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유산 순례기] 이제는 고양 주민의 편안한 ‘쉼터’로
살아서는 하늘에 맞먹을 추앙을 받고, 죽어서도 존엄한 예우를 받는 게 왕이다. 그들의 묘역 역시 신성불가침의 영역이었다. 일반적인 여느 묘와 크게 다른 규모와 격식을 구현해 왕릉에 권위를 부여했다. 당대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집어넣기도 했다. 한 점 흙으로 돌아가는 ‘주검의 처소’일 뿐이지만 왕릉에 쏟아부은 정성과 의도가 이렇게 각별하다. 유네스코는 조선 왕릉 40기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다. 대부분 경기도에 밀집해 있다. 이는 조선의 국법인 ‘경국대전’에 나오는 조항, 즉 ‘능역은 도성(한양)에서 10리 이상, 100리 이하 구역에 만들어야 한다’는 규정을 따른 데에서 비롯됐다.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는 서오릉(西五陵)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구리시의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봄이 절정에 달한 5월 한낮의 유혹에 이끌려 나온 사람들일까? 뭐가 달라도 특별히 다른 게 왕릉이지만 사자들의 거처라는 점에서 을씨년스러운 적막감이 감돌지도 모른다는 예상을 했는데, 웬걸 뜻밖에도 사람들로 북적인다. 이는 능역 일대에 펼쳐지는 자연경관이 빼어나기 때문일 테다. 알고 보니 고양시의 산책 명소라 한다. 왕릉도 보고, 삼림욕 산책도 만끽하고, 즐거울 이유가 겹친다. 왕릉은 원래부터 조정에 의해 엄격하게 관리되었으며, 현재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자연생태가 망가지지 않았다. 왕릉이 식생의 파수꾼 역할을 해온 셈이다.
서오릉엔 왕과 왕후의 능 5기, 그리고 원 2기(園)와 묘(墓) 1기가 있다. 정문으로 들어서자 이내 명릉(明陵)이 보인다. 조선 왕릉은 범례에 따라 통상 진입 공간, 제향 공간, 능침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명릉도 마찬가지다. 홍살문으로 진입하자 저만치에 있는 제향 공간 정자각까지 박석을 깐 길이 가지런히 펼쳐진다. 높이가 다른 두 개의 길이 병행한다. 왼쪽의 약간 높은 길은 향과 축문이 들어가는 향로(香路)이며, 오른쪽 길은 왕만 사용하던 어로(御路)다. 왕릉의 핵심인 능침 공간은 경사지 상부에 조영했다. 홍살문에서 올려다보면 작아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자 비로소 큼직한 봉분의 모습이 환하게 드러난다. 봉분의 유려한 곡선미로 보자면 우아하기 그지없다. 능 둘레에 도열한 석마,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 등 석물들엔 노련한 세공이 가세돼 품격이 완연하다.
명릉은 조선 19대 왕 숙종이 잠든 왕릉이다. 숙종은 14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대비전의 수렴청정을 물리치고 곧바로 친정(親政)을 펼쳤다. 냉혹한 다혈질 기질을 타고난 한편 총명함과 결단성이 있어 장장 46년에 걸친 치세 기간 내내 강력한 왕권을 지속했다. 탕평책을 실시하는 등 나라의 질서와 제도를 혁신했다. 숙종은 왕비를 네 번 바꾸었다. 명릉엔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와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가 숙종의 곁에 함께 묻혀 있다. 정자각 방향에서 오른쪽으로 보이는 쌍릉이 바로 숙종과 인현왕후가 묻힌 능이다. 왼쪽 뒤편에 거리를 벌려 따로 조성한 봉분은 인원왕후의 단릉이다. 쌍릉과 단릉이 공존하는 명릉의 양식은 조선 왕릉 가운데 상당히 특이한 것으로 평가된다.
