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TV’ ‘코드 커팅’ ‘N 스크린’…전통적 TV 시대의 종언을 알리는 용어들이다. 1995년 1~2월 시청률 60%대를 돌파한 <모래시계> 방송 시간에는 거리가 텅텅 비었다. <모래시계>를 보기 위해 TV가 있는 집으로 향했기 때문이다. “<모래시계>는 ‘귀가시계’”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였다.
그리고 20여 년이 흐른 2016년 4월. 한국과 중국 동시에 방송돼 양국에서 신드롬을 일으키며 4월 14일 막을 내린 KBS 수목 미니시리즈 <태양의 후예>를 보기 위해 집으로 뛰는 사람은 없었다. 대신 지하철 등 자신이 있는 공간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통해 드라마를 시청했다. 본방송을 보지 못한 사람은 편한 시간에 인터넷의 다시보기를 통해 <태양의 후예>를 봤다. 또한, 상당수는 날을 잡아 방송 콘텐츠 서비스 사이트 푹(pooq) 등을 이용해 <태양의 후예> 16회 모두를 한꺼번에 몰아보기(binge-watching)를 했다. 중국에서는 TV가 아닌 동영상 사이트 아이치이를 통해 방송돼 중국 네티즌들은 웹과 스마트폰을 통해 <태양의 후예>를 시청했다.
방송 시간에 맞춰 안방 TV를 통해 <모래시계>를 보던 풍경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태양의 후예>의 시청 양태에서 드러나듯 유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 스마트 기기의 엄청난 진화, 방송과 통신의 왕성한 융합은 영상 콘텐츠의 소비 형태와 시청 패턴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인 TV 시대가 종언을 고하고 있다.
전통적 TV 시대 퇴장의 이면에는 유료 케이블 TV, 지상파 TV 등 셋톱박스를 이용한 TV 중심의 영상 콘텐츠 소비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동영상 콘텐츠 시청으로의 전환이 자리한다. 즉 OTT(Over The Top)의 강력한 부상이 전통적 TV 시대 종언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TV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소비하고 이 새로운 서비스는 TV 방송의 죽음을 가져온다”는 ‘인터넷의 아버지’ 빈트 서프(Vint Cerf)박사가 2007년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한 말이 현실화하고 있다.
TV 수상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가구, TV가 있지만 사실상 TV 수상기를 통해 방송을 보지 않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태블릿PC 등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제로 TV’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들어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제로 TV 가구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다. 한국미디어패널에 따르면 2014년 현재 국내 제로 TV 가구는 전체 가구의 4.4%에 달한다. 지난해 발표한 KT경제경영연구소의 보고서 ‘영상시청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르면 10, 20대의 TV 외 기기를 통한 영상 시청 비율은 각각 58.8%, 53.8%로 절반을 넘어섰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영상 서비스의 이용이 급증하면서 케이블 방송 및 위성방송, IPTV 등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기존 유료방송 이용자들의 가입해지 즉 ‘코드 커팅(cord cutting)’을 하는 사람도 생겨나고 있다.
케이블 TV 등 미국의 유료 TV 가입자 수는 2015년 현재 9500만 명인데 2014년 한해 미국 상위 13개 유료 TV 사업자의 가입해지자는 12만5000명에 달했다. 미국처럼 코드 커팅 가구가 급증한 것은 아니지만, 국내에서도 점차 유료방송 가입을 해지하고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나의 콘텐츠를 TV, 스마트폰, PC, 태플릿PC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도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등장과 진화로 인해 N 스크린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방송사와 이동통신사들이 경쟁적으로 N 스크린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방송사는 푹(pooq)을, 종합케이블방송사업자인 CJ 헬로비전은 티빙(Tving)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SK텔레콤의 호핀(hoppin) 등 이동통신사들도 N 스크린 서비스를 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2014년 서울·경기 및 6대 광역시 거주자 1만2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N스크린 서비스 이용률은 20.3%에 달했다.
