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명작 톺아보기] 폴란드 게토 추모비 앞에서 무릎 꿇은 빌리 브란트
시대를 앞서간 명사들의 삶과 명작 속에는 주저하지 않고 멈추지 않았던 사유와 실천이 있다. 우리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자유와 사랑과 우정 이야기가 있다. 그 속에서 인생의 방향을 생각해본다. 이번 호에는 독일 통일을 이끈 빌리 브란트를 소개한다.
역사의 명장면 중 하나를 꼽으라면, 1970년 폴란드 바르샤바 게토 추모비 앞에서 무릎을 꿇은 빌리 브란트(Willy Brandt, 1913~1992)를 떠올리는 이도 있을 것이다. 추적추적 내리는 겨울비를 맞으며 무릎을 꿇은 채 눈을 감고 있는 그의 모습을 전하며 헝가리의 뉴스 캐스터는 “무릎을 꿇은 것은 브란트 한 사람이지만 일어선 것은 독일 민족이다”라고 말했다. 미리 계획된 행위도, 참모들이 급히 짜낸 전략도 아니었다. 왜 무릎을 꿇었느냐는 질문에 브란트는 “헌화를 하는 순간 머리를 숙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했다”고 고백했다. 나치 강제수용소 생존자였던 폴란드 총리는 그날 브란트를 끌어안고 통곡했다.
성찰과 참회의 힘
아무도 예상 못했던 일이었다. 빌리 브란트의 이른바 ‘무릎 사과’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줬다. 하지만 그의 나라 서독에서는 달가워하지 않았다. 2년 뒤 치러질 뮌헨 올림픽을 앞두고 유대인들과 동구권 국가들을 의식한 행위라는 비판도 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독일인들은 하층민 출신인 그에게 그리 호의적이지 않았다. 게다가 ‘사생아’라는 출생 배경은 사람들 입방아에 자주 오르내렸다.
1913년 독일 북부 뤼벡에서 태어난 그의 본명은 헤르베르트 에른스트 카를 프람(Herbert Ernst Karl Frahm). 빌리 브란트라는 이름은 히틀러의 독재에 맞서 투쟁할 때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지은 가명이다. 어린 시절 그는 아버지의 성을 물려받을 수 없었다. 어머니가 미혼모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람’이라는 이름은 그를 비하하고 비방하려는 정적들에게 종종 불려나오곤 했다. 그 때문일까. 본격적인 정치활동을 시작한 이후 그는 더 이상 본명을 쓰지 않았다.
정치 망명객으로 지냈던 과거도 그를 꽤나 힘들게 했다. 사회민주당 청년당원으로 활동하다 게슈타포의 표적이 된 그는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망명생활을 하며 나치 정권에 대항했다. 1938년에는 국적을 박탈당해 노르웨이 국적을 취득했는데 이때의 이력으로 ‘어려운 시절 조국을 버린 배신자’라는 공격을 받아야 했다. 특히 보수 언론과 그와 경쟁 관계에 있던 정치인들은 노르웨이 군복을 입고 나치 독일에 대항했던 과거를 들먹이며 그를 코너로 몰아붙이곤 했다.
하지만 여러 난관 속에서도 브란트는 정치가로서 성공했다. 1949년부터 1992년 사망할 때까지 의원, 시장, 외무부장관, 총리를 역임했고 정파를 떠나 국민과 국익을 먼저 생각하는 지도자로서 신뢰도 얻었다. 1971년에는 동·서독 화해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평화상도 수상했다.
평화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빌리 브란트가 이처럼 화려한 경력을 쌓을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미·소 냉전시대의 긴장 완화를 위한 ‘동방정책’(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과의 화해 정책)을 펼치고 ‘더 많은 민주주의’를 실천했기 때문이다. 그는 ‘갈등과 대립’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또 정치란 체제와 이데올로기가 아닌 인류와 평화에 기여할 때만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대화를 통한 협상은 그가 추진했던 동방정책의 핵심이었다. 그 결과 1969년부터 1974년까지 그가 이끌었던 서독 정부는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국가들, 그리고 동독과 화해와 협력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브란트는 권력자가 되면 그 자리에서 바로 보이는 어떤 자세도 취하지 않았다. 문제가 생기면 오래 고민하고 가능한 한 토론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내는 방식을 좋아했다. 그래서 종종 동료들로부터 “커브 길만 나타나면 차를 조심스럽게 운전하는 노인”과 같다는 볼멘소리를 들어야 했다. 하지만 브란트는 자신의 정치 스타일을 고수하며 뚜벅뚜벅 걸어갔다.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지 않았으며, 더 궁리하고 관찰하면서 합리적인 방법들을 찾아내려 애썼다. 그리고 더 많은 민주주의가 감행되기를 바랐고 더 많은 자유를 제공하고 더 많은 공동 책임을 요구하는 사회를 원했다.
한 인간으로 볼 때 그는 약점투성이의 인물이었다. 쉽게 상처받고, 예민했고, 갈등을 싫어했다. 누구에게 속마음을 잘 보여주지도 않았고, 더러는 사생활 문제로 참모들의 속을 썩이기도 했다. 이러한 약점들이 오히려 위대한 정치가가 되는 데 특별한 거름이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는 “정치에서는 언제나 이길 필요가 없다”고 말했지만 평화정치를 구현하겠다는 의지는 결코 내려놓지 않았다.
그는 한 연설을 통해 말했다.
“평화가 전부는 아닙니다. 하지만 평화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던 해, 브란트는 한국을 방문했다. 당시 “독일 통일이 언제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내가 살아 있을 때는 보기 힘들 것 같다”고 답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보름 후 장벽은 무너졌다. 우리의 38선은 어떤가. 최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소식이 들려왔다. 다시 캄캄하다. 그래도 어느 날 벼락같은 큰 소식을 듣고 싶다.
1961년 베를린 장벽이 세워졌을 때 “원래 하나였던 것은 함께 자라야 한다”고 분노했던 빌리 브란트는 1989년 장벽이 무너지자 “원래 하나였던 것이 이제 함께 성장하게 됐다”는 말로 자신의 연설문을 완성했다. 동방정책을 선언한 지 20년 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