인현왕후는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 폐위되었다가 복위되는 등 자주 파란을 겪었다. 하지만 덕망이 높아 칭송이 자자했다. 그래서인가. 숙종은 일찍이 인현왕후의 능을 조성할 때 자신의 능 자리를 그 곁에 잡아두어 마침내 쌍릉이 조성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서러운 건 인원왕후였으리라. 숙종은 그녀에게 늘 무관심했다. 그럼에도 인원왕후는 숙종과 함께 묻히고 싶어 했으며, 의붓아들인 영조가 뜻을 받아들여 곁방살이 형국이나마 숙종의 쌍릉 저만치에 소박한 능을 만들어줬다. 숙종의 능 근처엔 고양이 한 마리가 묻혔다. 숙종이 애지중지했던 고양이로 밤마다 끌어안고 잤다고 한다. 이 녀석은 숙종이 승하하자 곡기를 끊고 덩달아 죽어 왕이 떠난 길을 뒤따랐다고 하니 여간내기가 아니다.
장희빈의 초라한 묘
명릉에서 좀 더 들어가면 익릉(翼陵)이 나온다. 서오릉 가운데 가장 고지대에 자리한 능으로 숙종의 첫 번째 왕비 인경왕후가 묻힌 곳이다. 인경왕후는 숙종보다 40년이나 앞서 세상을 떴다. 20세 때 천연두를 앓다가 사망했다. 익릉의 봉분은 웅장하다. 석물도 명릉에 비해 크고 정교하다. 정자각은 다른 능에는 없는 익랑까지 갖추었다. 꽃무늬를 새겨 넣은 장명등과 망주석은 걸작으로 평가된다. 이래저래 화려한 구석이 엿보인다. 숙종이 명한 왕릉제도 간소화가 실행된 이후의 왕릉들에선 찾아보기 어려운 특색이다.
이제 경릉(敬陵)을 보자. 이는 세조의 아들로 20세에 요절한 의경세자(훗날 덕종으로 추존)와 그의 아내 소혜왕후의 능이다. 원래 능을 쓸 때는 정자각을 기준으로 왼쪽에 왕을, 오른쪽에 왕비를 안장한다. 왼쪽을 상석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경릉에선 위치가 바뀌었다. 왼쪽에 소혜왕후의 능을 두었다. 이건 신분의 위계에 따른 배치 방법이다. 대왕대비로서 승하한 소혜왕후가 신분상 의경세자보다 상위에 해당했던 것이다. 의경세자의 능역에 문석인만 있는 반면 소혜왕후의 구역엔 무석인까지 갖추어진 이유도 마찬가지. 이렇게 서오릉의 능마다 개성이 실려 있다. 영조의 비 정성왕후가 잠든 홍릉(紅綾)은 본디 영조도 함께 안장하기 위한 쌍릉으로 조성했으나 능 자리 하나가 빈 상태로 남아 이채롭다. 애초 계획과 달리 영조의 능을 구리의 동구릉에 마련하는 바람에 차질이 빚어졌다.
그런데 왕릉들이 견고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도굴꾼들의 타깃이 되진 않았을까? 2006년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원(園)인 순창원(順昌園)에서 도굴꾼이 도굴을 시도했다. 중장비를 동원해 수직으로 지하 2.7m까지 파내려 간 도굴 갱이 발견됐다. 그러나 도굴엔 실패했다. 당시 도굴 실패 원인이 화제가 됐다. 순창원은 회격묘다. 즉 관이 들어간 구덩이 틈을 석회로 채워 다진 묘다. 회격은 고강도의 차단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중장비로도 묘실을 뚫고 들어갈 수 없었다. 회격묘는 유독 미라가 많이 발굴되는 묘형이기도 하다. 회격 벽이 외부 환경의 간섭을 완벽하게 배제해 묘실 내부를 거의 진공상태로 만들기 때문이다.