‘제로 TV’, ‘코드 커팅’, ‘N 스크린’ 등 전통적인 TV 시대의 종언을 고하는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 소비 시대를 이끄는 것은 바로 OTT다.
OTT는 디지털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로부터 전송된 압축 신호를 가정에 있는 TV에서 볼 수 있도록 원래의 영상과 음성신호로 복원해주는 Top(Set Top Box)을 넘어서는 서비스를 뜻하는 것으로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총칭하는 용어다.
미국의 경우 OTT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2015년 현재 42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넷플릭스를 비롯해 훌루 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인스턴트 비디오 등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미국 가입자는 5030만 명에 달한다. 국제 컨설팅업체인 PWC에 따르면 미국 OTT 시장 규모는 2015년 64억 달러에서 2019년 126억 달러로 두 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OTT 시장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OTT 서비스 사업자인 CJ의 티빙 가입자는 2015년 현재 700만 명으로 지난 2010년 30만 명에서 23배 증가한 것을 비롯해 SK의 호핀 가입자는 450만 명, KBS 등 지상파 TV가 운영하는 푹 가입자는 300만 명에 달한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라베이스에 따르면 국내 OTT시장 규모는 2013년 1490억원에서 2016년 3069억원, 2019년 6345억원, 2020년 7801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KBS 등 지상파 TV 콘텐츠연합 플랫폼의 푹, CJ 헬로비전의 티빙, 현대 HCN의 에브리온 TV, SK텔레콤의 Btv 모바일, KT의 올레 TV 모바일, LG의 U+HDTV 등 실시간 방송 중심의 6개 OTT 업체가 주도하는 국내 OTT 시장에 최근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1월 세계 최대 OTT 업체인 미국 넷플릭스가 한국 시장에 진출했기 때문이다. 막강한 콘텐츠, 개인 소비자 취향과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한 콘텐츠 추천, 신작 드라마 전편 동시 공개를 비롯한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 마케팅 전략 등으로 국내 이용자의 폭발적인 관심을 끌면서 국내 사업자들도 긴장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저가의 한국 유료 TV 방송과 넷플릭스의 한국 서비스 콘텐츠 부족을 들어 넷플릭스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콘텐츠를 늘리고 봉준호 감독의 신작영화 <옥자>를 넷플릭스에만 공개하는 등 본격적인 마케팅이 시작되면 넷플릭스의 영향력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한국판 넷플릭스’를 표방하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의 ‘옥수수’, 왓챠 프로그램스의 ‘왓챠 플레이’ 등 월정액만 내면 영화와 드라마를 무제한으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넷플릭스처럼 개인이 선호하는 콘텐츠도 알아서 골라주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 OTT 서비스가 본격화하고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OTT 서비스 중심으로 방송시장이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유무선 통신과 인터넷, 스마트 기기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주문형 비디오와 시간, 장소와 관계없이 콘텐츠 이용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또한, 2015년 6월 현재 유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1947만 명, 이동전화 가입자 5787만 명, 와이브로 가입자 83만 명으로 네트워크 측면에서 OTT 서비스가 대중화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된 것도 OTT 시장 부상의 가장 큰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물론 콘텐츠 한계, OTT 이용 비용, 저가의 유료방송 등의 이유로 OTT 서비스의 성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제기되고 있지만, 이용자의 동영상 콘텐츠의 소비패턴이 TV 중심에서 인터넷 기반으로 옮겨가면서 OTT의 대세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OTT 서비스는 기존의 TV 콘텐츠 이용에서의 시공간적 제약을 해체하며 채널 선택권이 아니라 개별 프로그램 선택권을 보장한다. 편성권이 개개인 소비자에게 있는 셈이다. OTT 서비스는 개인화된 시청 소비습관을 가진 현대인에게 적절한 맞춤 서비스다”는 배기형 KBS PD의 말은 OTT가 왜 부상하는지의 근본적인 원인을 설명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