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통해 소설, 뉴스 등 도전 가능… “내 글로 N잡 해볼까”
평생직장의 시대는 지났다. 은퇴 후에도 배우고 싶고 하고 싶은 일이 많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글쓰기로 인생의 전환기를 맞은 사람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천 리 길처럼 느껴지고, 단숨에 시작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새로운 도전을 앞두고 너무 늦은 건 아닐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걱정하는 독자들을 위해 글로 제2의 인생을 내디딜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흔히 글을 쓰며 활동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등단’을 떠올린다. 등단을 하려면 각 신문사에서 매년 개최하는 신춘문예나 문예지, 각종 문학단체와 기관의 문학상 수상이라는 좁은 문을 통과해야 한다. 일종의 ‘작가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셈이다. 그러나 등단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어딘가에 소속되거나, 꾸준한 작품 활동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플랫폼으로 시작해볼까?
최근에는 등단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글을 연재할 경로가 있다. ‘네이버 블로그’는 심사나 절차 없이, 간단한 기록부터 창작물까지 다양한 장르의 글을 게재할 수 있다. 어떤 주제로 글을 써야 할지 막막한 사람이라면 매일 다양한 주제로 질문하는 ‘블로그씨’ 서비스도 고려해볼 법하다.
온라인 신문 ‘오마이뉴스’는 회원가입을 하고 글을 작성해 등록하면 해당 카테고리 편집 담당자가 기사로 채택하는 방식을 갖추고 있다. 채택되면 잉걸·버금·으뜸·오름으로 뉴스의 등급이 매겨지는데 해당 등급에 따라 고료를 받는다. 콘텐츠 출판 플랫폼 ‘브런치스토리’는 사전 심사를 거쳐야만 작가로서 글을 공개할 수 있다. 브런치스토리는 매년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를 여는데, 당선되면 쓴 글들을 엮어 책으로 만들 수 있다. 수상작과는 별개로 출간 계약이 이뤄지기도 한다. ‘90년생이 온다’ 임홍택,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황보름 등 베스트셀러 작가를 배출했다.
창작물에 대한 욕구가 있다면 ‘네이버 시리즈’나 ‘브릿G’ 등을 이용해보면 어떨까. ‘네이버 시리즈’는 웹소설·웹툰·출판만화·전자책 등을 서비스하는 플랫폼으로, 챌린지리그와 베스트리그를 거쳐 내부 심사를 통과해 작가로 선정되면 연재 작품에 따라 고료를 받는다. 온라인 소설 플랫폼 ‘브릿G’는 국내 장르문학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SF어워드 대상을 받은 심너울,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을 수상한 천선란,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한 이희영 작가 등이 ‘브릿G’에서 활동하며 주목받았다. 플랫폼이 너무 많아 헷갈린다면 에세이, 소설, 시 등 글의 목적과 의미를 고민해보고 각자의 색에 맞는 곳을 골라보자.
쌓일수록 힘이 되는 글쓰기
‘브런치스토리’, ‘오마이뉴스’.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연재하고 있는 신재호 작가(필명 실배)는 5년 차 ‘글쟁이’다. 저서로는 ‘로또에 당첨되어도 회사는 잘 다닐 거지?’, ‘아빠의 가족 독서모임 만드는 법’ 등이 있다. 그도 처음에는 회사 보고서 외에 뭔가 써본 적이 없었다. 우연히 글쓰기 수업을 알게 됐고, 알 수 없는 해방감이 찾아왔다. 글을 쓰면서 도저히 빠져나올 수 없을 것 같던 갱년기와 번아웃 증후군을 벗어났다. 아빠, 남편, 직장인으로서 헛헛하고 버거웠던 마음을 담았다. 과거의 일, 그로 인해 싹튼 감정을 들여다보니 상황을 객관적으로 돌아보게 됐단다.
그는 주로 출근 지하철 안에서, 혹은 주말에 집에서 글을 쓴다. 이야기들이 차곡차곡 모이니 출간 제의가 들어왔다. 기존의 글에 새로운 이야기를 덧대 보완하고, 묻어두었던 경험을 다시 활용했다. 출간 후에는 관련 강연 요청도 받았다. 써둔 글이 다양한 형태로 무한 확장될 수 있고, 이제는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겠다는 생각에 힘을 얻었다. 더 좋은 글을 쓰고픈 마음이 들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역시 자신도 잘 살아야겠다 다짐했다.
신 작가는 언젠가 글을 만나게 될 누군가에게 ‘일단 쓰라’고 조언한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혹은 거창한 문장을 쓰겠다는 중압감을 버리고 말이다. 특별한 글쓰기 기술이 없어도, 소소한 일상을 솔직하게 풀어내면 읽는 사람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전할 수 있다. 직장과 가정에 대한 걱정으로 여유가 있을까 싶겠지만, 틈틈이 글을 쓰며 잠시나마 본인만의 시간을 가져도 좋겠다.