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골프를 독학해도 되나요?

기사입력 2021-05-24 08:00

[프로 골퍼 김용준 칼럼] 좋은 습관을 위해선 스승 필요

내가 40대 중반에 프로 골퍼가 된 것은 애독자라면 다 아는 얘기다. 처음 듣는다고? 그렇다면 아직 애독자가 되기엔 멀었다. 지난 칼럼을 꼭 읽어보기 바란다.

30대 후반에 골프를 시작한 나는 2015년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프로 선발전에 합격했다. 당당히 수석으로 합격했다고 자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턱걸이로 붙었다. 내가 속한 조에서 45명을 뽑는데 37등이었다. 그 정도면 준수한 것 아니냐고? 나는 공동 37위였다. 무려 여덟 명이나 나와 같은 점수를 기록했다. 37등부터 여덟 명을 손가락으로 꼽아보라. 44등까지 공동 순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두 명이 더 우리와 같은 타수를 기록했다면? 10명 중 한 명만 떨어지는 잔인한 연장 승부를 할 뻔했다. 춥고 강풍까지 겹친 늦가을 날씨에 이미 탈진한 나는 연장전 승부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상상만 해도 몸서리쳐진다.

나는 프로 골퍼가 되고 난 다음 해 3부 투어에 도전했다. 내친걸음이었다. 지금은 3부 투어를 2부 투어에 통합했지만 그때는 3부 투어가 따로 있었다. 그때 속 모르는 이들은 나를 보고 “아직도 현역으로 뛰니 대단하다”고 말하곤 했다. 그럴 때면 “아직도 현역이 아니라 이제야 현역”이라고 쑥스럽게 답했다.

그런 내 늦깎이 현역 생활은 딱 2년밖에 가지 못했다. 왜냐고? 갑자기 골프가 싫어졌냐고? 천만의 말씀이다. 지금도 골프 얘기가 들리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난다. 겉으로 밝히는 이유는 내가 경기위원이 된 탓이다. KPGA 규정상 경기위원은 대회에 나갈 수 없다. 심판이 시합에 나가면 공정하지 못하다는 판단에서 만든 규정이다.

그런데 속사정은 다르다. 현역으로 뛴 그 두 해 동안 나는 쉽지 않은 기록을 세웠다. 뭐냐고? 바로 ‘상금 0원’이라는 기록이다. 그랬다. 나는 2년간 스무 번 남짓 시합에 나가고도 상금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 갑자기 서러움이 복받친다.

그렇게 골프를 못 치는데 어떻게 프로 골퍼가 됐냐고? 그러게 말이다. 바로 그 얘기를 하려고 한다. 독자는 내가 얼마나 유명한 골프 지도자에게 골프를 배웠는지 아는가? 내 사부는 그동안 수많은 골퍼를 길러냈다. 그분이 누구냐 하면 바로 ‘독학 선생’이다. 맞다. 나는 순수 독학 골퍼다.

레크리에이션 골퍼인 선배 손에 끌려 클럽을 처음 잡았다. 그러곤 프로 골퍼가 될 때까지 누군가에게 골프를 제대로 배운 적이 한 번도 없다. 오로지 어깨너머로 보거나 주워들은 것만으로 골프를 연마했다. 독학으로 프로 골퍼가 됐으니 대단한 것 아니냐고? 전혀 그렇지 않다.

TV로 중계하는 1부 투어가 아닌 2부나 3부 투어도 치열하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2부 투어 지역 예선은 경쟁률이 9대1쯤 된다. 카트 두 대에 선수들이 타고 나가면 그중 한 명만 본선에 올라가는 셈이다. 어렵사리 본선에 가도 첫날 60등 안에 들어야만 상금을 받는다.

빈손으로 필드를 떠나는 선수 마음은 오죽하겠는가? 내가 경기위원이 되고 나니 가족들이 반가워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다. 대회에 나갈 때마다(물론 경기위원으로 근무하러) 돈을 벌어오니 말이다. 맨날 비용만 들이고 상금은 한 푼도 벌어오지 못하다가.

2부 투어 지역 예선을 통과하려면 언더파를 쳐야 하는데 보통 언더파론 안 된다. 비바람이 부는 날이나 2~3언더파가 커트라인이다. 그림 같은 날씨면 4언더파를 치고도 탈락하는 선수가 나온다. 진짜다. 그 정도 못 치냐고? 바로 그게 문제였다. 잘 친 샷만 꼽으면 나도 정상급 선수 못지않다.

그런데 대회 때는 딱 한 번 쳐서 승부를 가리는 게 아니지 않은가? 잘나가다가 나쁜 버릇이 나오는 게 내 한계였다. 언더파를 쳐도 떨어지는 판에 확 깎여서 아웃오브바운드(OB)가 나거나 뒤땅이라도 나면 어찌되겠는가? 예선 통과는 물 건너간다.

샷을 다듬는다고 다듬었는데도 가끔 그런 실수를 한다. 그러니 재미로 나가는 것이 아니고서야 대회 참가를 주저할 수밖에. 그 나쁜 버릇은 바로 ‘독학 선생’에게 배웠기 때문이다. 프로 선발전을 준비하면서 나는 골프가 많이 늘었다. 프로 골퍼가 되고 나서도 조금 더 늘었고. 그런데도 잔뜩 긴장하면 옛날 버릇이 나온다. 중년이 되고 나서도 힘들거나 급하면 ‘어머니’가 떠오르는 것처럼 말이다.

내가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골프를 시작한다면 절대 ‘독학 선생’에게 골프를 배우지 않을 것이다. 골프를 처음 시작한 2006년에 나는 왜 ‘독학 선생’을 택했을까?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보니 내가 오만한 탓이다. 다른 일도 잘해 왔으니 골프도 얼마든지 혼자서 잘할 수 있다는 생각 말이다.

주변 사람들이 내게 한 충고도 한 몫 보탰다. 바로 ‘독학으로도 잘 칠 수 있다’거나 ‘프로가 돈 벌려고 거짓으로 가르친다’는 조언 말이다. 그 충고를 한 사람들은 고수였냐고? 아니다. 처음 시작한 나보다 조금 나았을 뿐.

지금까지 샷을 연마하느라고 혼자 애쓴 시간을 생각하면 너무 아깝다. 제대로 배우면서 그 긴 시간을 보냈더라면 어땠을까? 혹시 늦깎이가 놀랄 만한 성적을 냈다는 신화를 만들 수도 있지 않았을까?

골프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독자라면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이미 잔뼈가 굵은 골퍼라도 마찬가지다. 당장 독학 선생을 과감하게 내치고 골프 지도자를 찾기 바란다. 내 꼴 나지 말고. 가슴이 저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