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17세 단종의 마지막을 가슴에 담는 영월 여행

기사입력 2019-12-26 14:34

[여행작가와 떠나는 공감 투어]

▲청룡포(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청룡포(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단종이 마지막을 보냈던 영월로 여행을 떠난다. 겨울날, 더욱 가슴이 시리도록 다가오는 청령포와 관풍헌, 장릉으로 이어진 단종의 자취를 따라가는 영월여행은 단순히 역사의 흔적을 따라가는 과정이 아니다. 인간의 욕망이 얼마나 잔인하고 무자비할 수 있는지, 채 피어나지 못한 젊음과 죽음의 위협에도 굴하지 않은 백성을 만나는 여정에 마음은 더욱 단단해진다.

▲장릉(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장릉(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인간의 욕망은 그 끝을 모르겠다. 특히 다 자란 어른의 권력욕은 치명적이다. 12세에 왕위에 올라 17세에 숨을 거둔 단종(端宗 1441~1457)의 짧은 생애, 임금의 자리에 앉아 있은 지 1년 반 만에 수양대군과 한명회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그를 모시던 사람들은 대부분 죽음으로 내몰렸다. 어린 소년 왕은 스스로 왕위를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1456년(세조 2) 수백 명이 죽어 나갔던 사육신 사건이 후 얼마 후에 어린 소년은 제 삼촌인 세조에 의해 사약을 받는다. 1457년 10월의 일이다.

▲자규류(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자규류(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황정희 동년기자)
(사진=황정희 동년기자)
▲장릉(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장릉(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영월 첫 여행지는 이른 아침의 청령포다. 눈은 오지 않으나 스산한 겨울바람이 부는 청령포를 따라 회색빛 옅은 안개가 외진 땅을 감싸고 있다. 노산군으로 강등된 어린 단종이 이곳에 머물며 지은 시가 그의 마음을 그대로 전한다.

천추의 원한을 가슴 깊이 품은 채

적막한 영월 땅 황량한 산속에서

만고의 외로운 혼이 홀로 헤매는데

푸른 솔은 옛 동산에 우거졌구나

고개 위의 소나무는 삼계에 늙었고

냇물은 돌에 부딪혀 소란도 하다

산이 깊어 맹수도 득실거리니

저물기 전에 사립문을 닫노라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600년 된 관음송(觀音松)만이 그때를 기억하는 듯 처연하다. 어린 노산군이 이 소나무에 앉아 한을 토하고 소리 내어 울었다 한다. 그것을 보고 듣고 하였다 하여 이름이 붙여진 관음송과 소나무, 참나무가 어우러진 숲은 흘러간 세월의 풍상에 아픔을 차곡차곡 갈무리한 듯 무게감이 느껴진다. 뒤로는 넘을 수 없는 절벽 산이, 양옆과 앞으로는 시퍼런 강물이 휘돌아 흐른다. 이곳에서 눈물지었을 어린 임금의 심정은 얼마나 막막하였을까.

단종이 죽음을 맞이한 곳은 영월의 관아인 관풍헌이다. 홍수가 나 청룡포에서 관풍헌으로 옮긴 뒤 두 달여 만에 세조가 보낸 사약을 받고 짧은 생을 마감한다. 관풍헌 앞에 있는 누각 자규루에 그가 읊었던 시가 그의 피눈물 나는 애통함을 대변하고 있다.

...자규새 소리 멎고 조각달이 밝은데

피눈물 흐르고 꽃송이 떨어져 붉었구나...

자규새는 신하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추방당한 두우가 죽어 새가 되어 촉나라 땅을 돌아다니며 피를 토하며 울었다는 전설 속 소쩍새를 말한다. 단종의 원혼이 이 땅 어딘가를 날며 울고 있지나 않은지.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현재 관풍헌과 자구류는 공사 중이다. 왕방언이 가져온 사약을 마셔야 했을 소년 왕의 모습을 그려보며 그의 시신이 묻힌 장릉으로 향한다.

