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김환기의 영원한 동행 김향안 “남편은 키만 껑충하고 촌스러운 남자였다”

기사입력 2020-09-21 09:51

[감성 솔솔! 미술관 여기] 서울 환기미술관②

김환기의 영원한 동행 김향안



김향안(1916~2004)은 재주도 많고 배움도 많았던 신여성. 그에게 김환기는 두 번째 남자였다. 이상한 천재 시인 이상(李箱, 1910~1937)이 첫 번째 남편이었으니까. “우리 함께 죽을까? 아니면 먼 데로 달아나 같이 살까?” 이상의 이처럼 돌연하고도 뜨거운 구애에 이끌려 맺은 부부 인연은 그러나 넉 달 만에 끝났다. 이상이 폐결핵으로 타계했던 것. 김향안은 이 요절한 천재의 죽음을 훗날 이렇게 회고했다.

“이상은 가장 천재적인 황홀한 인생을 마쳤다. 그가 살다간 27년은 천재가 완성되고 소멸되기엔 충분한 시간이다.”

김향안의 원래 이름은 변동림. 김향안이라는 이름은 1944년 김환기와의 결혼과 동시에 결행한 개명으로 얻었다. 김환기의 성을 좇아 변 씨를 김 씨로 바꾸고, 김환기의 아호였던 ‘향안’(鄕岸)을 가져다 이름으로 썼다. 이 전격적인 개명엔 다 뜻이 있었다. ‘이제 당신을 위해 살리라!’라는 언약의 징표였으니까. 한편으론 아이가 셋이나 딸린 ‘돌싱’이자 가난한 무명화가에 불과했던 김환기와의 결혼을 결사반대한 친정을 향한 절연의 통고이기도 했다. 결혼 전 연애시절에 몸 달아 달떴던 건 김환기 쪽이었다.

결혼이란, 상대가 팥으로 메주를 쑤었다고 뻥을 쳐도 덜컥 믿어주는 관용과 인내로 무장하지 않고서는 ‘창살 없는 감옥’으로 자청해서 들어가는 일에 불과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김향안은 매우 현명한 아내였다. 사소한 아웅다웅은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녀는 남편의 예술적 인생 항로를 회의 없이 지지해 좌초가 없도록 적극적으로 나서 돕기를 작정하고 살았던 것만 같다. 내조의 여왕? 벌어들이는 게 많지 않았던 젊은 시절의 김환기가 고민했던 경제적 불황을 타개해준 건 늘 김향안이었다. 김환기가 미술세계의 센터인 프랑스 파리를 선망하는 눈치를 보이자 즉각 나서 파리 행을 일사천리로 추진해 실현하기도 했다. 김환기의 ‘뉴욕시대’도 김향안이 열어줬다. 뉴욕의 백화점에서 알바를 뛰어 밥을 벌어온 것도 김향안이었다. 남편과의 대범한 유대감으로 세상의 파랑을 건넜던 거다. 김환기의 사후엔 환기미술관의 완성에 혼신의 힘을 다했다. 드디어 개관을 한 뒤엔 이런 얘기를 했다. “내 영혼은 김환기의 영혼과 함께 미술관을 지킬 것이다. 내가 왜 이렇게 오래 사는가? 김환기의 영혼이 나를 지켜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향안은 워낙에 딱 부러지는 기질의 소유자. 오직 내조에 아까운 인생을 다 소모할 미련퉁이 캐릭터가 아니었다. 문필가로, 화가로, 평론가로 자신의 이상적 자아를 확장해나간 인물이지 않은가. 그럼에도 내조에 공들였다. 김환기의 어떤 매력에 심취했기에? 노년의 그녀는 흔히 김환기를 말하길, “키만 껑충하고 촌스러운 남자였다”고 했다지. ‘촌스럽다’는 건 우직한 순수, 깨끗한 순정, 위선이 없는 예술정신에 관한 언표가 아니었을까. 그녀는 뉴욕에서 88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 뉴욕 주 발할라 묘역에 잠들었다. 먼저 길 떠난 김환기의 묘 옆에 나란히 누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 5060세대 42%, “젊은 세대 존경 받고 싶어 소통 노력”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