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책과 사람 PART3] 마지막까지 남는 책은 무엇일까? '책의 발견과 발명'

기사입력 2016-10-04 08:45

책은 진화한다

<글> 한기호 출판평론가


발견으로서의 기획 이후의 출판

프랑스문학 전공자인 가시마 시게루(鹿島茂)의 <‘표현’이 갈 길-끝까지 남는 책은 무엇인가>(<유레카> 2016년 3월 임시증간호)에 라 퐁텐의 <우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이 책이 출간된 루이 14세 시대(17세기)에도 너그러운 후원자와 그렇지 않은 후원자가 있었다. 라 퐁텐의 <우화>에는 루이 14세나 다른 왕족, 귀족을 비판하는 부분이 꽤 많다. 이런 책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우화>가 세상에 태어날 수 있었던 것은 동물을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사람을 직접 비판하지 않고 동물에 빗대어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우화다. <이솝우화>도 원래 그런 것이었는데, 라 퐁텐이 손을 봐서 훨씬 더 신랄하게 위선자를 비판하는 바람에 많은 인기를 끌고, 지금도 살아남아 독자의 손을 타고 있다.

2006년의 한국 출판시장에서도 우화는 상한가를 쳤다. 그때 우화는 이솝이나 라 퐁텐의 우화가 아니었다. 이른바 ‘성공우화’였다. 호아킴 데 포사다의 <마시멜로 이야기>를 비롯해 한상복의 <배려>(위즈덤하우스), 스튜어트 에이버리 골드의 <핑> 등이 상한가를 쳤다. 성공우화의 인기 시발점이 스펜서 존슨의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진명출판사)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지금 출판시장이 요동을 친 계기가 된 것은 스마트폰의 등장일 것이다. 필자는 2004년부터 “휴대전화(이제는 스마트폰이라 부르는 것이 옳을 것이다)는 모든 행동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그것은 매체(미디어), 상점, 판매채널, 만남의 공간 등 인간의 행위를 이끄는 기점”이라고 말해 왔다. 스마트폰으로 결제 기능마저 가능해지자 웹툰과 웹소설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기 시작했다. 이제 인간이 추구하는 텍스트는 완전히 달라져야만 한다.

21세기에는 ‘무엇’(What)을 어떻게 연결해 제대로 말하는가가 중요하다. 정보는 다른 정보와의 관계 속에서 의미가 발생한다. 정보를 서로 비교하면 차이(변별)가 생긴다. ‘차이’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보여주는 텍스트가 아니면 종이책은 살아남을 수 없다. 종이책은 그래픽 디자인에 힘입어 그런 능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


발명으로서의 책

그렇다. 이제 책은 달라져야 한다. 그것을 ‘발명’으로서의 책이라 부르면 어떨까. 새로운 장르라도 좋고, 새로운 텍스트라도 좋다. 가령 ‘본 디지털’로 생산해 가장 성공한 사례인 ‘휴대전화소설’(우리는 웹소설이라 부른다)만 해도 일본의 출판기획자인 우에무라 야시오(植村八潮)가 일찍이 지적했듯이. “휴대전화소설은 ‘뺄셈’이다. 표현도 줄이고, 그림도 빼고, 글자 수도 줄여서 멋지게 ‘본 디지털’로 성공했다.” 그러니 우리는 시대의 변화에 맞게 새로운 책을 발명할 줄 알아야 한다.

지금 베스트셀러 1위에 올라 있는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세계사)은 또 어떤가. 1996년에 출간된 박영규의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웅진지식하우스)은 드라마 <용의 눈물>의 인기에 힘입어 판매에 불이 붙었고, 결국 밀리언셀러의 반열에 올랐다. 필자는 <베스트셀러 30년>(교보문고)에서 이렇게 썼다. “<조선왕조실록>을 한 권으로 축약해 역사서로는 드물게 130만 권이나 팔린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은 비록 대학에서 독일어와 철학을 전공하고 전문 글쓰기를 위한 10여 년의 노력을 거친 전문 집필가의 책이기는 하지만 역사학자가 쓴 책은 아니다. 이 책은 비전공자의 대중적 역사 쓰기라는 점 때문에 역사학계에서는 철저하게 외면 받았다. (…) 하지만 이 책은 대중의 역사인식 눈높이와는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 이후 비전공자들이 쓴 대중 역사서들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는 계기가 되었다. 비전문가 신인이 일을 낸 대표적 사례다.”

