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공화국 대한민국에서 치과 가는 법
모든 발명이 그렇겠지만, 빠진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 즉 임플란트도 우연한 계기를 통해 발명됐다. 1952년 스웨덴의 정형외과 교수였던 브레네막(Per-Ingvar Branemark) 교수는 나사를 통한 뼈의 물리적 고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토끼 뼈에 박고 방치해 놓았던 티타늄 나사가 뼈와 엉겨 붙어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것이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와 금속인 티타늄 간의 골융합 현상을 활용한 임플란트 개발의 시작이었다.
서울 도곡동에 사는 A씨(63세)는 최근 몇 개 남아 있지 않은 아랫니를 다 뽑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 치료를 위해 동네 몇 군데의 치과를 찾고 나서 A씨는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치과가 제시하는 치료방법이나 비용이 이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달랐기 때문이었다. 그간 즐겼던 담배와 술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내 이를 잃게 된 것도 억울한데, 치과마다 하는 말까지도 제각각이니 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치과마다 하는 말이 다른 이유
한 치과에서는 임플란트를 두 개만 심고, 긴 틀니로 연결하면 된다고 하면서 가장 싼 진료비를 제시했다. 하지만 다른 치과는 이야기가 달랐다. 임플란트를 6개 정도 심고, 앞니와 양쪽 어금니 부분, 3개 부분 정도로 나눠 심는 것을 제안했다. 또 다른 치과에서는 11개 정도 심어야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비용만 생각하면 많이 심자는 치과가 바가지처럼 느껴졌지만, 또 막상 2개만 심는다고 하니 뭔가 부족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과연 무엇이 맞는 것일까?
결과부터 이야기하자면 다 맞는 얘기라고 봐야 한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인 수술과 달라서 신체의 일부를 부속으로 대체하는 개념이므로 엄연히 수명도 존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관리도 필요한 시술이다.
실제로 최근 원광대 연구진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2% 내외의 임플란트는 7년이 안 돼서 탈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계에서 바라보는 임플란트의 수명은 10년에서 15년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임플란트 제조에 관한 국제 표준은 5년간 500만 회의 씹는 운동을 견뎌야 한다는 지침이 나와 있는 상태다.
첫 번째 치과에서 제안한 것처럼 적은 숫자의 임플란트는 낮은 진료비로 치료한다면 당장의 부담은 적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선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씹는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모든 압력을 두 개의 임플란트가 견디기엔 부담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문제가 생겼을 때에는 부분적으로 치료 복구가 불가능하고 모든 의치를 뜯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당연히 임플란트를 심는 숫자가 늘어나고, 의치의 나뉜 부분이 많아질수록 환자의 부담은 늘어나지만, 대신 문제가 생길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단순해지고 관리가 수월한 장점이 있다.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치료계획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양정강 前 원장은 “과거에 비해 전체 건강보험 예산에서 치과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긴 했지만, 치과 분야에 대한 전담부서도 없고, 아직까지는 적절한 국민 치아건강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때문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기보다는 환자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스스로에 대한 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라고 조언했다.
결국 치과의사가 환자에게 어떤 치료가 가장 이상적인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치료계획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마치 같은 주제를 그려 달라고 했을 때 모든 화가들의 그림이 각각 다르기 마련인 것과 같다. 때문에 무조건 색안경을 끼고 바라볼 필요는 없는 것이다.
다만 치과에서 이야기를 나눌 때 진료비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어떤 치료를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차근차근 들어보는 것이 좋다. 그렇다 보면 있을 수 있는 ‘나쁜 치과’는 어느 정도 가려지기 마련이다.
숨어서 수술하는 귀한 치료법
한국에 임플란트 붐이 불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 당시만 하더라도 ‘서울의 모 치과대학 교수는 이 신기술을 선택된 제자에게만 전수하려고 수술할 때 수술실 문을 잠근다더라’ 하는 풍문이 있었을 정도로 몇몇 해외파 치과의사만 가능한 귀한 기술이었다. 그러다 미국이나 유럽 치과대학의 연수과정이나 제조회사의 세미나 등에 참여한 국내 치과의사들이 늘어나면서 차츰 보급되기 시작하더니, 국산 임플란트의 등장이 폭발적인 성장의 기폭제가 됐다.
우리나라의 임플란트 사랑은 세계에서 으뜸인데, 이러한 현상은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통계에 따르면 인구 1만 명당 임플란트 시술자 수는 약 160명으로 2위인 브라질의 120명 수준과도 꽤 차이가 나고, 50명 수준인 미국이나 30명 수준인 일본과의 격차도 심한 편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의료계에서는 기형적인 보험제도 탓으로 해석하는 이들이 많다. 국민건강보험이 시작된 1977년 당시 시급했던 충치 등 기초 치료 분야 먼저 혜택을 부여하고자 했던 제도가, 시간이 흐른 뒤에도 예산 등의 이유로 국가의 경제성장에 맞추지 못하고 변화 없이 유지되어 보험 혜택의 유무에 따른 진료 편차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즉 진료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치료 분야를 낮은 보험수가로 묶어 놓았기 때문에 치과의사들이 보상받을 수 있는 임플란트와 같은 진료 분야에 집중하게 됐다는 것. 덕분에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의 임플란트 공화국이 됐다.
그러나 이런 현상을 비판적으로만 볼 것은 아니다. 어찌됐든 임플란트는 치과 치료 분야에 있어서 최고 정점에 있는 기술이며, 세계적으로도 부러지거나 사라진 치아를 원상 복구하는 대부분의 치료는 임플란트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발전은 보험제도에도 영향을 미쳐서 지난해부터는 75세 이상에 대해 임플란트 보험이 시작됐고, 올 7월부터는 70세 이상, 내년에는 65세 이상으로 조정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인구가 대폭 확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