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외로우세요?”라는 질문을 불쑥 받고 보니 당황스럽다. 코로나19가 인간관계를 훼방하고 있다. 이런 사태가 장기화되니 너나없이 마음속의 작은 외로움이 꿈틀거린다. 국어사전에는 외로움을 “혼자가 되어 적적하고 쓸쓸한 느낌”이라고 정의한다. 외로움이라는 단어를 들여다보고 있자니 내 나이까지 오버랩되며 더 쓸쓸한 느낌이 밀려온다.
정호승 시인의 시 ‘수선화에게’는 외로움에 대한 시상을 잘 표현했다.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린다고 하지 않는가!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문화심리학자인 김정운 씨는 자신의 저서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를 통해 사람은 외로움이 존재의 본질이니까 격하게 외로워보라고 말한다. 또 그러려면 사람도 좀 적게 만나고, 바쁠수록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조언한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서 혼자 있을 때는 가끔씩 외롭다는 생각을 누구나 하나보다. 특히 우리가 처음 경험하는 코로나19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요구하면서 또 다른 외로움을 강요한다.
직접 겪어보지는 않았지만 외로움의 강도가 가장 큰 것은 배우자나 가족을 잃은 뒤에 찾아오는 감정이라고 한다. 그다음은 퇴직이나 졸업 등 집단에서의 이탈과 자식이 부모 품을 떠나면서 받는 빈 둥지 증후군이다. 나도 심하게 외로움을 느꼈던 적이 있다. 30여 년간 다닌 직장에서 정년제도의 덫에 걸려 비명 한 번 못 질러보고 혼자가 되었을 때다. 아침에 허둥대며 출근하지 않아도 돼서 ‘룰루랄라’ 할 줄 알았는데 막상 갈 곳이 없다는 사실이 참으로 허망하고 외로웠다. 유효 일자는 지났지만 겉은 멀쩡한 빵을 들고 먹지도 버리지도 못하는 어정쩡한 사람처럼 무기력해졌다.
최근 그때와 비슷한 경험을 또 했다. 주말마다 이용하던 테니스장이 코로나19로 폐쇄되자 식사를 하며 정담을 나누던 여러 모임들이 취소되었다. 나는 주말의 남는 시간을 주체하지 못했고, 이제 뭘 하며 지내나 고민에 휩싸였다. 혼자 산행이나 도보여행도 해봤지만 함께할 사람이 없어 외로웠다.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불안과 외로움은 점점 커져만 갔다.
안 되겠다 싶었다. 바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재취업을 했다. 급여도 낮고 지방근무도 해야 하는 작은 업체였다. 그 뒤 주말부부로 지내다 보니 혼자 있는 시간이 더 많아졌고 ‘혼밥’하는 게 일상이 되었다. 저녁이면 불 꺼진 빈방에 들어가기가 싫다. 젊은 동료들과도 잘 지내지만 순간순간 외롭다는 걸 느낀다. 대화는 해도 마음은 닫고 있는 게 보인다. SNS에서 맺어진 사람들도 많지만 서로 친한 척만 할 뿐이다. 그들에게 100만 원을 빌릴 자신이 있냐고 물어보면, 없다.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김소월의 시 ‘나그네’의 한 구절이다. 그렇다고 말을 하니 더 그런 것 같다. 아프다고 소리치면 더 아프고, 보고 싶다고 말하면 더 보고 싶어지는 법이다. 그래서 외로움이라는 단어를 잊고 더 바쁘게 살려고 노력한다. 살아보니 외로움도 맷집처럼 면역력이 생겼다. 궁하면 통한다고 지독하게 외로워보면 반작용으로 이겨내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된다. 인간은 공동생활을 하지만 개별 생명체다. 언젠가는 누구나 혼자 남게 된다.
동호회 모임도 만날 때는 만남에만 열중하고, 모임이 끝나고 헤어지면서 외롭다는 말을 하지 말자. 외롭다는 말을 하면 더 외로워진다. 어차피 겪어야 할 코로나19 위기를 혼자 있는 기회로 삼자. 책도 읽고 공부도 하자. 밝은 햇빛을 받으며 걷고 신선한 공기도 맘껏 마셔보자. SNS 활동도 열심히 하고 줌(Zoom)으로 화상회의에도 적극 참석해보자. 인터넷 세상에 순응하고 따라가야 외로움이 덜하다. 외로움의 맷집을 길러야 한다.
자식들이 결혼해서 집을 떠나도, 다니러 온 손자들이 재잘거리다 돌아가도 잠시잠깐 허전함을 느끼고 이내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시니어의 연륜이야말로 외로움의 면역력이다. 하루하루 바쁘고 보람 있게 보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