딱 20년 만에 다시 나온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은 차례부터가 재미있다. 저자는 조선 27대 왕에게 모두 ‘OOO 호랑이’라는 저마다의 닉네임을 붙여 줬다. 태조는 ‘이빨 빠진 호랑이’, 정종은 ‘무늬만 호랑이’, 태종은 ‘진짜 호랑이’, 세종은 ‘위대한 호랑이’, 문종은 ‘피곤한 호랑이’, 단종은 ‘어린 호랑이’, 세조는 ‘무서운 호랑이’. 그러나 호랑이가 되지 못하고 고양이에 머무른 두 왕이 있다. ‘도망간 고양이’ 선조와 ‘나라 뺏긴 고양이’ 순종이다. 강연 현장을 담은 글이라 너무 잘 읽힌다. 삽화도 재미있다.

가시마 시게루는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시집을 사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그래도 아주 없지는 않지요. 자기 표출의 시로 환원되는 형태나 그런 것을 포함한 형태만이 활자미디어로서 살아남을 겁니다. ‘자연스러운 문체를 대할 때 사람들은 크게 놀라고 기뻐한다. 한 작가를 만나리라 기대했는데 뜻밖에도 한 인간을 만났기 때문이다.’ 파스칼이 한 말입니다. ‘그 책을 읽으며 저자가 아닌 인간을 만나는 책’이 자기 표출형 책입니다. 책 내용은 모두 잊어버려도 그 사람과 내가 서로 공감했다고 느낀 기억만은 남습니다. 그러면 같은 저자의 다른 책도 사고 싶어집니다. 반면 저자밖에 만나지 못한 책은 같은 저자의 책을 사고 싶다는 마음이 안 생깁니다. 책에 독자가 붙는다는 건 그런 겁니다. 정보 외에 무언가 자기 표출이 있는 책은 사람을 끌어당깁니다. 지시 표출 형으로 보이는 산문에서도 언어의 배치, 치환, 문체 등으로 자기표출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독자는 돈을 들여서라도 다음 책을 읽고 싶어 합니다. 이것이 표현의 원점입니다. 인터넷사회의 정보 속에는 없는 것입니다. 결국 거기까지 갈 수밖에 없다는 게 출판의 가까운 미래에 대한 제 예상입니다. 마지막에 남는 건 시집 정도겠지요. 그렇게 내리막길을 걸어도 출판이 완전히 없어지는 일은 없을 겁니다. 시집이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자기 표출형 책은 정보가 아니어서 설령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다고 해도 하나의 물건으로서 소유하고 싶어집니다. 이것이 자기 표출 미디어의 특징입니다.”

무섭다. 정말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책은 무엇일까. 가시마 시게루는 “고서의 가격이 비싼 이유는 책에 작품성이라는 가치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출판도 인터넷사회 이후에는 개인출판처럼 일종의 창조행위로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적은 부수로도 어떻게든 헤쳐 나갈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는 그렇게 되리라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말 속에도 이제 책을 ‘발견’하는 것 이상으로 하늘 아래 없는 새로운 것을 ‘발명’해야만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는 단언이 들어 있는 것 같다. 새로움이란 결국 생각의 차이다. 그 차이를 찾아내는 최상의 방법은 책을 함께 읽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그러니 책이 절대로 사라지지 않을 것임은 자명하다. <‘기획회의’ 423호에서>


>>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1982년 출판계에 편집자로 입문해 15년 동안 일하다 1998년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를 설립했다. 출판전문지 격주간 <기획회의>를 창간해 올해로 18년째 발간해 오고 있다. 2010년 한국 최초의 민간 도서관 잡지인 월간 <학교도서관저널>을 창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책읽기운동을 벌이고 있다. <디지털과 종이책의 행복한 만남>, <우리에게 온라인 서점은 과연 무엇인가> , <디지털 시대의 책 만들기>, <디지로그 시대 책의 행방>, <위기의 책, 길을 찾다>,<나는 어머니와 산다> 등 저서와 다수의 공저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김수환·이어령, 그들은 왜 추앙받았나
  • “어른 됨은 성숙한 시민성”, 좋은 어른 꿈꾸는 청년 공동체 ‘유난’
  • 시대 연구자 3인, “어른 필요 없는 유튜브 세대 젊은 꼰대 돼”
  • 시인 나태주가 말하는 어른, “잘 마른 잎 태우면 고수운 냄새 나”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