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의 절정을 지나고 있던 우리는 만나기만 하면 교회 오빠나 남학생에 대해 이야기 했다. 누가 누구를 좋아하는지가 최대 관심사였다. 우리는 설익은 얘기로 온 시간을 보내며 로맨스 소설로 허전함을 채웠다. 그리고 서점에 가서 각각 책을 골랐다. 나는 ‘첫사랑’을 골랐고 친구는 ‘짝사랑’을 꺼내들었다. 우리는 서로를 바라보며 키득거렸다.
달콤하고 아름다운 첫사랑을 기대하며 골라들었던 투르게네프의 ‘첫사랑’. 16살 소년이 자신의 집 별채에 이사 온 공작부인의 딸, 지나이다를 보고 사랑에 빠진 후 지독한 사랑의 열병을 앓게 되는 이야기였다. 아버지는 투르게네프가 러시아의 대문호라고 알려주었지만 혹시라도 가족들 눈에 띄어 놀림을 당할까봐, 밤에 이불을 뒤집어쓰고 몰래 책을 읽었다. 지나이다가 여러 남자들을 다루며 군림하는 장면이 참으로 이상했지만 그보다도 그 여자가 아버지의 연인이었다는 사실이, 소년만큼 당황스러웠고 이해하기 힘들었다. 이 책을 읽은 후 불에 데인 것처럼 화끈하고 찝찝한 감정이 여러 날 동안 맴돌았다.
책을 읽는다는 건 뭔가 내밀하고 말로 다하지 못할 비밀을 갖게 되는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첫사랑’ 때문이었다. 16살 소년이 겪은 사랑은 불가해 했지만, 그 사랑에 대해 이해하고 싶었고 더 깊이 알고 싶었다. 그 때부터 서점을 드나들며 삼중당 문고를 사모으기 시작했다. 노량진역을 지날 때면 삼거리 모퉁이에 있던 내 첫사랑, 삼우서적이 문득 떠오르기도 한다. 남편과 연애 시절에 드나들었던 명동 충무서적, 가끔 들러 지적 허영심을 채우던 고시촌의 녹두서점까지, 내가 사랑하던 서점들이 다 없어졌다. 이제는 서점에 가려면 지하철을 타고 가야 한다.
얼마 전에 서울국제도서전에 다녀왔다. 도서정가제 이후 출판사들도, 관람객들도 관심이 시들해졌던 도서전시회가 몰라보게 달라졌다. ‘변신’을 주제로 새롭게 바뀐 도서전시회 중심에 동네책방이 있었다. 전국의 인기있는 동네책방 20 곳이 참여한 덕에 평소에 가보고 싶었던 책방이나 미처 알지 못했던 독특한 책방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었다. 고양이서점, 시전문서점, 음악전문서점, 한 사람 만을 위해 책을 골라 주는 서점 등 주인의 취향이 제대로 드러난 서점들을 둘러보는 일은 참 즐거웠다. 예전에 비해 젊은 사람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음악전문서점 ‘라이너노트’에서 앙드레지드가 쓴 ‘쇼팽의 노트’라는 책을 골랐다. 대형서점에 갔더라면 사지 않았을 책이다. 통영의 한 출판사가 펴낸 ‘통영예술기행’이라는 책은 통영여행 할 때 참고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집어들었다.
책을 사지도 읽지도 않는 시대라고 한탄하지만 동네 골목 구석구석에 동네책방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여기서는 책을 파는 일 이외도 독서모임이나 전시회, 세미나, 음악회 등 다양한 문화행사도 열며 동네 사랑방으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있다. 어느샌가 하나 둘 사라진 동네책방들의 화려한 부활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