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 생활연구소, 돌봄에 이어 음식까지… 앱 ‘반찬구독’ 론칭
- 2025-09-30
-
- ‘시니어 트렌드 2026’ 출간… ‘넥스트 에이징’ 로드맵 제시
- 2025-09-30
-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고령사회의 삶과 일’ 제20호 발간
- 2025-09-30
-
- 수익률 높이기 전략, 국민연금 따라 하기
- 2025-09-30
-
- [2025 고령자 통계] 12년 뒤 가장 많은 비중 차지할 연령대는?
- 2025-09-30
-
- [2025 고령자 통계] 65세가 노인이라고?…실제 느끼는 노인 나이는?
- 2025-09-30
-
- 국정자원 화재, 화장예약 접수는 유선이나 현장 방문으로 신청 가능
- 2025-09-29
-
- ‘어느날, 말 많은 로봇이 집에 왔는데’ 출간
- 2025-09-29
-
- 사랑과 연결로 치매 진행을 늦추는 감정 케어 가이드
- 2025-09-29
-
- ‘국정자원 화재’ 노인맞춤돌봄시스템 등 일부 정상화
- 2025-09-29
-
- 추석 장바구니 부담 덜어줄 ‘농축산물 할인지원’…최대 40%
- 2025-09-29
-
- 추석 연휴 멍냥이도 안전! 유실·유기동물 구조·진료 서비스
- 2025-09-29
-
- "힘들어서 못하겠다" 요양보호사 저임금·고강도에 활동률 23% 붕괴
- 2025-09-29
브라보 인기뉴스
-

- UBRC의 시대…노후, 다시 캠퍼스로 돌아가다
- 대학연계형 은퇴자 주거단지(UBRC,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는 ‘노후에도 캠퍼스에서 배우며 사는 삶’이라는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미국에서 시작된 이 모델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를 동시에 겪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 고령층,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CCRC에서 UBRC로, 배움이 있는 노후 은퇴자 주거단지(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는 단지 내에서 건강 변화에 따라 주거 형태를 바
-

- 다시 쓰는 이력서, 도전도 배우는 용기 필요
- 퇴직 후 중장년은 그간 미뤄왔던 배움의 갈증을 채우며 온전히 자신을 위한 삶을 꿈꾼다. 하지만 중장년 상당수가 경제적 자립의 벽 앞에서 끊임없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이제 이력서 작성과 면접 태도, 직장 내에서 젊은 상사와 협업하는 방식 역시 ‘배움’이 필요하다. 풍부한 경험은 중장년의 강점이다. 하지만 이를 언제 어떻게 꺼내 보이느냐에 따라 재취업의 성공을 좌우한다. 실제로 통계청과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50세 이상 구직자의 평균 구직기간은 10개월 이상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길다. 또 중장년층 재취
-

- 배우면 돈 되는 유용한 자격증 6선
- 은퇴 이후의 삶은 더 이상 ‘쉬는 시간’이 아니다. 많은 시니어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격증을 준비하며 ‘일하는 노년’을 선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생계 때문만이 아니다. 사회와의 연결, 자기 효능감, 그리고 인생 2막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다. 남성들은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살려 전기·용접·지게차 등 기술형 자격을 선호한다. ‘몸으로 익힌 기술은 은퇴하지 않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은 다시 산업현장과 시설관리, 공공 일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반면 여성들은 돌봄·미용·조리 같은 생활밀착형 자격증 취득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이는
-

- “디지털 사무원에서 탐정까지” 다시 배우는 이색 직업
- 새로운 것을 배우는 즐거움이 일로 이어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배움이 곧 기회가 되는 시대, 시니어 세대에서도 새로운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일도 있었어?” 싶을 만큼 신선하고,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일들이다. 배움을 통해 성장하고, 그 성장이 다시 일로 이어지는 인생 2막의 문을 열어보자. AI와 초고령사회라는 두 흐름은 시니어 일자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기술이 일상을 빠르게 바꾸는 시대, 인생 후반부에도 배움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흔히 들어본 직업이 아닌 완전히 새
브라보 추천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