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노년이라고 꼭 외로운 건 아니야!” 고정관념 깨다

기사입력 2024-07-03 09:00

사진가 셰지아크, 국내 작가들과 협업… ‘아마도 여기’ 프로젝트

‘아마도, 여기’는 뉴스레터로 발행한 다섯 편의 블라인드 에세이, 두 번의 오프라인 사진전, 그리고 ‘외로움을 끊고 끼어들기’라는 책으로 구성한 프로젝트다. 누구도 피해 갈 수 없지만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 ‘노년’이라는 생애 시기를 조명한다. 프로젝트의 중심에 있는 브라질 사진작가 ‘카로우 셰지아크’(Carol Chediak)와 전시·출판 기획사 ‘턱괴는여자들’의 이야기.

(카로우 셰지아크)
(카로우 셰지아크)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는 ‘카자지 베타니아’, ‘베타니아의 집’이라고 불리는 곳이 있다. 양로시설에 요양 서비스가 더해진 시설이다. 거동이 가능한 이와 돌봄이 필요한 이가 함께 생활한다. 베타니아의 노인들은 건강 상태에 따라 새로운 장소로 옮기는 일 없이 여생을 보낸다. 카로우 셰지아크는 뉴욕에서 요가 지도자 과정을 이수한 경력을 살려 베타니아의 자원봉사자로 5년간 요가 수업을 진행했다.

관계를 마주하다

셰지아크는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 항상 일찍 도착해 시설의 마당과 주방, 주민들의 방이 있는 입소동 복도를 거닐며 수업 참여를 독려하고, 지난 한 주 잘 지냈는지 안부를 물었다. 처음엔 굳게 닫혀 있던 방문들이 시간이 흐르며 하나둘 열렸다. 1년 정도 수업을 하다 문득, 수업보다 주민들의 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한번 의식하고 나니 방에 놓인 장식, 향기와 분위기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다.

수업이 끝난 어느 날, 셰지아크는 햇살이 침대 위에 앉은 노인의 어깨를 감싸는 장면을 목격했다. 98세의 최장수 입주민 이스테르였다. 장면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한 번에 드러나는 방과 그 주인을 사진으로 담고 싶어 조심스레 촬영을 요청했다. 이스테르는 8개월을 살고 세상을 떠난 어린 딸의 사진을 들고 요청에 응했다. 이후 약 1년 동안 거의 매주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며 충분한 신뢰와 친밀감이 느껴질 때면 사진을 찍어도 되는지 부탁하곤 했다.

‘이벤트’는 베타니아 거주민들의 삶에 소소한 재미가 됐다. 바우데미라, 사우바도르, 비바우두, 마리아 콩스탄자, 카스토리나 등의 노인들은 먼저 셰지아크를 초대했고, 각자의 방을 배경으로 카메라를 바라봤다. 쇠창살이 달린 창과 침대, 선반 등 똑같은 가구가 놓여 있지만, 창가에 조화를 놓거나 직접 만든 인형들을 앉히고 가족과 친구들의 사진을 잔뜩 진열해두기도 했다.

성격이나 취향으로 만들어진 공간의 고유한 분위기는 사진에 그대로 드러났다. 침대에 앉아 굽은 허리를 최대한 꼿꼿하게 펴거나, 삶에서 소중하게 간직했던 물건을 꼭 쥐는 등 제각기 다른 표정과 자세를 취했다. 노년을 보내는 이들의 다양성과 정체성이 고스란히 담긴 셈이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브라보 마이 라이프)

‘아마도, 여기’라는 이름으로 엮은 사진들은 원래 전시를 목적으로 촬영한 것이 아니다. 2012년 말 무엇이 포착됐는지 확인해보고자 초상들을 출력했다. 사진들을 보는 순간 그는 스스로 특별한 것을 가지고 있다고 느꼈다. 그렇게 셰지아크는 사진을 크리스마스 선물로 주겠다고 마음먹었다. 노인들은 사진을 받아 들고 변화된 자신의 모습에 놀라거나, 어색함에 괜히 친구를 놀리고, 고마움의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평소 자신의 얼굴을 자세히 살피지 않았기 때문일 테다.

인생의 역사 속 서로

몇 달 지난 후 셰지아크의 선물은 방의 독특한 장식품이자 필수 요소가 되었다. 노인들이 초상을 배치한 모습을 기록하고자 새로운 사진을 찍었다. 이 모든 과정은 서로의 삶에 오래 남을 추억이 됐을 테다. 2014년 양로시설이 리모델링으로 인해 폐쇄되고 베타니아 주민들이 임시 주택으로 이주하면서 요가 수업은 끝이 났다.

(턱괴는여자들)
(턱괴는여자들)

셰지아크는 노인들과 형성한 관계가 단순히 작품의 소재만으로 여겨지지 않길 소망한다. 사진은 사회에서 지워지길 기다리던 노인들의 삶과 세계를 존중하고, 세상이 주목하지 않는 곳을 비추는 매개체다. 그는 “이 사진들은 그들의 존재를 존경하는 동시에 우리 모두의 집단적 역사의 일부분을 드러내는 독특한 장치로 작동하는 것”이라며 “긴 시간 동안 함께 만들어낸 관계를 바탕으로 한 무형의 가치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아마도, 여기’ 사진 연작은 과거와 현재, 젊은이와 노인, 그리고 다국적 사람들이 교차하는 지역적 특성을 지닌 공간 가배도 시청점에서 선보인다. 커피 한잔과 함께 멀게만 느껴졌던 노년을 마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브라보 마이 라이프)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더 궁금해요0

관련기사

저작권자 ⓒ 브라보마이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 / 300

브라보 인기기사

  • 골치아픈 중년 뱃살, 혈당 관리하면 사라진다?
  • 당뇨인 2000만 명 시대… 노후 건강 위협하는 ‘혈당의 습격’
  • “지팡이 짚고 휠체어 타도” 제약 없이 즐기는 무장애 여행
  • “남들과 같은 여행 싫어” 오지 찾는 중년 고수의 여행법

브라보 추천기사

브라보 테마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