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화순 임대정 원림, "세 겹 물 정원 꾸린 까닭"

기사입력 2021-11-19 08:18

얼마 남지 않은 조선 원림의 전형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지구는 외계 행성의 지옥일지도 모른다.” ‘멋진 신세계’의 작가 올더스 헉슬리의 훈수가 이렇다. 지지고 볶는 경쟁과 빙하처럼 차가운 인간관계로 굴러가는 현실 세계의 단면을 은유한 얘기다. 그러나 여기가 지옥이기만 할까. 마음에 난초 하나만 들여놓아도 흐뭇한 법이다. 구겨진 인생일망정 자연을 벗 삼으면 유토피아가 가깝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조선 선비들은 눈 뜨고는 못 볼 시절을 만날 경우, 여차하면 귀거래사를 읊으며 산림에 은거했다. 못 믿을 게 벼슬이다. 정 수틀리면 팽개치고 향촌에 지은 산방에 여생을 맡겼다. 고사리처럼 소탈하게 살았다. 조선 원림(園林)은 대체로 선비들의 이런 생리에서 비롯되었다.

임대정(臨對亭)은 조선 중엽의 선비 남언기(南彦紀, 1534~?)가 은둔했던 초가 고반원(考槃園) 옛터에 지어진 원림이다. 남언기가 뉘신가. 실력은 짱짱했으나 벼슬 보기를 애초부터 닭벼슬 보듯 했던 이로 평생 백수로 살았다. 걸친 벼슬이 없으니 자유자재가 그의 것이었나? 남언기가 주력한 건 자연과 더불어 물처럼 흐르는 방법에 대한 궁구였던 모양이다. 자연에 달통하면 인생에 화통해진다. 퇴계가 그를 번쩍 들어 올렸다. “남언기는 동방의 도학을 세상에 전수할 만한 그릇이다.” 사람들은 권세와 부귀를 좇지만 자연에 심취한 이에겐 그게 하수들의 서커스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남언기의 고반원이 가뭇없이 사라진 지 300여 년 뒤, 이번엔 사애(沙厓) 민주현(閔胄顯, 1808~1882)이 자연과 밀접한 교제를 하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낙향, 고반원 옛터에 임대정 원림을 꾸렸다. 세도정치의 적폐에 반발해 대찬 상소를 올리고, 병조참판으로 10만 군사 양병을 주장하다 뜻이 꺾이고서였다. 지금의 임대정은 태깔 고운 기와 정자다. 시초엔 허술했다. 민주현이 남긴 ‘임대정기’의 귀띔을 볼까. “한 칸 초가를 지어 비바람을 가렸다. 멀리서 보면 버섯을 닮았다.” 민주현의 담백한 성정이 드러난다. 산천이 이미 오롯한데 더 보탤 게 뭐람. 일출과 일몰, 나무와 햇살과 바람, 밤하늘에 모이는 달과 별을 무시로 즐길 수 있으니 비를 가리고 들어앉을 수 있는 것으로 충분했겠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임대정 원림에서 어디서도 볼 수 없는 비경을 찾을 일 아니다. 속세에서 자연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눈을 돌린 조선 선비의 지향과 상상력을 더듬어보는 게 더 옹골차다. 그러기에 하자가 없는 게 임대정이다. 흔히 원림마다 연못은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한다. 원림을 선계로, 연못을 천상계로 간주했다. 임대정엔 이채롭게도 연못이 셋이다. 하나는 언덕배기 위의 정자 옆댕이에 자그맣게, 나머지 둘은 언덕 아래에 널찍하게 만들었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왜 이렇게 연못을 풍성하게 조성했을까? 지척에 물 맑은 사평천이 있음에도 세 겹 물 정원을 만들었다. 물은 낮은 자리로만 흘러 겸손하다. 물은 길 없는 길에서 헤매는 인간에게 지혜의 눈을 달아준다. 그래서 상선약수(上善若水)다. 물을 향한 도학자들의 애호와 애착엔 실사구시(實事求是)가 완연하다. 더러운 세상에게 한 방 얻어맞고 불어터진 산림처사로 살망정 그들은 훨훨 비상하고 싶었다. 해탈인들 꿈꾸지 않았으랴. 물을 족집게 레슨 교사로 삼아서. 연못이라는 게 고작 물의 감옥이지만, 그게 물인 한 통찰과 영감을 얻게 한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브라보 마이 라이프 DB )


연못에선 제철이면 연꽃이 벙그러진다. 향기로 한가락 하는 게 연꽃이다. 미인은 주렴 사이로 보라 했다. ‘향원익청’(香遠益淸)이라, 연꽃 향기는 멀리서 맡을수록 맑다 했다. 송나라 주돈이의 ‘애련설’(愛蓮說)이 전하는 뉴스가 그렇다. 그럼 임대정 연꽃 향은 어디쯤에서 가장 맑아지는가. 정자 옆에 있는 사각 석상(石床)에 앉으라. 이 바윗돌엔 ‘피향지’(披香池)와 ‘읍청당’(揖淸塘)이라는 글자를 새겼는데 ‘맑은 연꽃 향기를 맡을 수 있는 자리’라는 뜻이다. ‘향원익청’에서 유래한 글귀로 추정된다. 여기에 앉으면 저 아래에 있는 연꽃 못은 정작 보이지 않는다. 향기만 은은하다. ‘멀수록 맑은 연꽃 향기’가 코끝에 희미하게 감돈다.

멀수록 맑아지는 게 연꽃 향기뿐일까. 되바라지지 않은 처세, 과욕을 삼가는 운신에도 관조와 관용의 향기가 서려 맑다. 연꽃을 탐하더라도 선비들은 고고한 기품으로 탐했다. 꽃 향도 처신도 자제할수록 청아해지는 이치에 밝았다. 이게 진정한 리얼리즘이자 진보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답사 Tip

아쉽게도 원림 앞으로 도로가 나 예스러운 운치가 쪼그라들었다. 그러나 얼마 남지 않은 조선 원림의 전형이다. 높직한 터에 자리한 정자가 구현한 차경(借景) 효과가 특히 빼어나다. 이곳에서처럼 탁 트인 전망을 가진 원림이 거의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