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는 나쁜지 알면서도 하고 싶어 하는 중독성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마약이고 도박이다. 스포츠도 중독성이 있다. 내가 겪어본 마라톤도 그렇다. 긴 시간을 달리면서 느끼는 고통이 클수록 완주 뒤에 해냈다는 성취감은 더하다. 달릴 때는 고통스러워 왜 이런 운동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자신을 질책하다가도 완주하고 나면 고통을 싹 잊어버린다. 산모가 출산의 고통을 잊어버리고 또 임신하는 것처럼 끝까지 달리고 나면 힘든 것들은 잊은 채 다음 대회를 또 검색한다.
일반 마라톤이 누가 빨리 결승점에 들어오는가를 가리는 속도 경주라면 울트라 마라톤은 긴 거리를 제한시간 내에 완주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스포츠다. 그래서 자기만의 성취감에 도취한다. 하지만 여간 힘든 게 아니어서 참가 선수가 적다. 사고가 난 이번 대회에 참가한 사람들은 모두 70명이었다고 한다. 메이저급 마라톤 대회 인원이 1만 명을 넘는 것에 비하면 아주 보잘것없는 숫자다. 출발점에서는 동시에 출발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선수들의 실력에 따라 간격이 벌어진다. 그 거리는 수십 ㎞에 달할 수도 있어 혼자서 달리게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사고 당시 피해자들 주변에 안전관리 요원이나 차량도 없었다고 하지만 주최 측에서는 선수가 어느 구간을 달리는지 파악이 어려워 주로에 안전요원과 안전차량을 배치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렇게 하려면 비용이 상당할 것이다. 문제는 울트라 마라톤은 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데 있다. 선수들 참가비와 주최 측 호주머니 돈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
할 수 없이 각자가 안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밤거리에는 헤드라이트를 쓰고,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눈에 쉽게 보이는 표식 등을 몸에 부착하고 달리지만 밝기가 약해 과속 운전자의 시야에는 잘 들어오지 않는다. 인도가 없는 곳도 많아 어쩔 수 없이 차로의 갓길을 달리지만 심야에 트럭이 달리며 지나갈 때면 찬바람이 스치며 깜짝깜짝 놀란다. 운전자들도 갑자기 나타난 선수들 때문에 당황하곤 한다.
음주운전이 큰 문제였지만 갓길이라 해도 자동차도로를 달리는 것은 위험하다. 이번사고로 안전 조치를 주최 측에 더 요구하면 울트라 마라톤은 사라질지도 모른다.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만족시켜주면서 근본적으로 사고를 없애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낙동강 자전거길(389km), 남한강 자전거길(136km) 등 여러 곳에 설치돼 있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이용하는 것도 대안이다. 평소는 자전거길로 사용하고 특정한 날에만 울트라 마라톤 구간으로 변경해 경기를 치르도록 하면 된다. 위험하니 무조건 하지 말라는 금지령보다는 위험 요인을 없애고 허용하는 긍정적 사고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