발길은 장희빈이 잠든 대빈묘(大嬪墓)로 이어진다. 장희빈은 숙종의 여자였다. 중인의 한계를 딛고 국모의 자리까지 올랐던 입지전적 존재다. 생시에나 사후에나 극과 극으로 평가가 갈리는 문제적 인물이다. 한편에선 장희빈을 희대의 악녀로 몰았다. 다른 편에선 정쟁에 억울하게 희생된 제물로 보았다. 이런 논란은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빈묘는 초라하다. 묘역 자체가 매우 으슥한 구석에 있다. 규모도 작고 석물도 별로 없다. 웬만큼 번듯한 사대부가의 묘보다도 옹색하다. 권력 투쟁의 도가니에서 으스러진 사람의 신후가 이렇게 스산하다. 청명한 건 서오릉 일대에 범람하는 숲이며, 숲 사이 오솔길이다. 왕릉도 좋고 왕릉에 서린 역사도 재미있지만, 숲길을 걷는 즐거움 또한 크다.
김용규 고양문화원 원장호수공원 산책자들을 문화원으로 끌어들여
경기도 고양시는 경기 북부의 최대 도시로 100만여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근래 들어 급성장한 도시다. 내륙 교통의 동맥인 한강을 끼고 있어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했다. 따라서 고양을 둘러싼 삼국의 쟁탈전이 잦았다. 김용규 고양문화원 원장은 행주대첩을 고양 역사의 백미로 꼽는다.
“행주대첩이야말로 고양의 자랑스러운 역사다. 행주산성을 겹겹이 포위하고 파상 공세를 펼친 왜군 3만여 명을 권율 장군이 총지휘한 관민의 힘으로 물리친 전투다. 성 주변의 부녀자들은 앞치마로 돌을 날라 투석전을 벌였다. 현재 고양시에선 행주산성의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주민욱 프리랜서)
2023년 영국의 공영방송 BBC는 고양시를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5대 도시’에 선정했다. 고양시의 문화 파워는 어느 수준에 있다고 보나?
“이미 문화도시로 부상했다. 공연 전문 예술센터인 고양아람누리의 활발한 운영상을 보라. 규모는 물론 내용에서도 전국 어느 문화공간에 뒤지지 않는다. 이는 고양시 문화현상의 현주소를 알 수 있는 하나의 척도라 할 수 있다.”
김 원장이 펼친 문화원의 중점 사업을 소개한다면?
“2년 전 문화원장에 취임한 이래 줄곧 문화원 홍보에 주력했다. 문화원의 존재 자체조차 모르는 시민이 많다는 걸 알고 이를 시급히 개선하기 위해서였다. 우리 문화원은 사람들이 몰려드는 일산호수공원을 끼고 있어 이점이 많다. 공원 산책자들의 발길이 문화원 방문으로 이어지게 하자는 게 목표다.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강화에도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관습에서 벗어난 프로그램을 가동할 경우 사람들은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그렇다. 원장직을 맡은 뒤 기존 20여 개 프로그램 중 절반을 폐쇄했다. 그리고 새로운 걸 채워 현재 30여 개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주 3일에 걸친 야간 강좌도 신설했다. 주간엔 일에 매일 수밖에 없는 직장인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다.”
여느 문화원에는 없는 ‘문화아카데미 최고위 과정’도 운영한다지?
“사회 각 분야의 유능한 인력을 문화원 활성화의 동력으로 삼기 위한 강좌다. 여기에 참여한 이들은 강좌와 체험 활동을 통해 역사 문화를 향유하는 한편 문화적 식견을 쌓게 된다. 나아가 지역의 문화 전령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매우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문화원 회원 중에 청년층은 많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이 있다면?
“전통문화의 보존과 발굴 중심의 문화 사업에 창의적인 콘셉트를 융합하는 게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예컨대 우리는 전통혼례 프로그램을 가지고 청년층에 접근한다. 기대보다 반응이 좋아 매우 고무적이다.”
공직 출신인 김 원장은 대학에서 강의도 했다. 그는 최근 전문가들이 공저자로 참여한 향토사 관련 책 ‘고양의 행주마을 누정과 별서’를 펴내는 일에 심혈을 기울였다. 내용의 깊이와 가치로 돋보이는 책이다. 그는 향후 이 책을 근거로 과거 고양에 있었던 누정과 별서를 복원하는 일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