐든 걸어가고 있다고 다독인다. 그는 이렇게 계속 걸을 수 있다면 배우라는 일을 이어갈 수 있을 거라고 말한다.

“특별하게 무엇을 노력한다기보다 이제는 하나의 습관처럼 됐어요. 다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내가 놓치는 것은 없나’ 조금 더 살펴보려고 하죠. 지금 나의 좌표가 어디쯤인가, 걸어가는 길이 너무 헤매는 길은 아닌가, 엄청나게 변화하는 이 시대를 내가 어느 정도 범위로 수용하고 거부하며 가고 있나 생각해요.”

2022년의 끝자락이자, 60대의 끝자락을 보내고 있는 그다. 이 무렵 삶에 자극을 주는 단어가 있냐고 묻자 ‘청허’(聽許)라는 답이 돌아왔다. 잘 듣고 허락한다는 뜻이다. 역시 릴케의 문장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그의 말을 곱씹어보자. 잘 듣고 나를 인내하며 허락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언젠가 신에게 청허를 빈 것은 ‘하나의 혼을 묵과해 줄 신의 인내’뿐이었다.”

- 릴케 ‘말테의 수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