단종은 죽음 뒤에도 편치 않았다. 세조는 “시신을 거두는 자는 삼족을 멸한다”는 명을 내렸고 후환이 두려운 사람들은 시체를 그대로 내버려 두었다. 그의 죽음을 배웅해준 단 한 사람은 엄흥도였다. 향리의 우두머리였던 엄흥도는 단종의 시신을 들쳐 메고 산으로 올라가서 그를 양지바른 곳에 묻어 주었다. 한때나마 왕이었던 이의 죽음이 이리도 초라할 수 있을까. 80여 년 동안 버려지다시피 했던 그의 묘는 중종 33년(1538) 영월 부사로 부임한 박충헌이 꿈에서 단종을 만난 뒤 노산 묘를 찾아 봉분을 정비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묘호가 단종으로, 능호가 장릉이라 부르게 된 것은 숙종 24년(1698)에 이르러서다.

능은 보통의 왕릉과 달리 가파른 능선 위에 있다. 단종의 시신을 몰래 산중에 묻어야만 했던 긴박했던 순간을 떠올리면 이해가 가능하다. 능으로 가는 길에 서있는 소나무는 능을 향해 허리를 굽히고 있는 듯하다. 무인석, 병풍석, 난간석은 없고 문인석만 있는 단출한 느낌에 생을 다하지 못한 왕의 모습을 보는 듯 쓸쓸함이 감돈다. 능이 있는 언덕에서 내려와 홍살문을 지나 90도로 완전히 꺾인 우측 끝에 정자각이 위치하고 있다. 홍살문 바로 옆에는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종친․시종 264인의 위패를 모신 배식단사가 보이고 그 곁으로 단종대왕릉비와 비각이 그나마 위엄을 드러내고 있다.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제사 때 썼던 우물인 ‘영천’을 지나 정자각에 서면 겨우 봉분 위만 슬쩍 보이는 능이 애달프다. 능 주변의 드넓게 자리한 소나무 숲은 호젓하여 걸을 만하다. 장릉을 돌아 나오는 길에 단종의 마지막 길을 함께 했던 엄흥도를 기린 엄홍도정려각을 유심히 바라본다. 싸라기눈이 가볍게 뿌리는 길을 손을 잡고 걸어 나오는 아버지와 아들의 모습에 새로운 미래를 펼쳐갈 아이를 꼭 잡아주고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어른을 그려본다.

△가볼 만한 식당

▲장릉 보리밥(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장릉 보리밥(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장릉 보리밥집

장릉 주변 맛집으로 말린 옥수수와 소품을 아기자기하게 놓아두었고 가정집을 개조한 식당이 갖는 정겨움이 있다. 방에 앉아 보리밥을 주문하면 얄팍하게 부친 메밀부침이 먼저 나오는데 함께 나오는 열무김치와 잘 어울린다. 큼지막한 감자가 들어간 감자밥과 짜지 않은 갖가지 반찬의 조화가 꽤 많은 양의 밥을 싹싹 비우게 한다. 반은 비벼먹고, 반은 반찬을 맛보며 깔끔하게 먹는 것도 좋다. 보리밥 8000원

강원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101-1

▲메일전병(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메일전병(사진= 황정희 동년기자)

*메밀전병과 배추전

메밀전병은 메밀가루를 아주 묽게 반죽해 얇게 펴서 무, 배추, 고기 등을 넣고 말아서 지진 음식이다. 예전에는 좁은 골목길에 이곳저곳 자리했던 전병 집이 영월 중앙시장 건물 안에 쪼르르 모여 있다. 메밀전병이라도 강원도 지역마다 그 맛이 조금씩 다른데 영월은 매콤한 맛이 강하다. 그중에서 미소네맛집을 추천한다. 주인 할머니께서 인터넷을 못해 인터넷 주문은 불가하고 전화 주문 시에는 한 개에 1500원, 직접 가서 사면 한 개에 1000원이다. 살짝 절여 지진 배추전과 함께 먹으면 매콤과 심심함이 어우러져 별미다.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제방안길 16-1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삶이 곧 힙합” 춤주머니 아저씨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땀으로 지병 없애고, 복근 남겼죠”
  • 패션부터 여행까지… 소비시장 주도하는 욜드족
  • [브라보가 만난 욜드족] “커피 내리는 현장 남고자 승진도 마다했죠”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